김동석 展 

 

Solo Exhibition by Kim Dongseok

 

하늘-스물 여덟개 항성의 별자리_108x108cm_캔버스 & 한지에 먹_2024

 

 

1층

 

2025. 11. 19(수) ▶ 2025. 11. 24(월)

관람시간 | 오전10시 ~ 오후6시 30분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길 34-1 | T.02-736-6347

 

* 본 전시는 ‘2025 가천 문화예술 지원사업’에 선정되어

(재)가천문화재단의 지원을 받아 진행되었습니다.

 

 

땅-대지의 노래_108x108cm_캔버스 & 한지에 먹_2024

 

 

월텍스트

 

김동석 작가는 1996년 첫 개인전 이래, ‘어머니의 사계’, ‘씨앗’ 등을 매개로 생명과 그 근원, 작가로서의 길에 대한 탐구를 이어왔다. 이후 ‘우공이산(愚公移山)’, ‘석과불식(碩果不食)’, ‘일수사견(一水四見)’ 등의 주제를 제시하며 회화와 설치를 넘나들며 삶을 바라보는 시각에 대한 질문과 조화로운 울림을 제시하며 30여 년간의 화업을 이어왔다. 작가는 그간 주제와 더불어 표현기법상의 독창성을 확보하기 위한 여러 실험의 과정을 거쳐왔다. 그리고 30회 개인전 <소리-울림>에서 다시 한번 변화를 시도하며 본인이 출발한 한글로 돌아왔다.

 

 

사람-어울림_108x108cm_캔버스 & 한지에 먹_2024

 

 

우리는 언어를 통해 감정과 의사를 표현하며 타인과 소통한다. 따라서 언어는 나와 타인을 연결하는 중요한 매개체가 된다. <소리-울림> 展에서 언어-한글은 김동석 작가의 화제가 되어작가와 관람객을 하나로 연결한다. 자음과 모음 24자로 총 11,172자(현재는 2,500자 내외 사용)의 조합이 가능한 한글은 누가, 어떠한 의도로 조합하느냐에 따라 다양한 뉘앙스와 의미를 전달하게 된다. 첫 개인전에서 자음과 모음을 해체하고 재결합하는 과정을 통해 본인만의 문자 체계를 구성한 바 있는 작가는 이번 전시에서 문자의 조합과 재구성의 조화를 관람객의 몫으로 남겨두었다.

 

 

사랑 그대로의 사랑_80.3x80.3cm_캔버스 & 한지에 먹_2024

 

 

자음과 모음으로 해체된 한글은 동양적 재료와 방식으로 화면에 그려진 후 다양한 색과 조형적 요소를 입고 전시장에 펼쳐지며, 작가가 펼쳐내는 문자는 한눈에 알아볼 수 없는 기호가 되어 작가와 관객 사이에서 미끄러진다. 그러나 정보 전달의 매개체를 넘어선 언어는, 더욱 다양한 의미의 층을 형성하며 관람객의 해석 과정을 거쳐 작가가 설정한 의미를 넘어 다양한 해석이 가능해진다. 즉 관람자의 경험과 사고, 심리상태에 따라 다양한 새로운 의미가 만들어지고 발견될 것이다. 작가는 본인이 펼쳐낸 자음과 모음의 조합을 통해 관람객들이 스스로의 언어를 찾고, 주변에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조합하며 격려와 응원의 마음을 나누기를 권한다. 김동석 작가가 풀어놓은 문자의 웅성거림은 관람객의 발견과 소통에 의해 언어 이상의 울림이 되어 전시장을 채우고 있다.

 

 

큰 기쁨_80.3x80.3cm_캔버스 & 한지에 먹_2024

 

 

바다를 품다_80.3x80.3cm_캔버스 & 한지에 먹_2024

 

 

머물고 싶은 곳_80.3x80.3cm_캔버스 & 한지에 먹_2024

 

 

평화로운 아침_80.3x80.3cm_캔버스 & 한지에 먹_2024

 

 

 

 

 
 

김동석 | KIM DONG SEOK

 

추계예술대학교 서양화과 졸업 |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교육과 졸업

(석사학위 취득 논문: 고암 이응노 작품 연구)

 

화집발간 | A Collection of Kim Dong Seok Paintings (도서출판, 솔과학, 2019) | 길...어디에도 있었다 (도서출판, 차이DEU, 2017) | THE PATH (도서출판, 차이DEU, 2017)

 

개인전 | 31회 | 서울, 순천, 부산, 원주, 구미, 북경, LA

 

아트페어 | 39회 | 서울, 부산, 대구, 청주, 광주, 상하이, 북경, 홍콩

 

기획초대전 및 단체전 | 600여 회 참가

 

교육경력 주요경력 | 삼육의명대학, 삼육대학교, 추계예술대학교, 백석예술대학교, 전남대학교, 동국대학교 외래교수 역임, 북부교육청 미술영재교육, 강동교육청 미술영재교육, (사)한국미술협회 사무국장, (사)한국미술협회 송파지부장, 송파미술가협회 회장 역임

 

주요심사위원 및 운영위원 | 한성백제미술대상전 상임추진위원장 | 대한민국평화미술대전 | 행주미술대전 | 심사임당미술대전 | 대한민국문화미술대전 | 광양미술대전 | 충남미술대전 | 순천미술대전 | 여수바다사생미술제 | 호국미술대전 | 공무원미술대전 심사위원 등 전국미술대전 운영 및 심사위원 다수

 

주요작품소장 | 국립현대미술관(미술은행) | 한국불교미술박물관 | 묵산미술박물관 | 양평군립미술관 | 김환기미술관 | 서울아산병원 | SK 텔레콤 본사 | 프랑스 대통령궁 | 중국 엔따이 문경대학교 | 국립순천대학교 | 추계예술대학교 | 송파구청 | 안산문화예술의전당 | 아침편지문화재단 | 국민일보 | 국방문화연구센터 | 로얄스퀘어호텔 | 서울동부지방검찰청 | ㈜신풍제지 | ㈜오알켐 | ㈜김천 포도CC 외 개인소장 다수

 

현재 | 전업작가 | 국제저작권자협회 회원(©ADAGP) | (사)한국예총 송파구지회 초대회장 | (사)한국미술협회 | 송파미술가협회 | 누리무리 회원

 

Blog | https://blog.naver.com/ds7020

Instagram | https://www.instagram.com/kim_dongseok_artist/

E-mail | budding45@hanmail.net

 

 
 

* 전시메일에 등록된 모든 이미지와 글은 작가와 필자에게 저작권이 있습니다. *

vol.20251119-김동석 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