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장재민 展
Bottoms up
섬 그림 Island Painting_oil on canvas_324x390cm(6 pieces, 162x130cm each)_2025
갤러리 2
2025. 11. 6(목) ▶ 2025. 12. 13(토) 서울 종로구 평창동 509-13 | T.02-3448-2112
서식지 The Ground_oil on canvas_170x200cm_2025
전시 《Bottoms up》은 장재민이 지난 몇 년간 탐구해 온 자연 그리기를 새로운 시점에서 접근한 방식에 주목한다. 그는 제주에서 머물며 풍경이 하나의 비현실적인 전체로 엮이는 과정, 즉 자연이 본래의 형태를 잃고 편집되어 다시 발생하는 지점을 포착하고자 했다. 이러한 태도는 조르주 바타유가 말한 ‘비정형(informe)’의 사유처럼, 형태의 위계나 구분이 해체되고 서로 다른 질감과 층위가 뒤섞이는 회화적 전환으로 읽힌다. 여기서 자연은 단지 관찰의 대상이 아니라, 발견의 가능성이 무한한 상징적 장소로 변모해 회화의 언어 속에서 형태를 뒤집는 계기가 되어 다시 등장한다.
구불구불한 길 The twisting Path_oil on canvas_200x160cm_2025
<섬 그림>(2025)은 여섯 개의 캔버스를 연결한 대형 연작으로, 바다에서 길, 나무, 산, 하늘로 시선이 확장되는 과정을 담았다. 상단의 파란색 바다와 하단의 녹색 숲이 공존하는 유기적인 풍경은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어떤 초현실적인 상황을 연출한다. 바다와 산을 바라보는 분리된 동시에 하나인 항공 시점은 풍경을 받아들인 뒤 해체하여 다시 구성하려 한 그의 의도를 비춘다. 같은 맥락에서 <불꽃과 연못>(2025), <붉은 언덕>(2025), <폭포>(2025)는 화면의 방향 구조를 해체하는 실험이 동반되었다. 캔버스를 거꾸로 놓거나 돌려가며 그려진 숲과 물 형상들은 상하와 좌우 질서를 무력화한 채 서로 뒤엉키고, 그 안의 인물과 동물들은 방향을 잃은 듯 서 있다. 그러나 그것은 단순한 혼란이 아니라 방향의 해체, 즉 회화의 중심이 물리적 구도에서 화면의 운동으로 이행하며 스스로의 구조를 전복하는 상태를 드러낸다.
하얀 섬과 노을 White Islet and Sunset_acrylic oil on canvas_147x184cm_2025
연기와 숲 Smoke in the Forest_oil on canvas_130x162cm_2025
|
||
|
|
||
|
* 전시메일에 등록된 모든 이미지와 글은 작가와 필자에게 저작권이 있습니다. * vol.20251106-장재민 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