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Q 展

 

Traces in Between 사이, 흔적

 

We went to Iceland together 2025_Acrylic on Canvas_136x224cm

 

 

2GIL29 GALLERY

 

2025. 10. 18(토) ▶ 2025. 11. 22(토)

서울특별시 강남구 강남대로158길 35 (신사동) | T.02-6203-2015

 

www.2gil29gallery.com

 

 

On your side 2025_Acrylic on Canvas_190x154cm

 

 

사이, 흔적

이길이구 갤러리는 오는 10월 18일부터 11월 22일까지 마이큐(MY Q) B.1981의 개인전 《사이, 흔적》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존재와 부재, 충만과 공허 사이의 간극 속에서 태어나는 ‘흔적’ 을 주제로, 작가가 회화라는 언어를 통해 삶의 리듬과 감정의 균형을 시각화한 신작들을 선보인다. “모든 것은 심장에서 시작된다.”

마이큐는 작업의 출발점을 늘 ‘심장’이라 말한다. 감정의 진동이 몸을 거쳐 선과 색으로 번져나가는 과정을 그는 하나의 기록으로 남긴다. 이번 전시에서 작가는 계획된 구상보다 즉흥적인 신체의 움직임에 따라 캔버스를 채워간다. 검은 선은 흐르고, 끊기고, 다시 이어지며 틈을 만들고, 그 사이를 색으로 메우거나 비워낸다. 그의 화면은 충돌과 유연함이 공존하는 리듬의 장(場)으로, 시간과 감정의 파동을 포착한다.

마이큐는 “틈과 밸런스를 찾는 순간이 곧 나의 회화 행위”라고 말한다.그에게 회화는 재현이 아닌 기록이며, 감정이 머무는 순간을 시각화하는 행위이다. 선은 감각의 흔적이고, 색은 내면의 숨결이다. 그렇게 태어난 화면은 비워짐과 채워짐, 멈춤과 흐름, 통제와 우연이 만들어내는 ‘사이의 미학’을 구현한다.

박영택 미술평론가의 시선: “화면이 음악처럼 흐른다.”
박영택 미술평론가(경기대학교 교수)는 이번 전시에 대해 다음과 같이 평한다. “마이큐의 화면은 검은 선으로 시작해 색과 붓질이 유동적으로 흘러가는 추상적 공간이다. 부드럽고 나른한 색조, 갈필의 선들이 유영하며 그 흐름은 마치 음악의 리듬처럼 느껴진다. 작가는 의도보다 몸의 감각에 따라 반응하고, 그 흔적은 시간과 감정의 기록으로 남는다.” 박 평론가는 또한 마이큐의 회화를 “몸의 행위가 감정의 기록으로 전환된 회화”로 해석한다. 그는 “마이큐의 그림은 물감과 붓질을 빌려 음악처럼 시간성을 가진 시각적 흐름을 만들어낸다”고 덧붙였다. 이처럼 그의 작업은 추상회화의 물질적 언어를 통해 음악적 울림과 내면의 리듬을 동시에 드러내는 것이 특징이다.

전방위 예술이 교차하는 회화
다재다능한 마이큐 작가의 감각은 그의 회화에 깊게 스며 있다. 그에게 색은 감정의 진동이며, 선은 움직임의 궤적, 붓질은 호흡의 리듬에 가깝다. 그의 화면은 보이지 않는 에너지와 감정의 흐름이 교차하는 장으로, 시각적 긴장과 정서적 울림을 동시에 만들어낸다. 이러한 회화적 언어는 구체적 형상을 배제하면서도 감정의 여운과 시간의 흔적을 남긴다. 이는 단순한 추상이 아니라, 삶의 감각을 기록하는 내면의 풍경에 가깝다. 멈춤과 흐름, 채움과 비움의 경계에서 태어난 마이큐의 화면은 그 경계 위에서 예술이 어떻게 삶의 리듬으로 존재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Little boy #2 2025_Acrylic on Canvas_130.5x96cm

 

 

Untitled 2025_Acrylic on Canvas_206x197cm

 

 

Untitled 2025_Acrylic on Canvas_198x198cm

 

 

 

 
 

 
 

* 전시메일에 등록된 모든 이미지와 글은 작가와 필자에게 저작권이 있습니다. *

vol.20251018-MY Q 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