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영 초대展

 

달항아리, 조선의 달빛을 품다

 

달항아리_54x53cm

 

 

 

2025. 10. 15(수) ▶ 2025. 10. 30(목)

서울특별시 종로구 운니동19 | T.02-730-3533

 

www.galleryjang.com

 

 

달항아리_50x50cm

 

 

달항아리, 조선의 달빛을 품다

 

달항아리, 혹은 백자대호라 불리는 이 항아리는 조선 후기 도자의 정수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유물이다. 달을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처럼, 흰 표면은 은은한 달빛을 연상시키고, 넉넉하게 부풀어 오른 형태는 보는 이의 마음을 고요하게 만든다. 단순히 크고 흰 항아리가 아니라, 그 안에는 조선의 정신과 미학, 그리고 생활의 흔적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달항아리는 17세기 후반에서 18세기 사이, 조선 사회가 안정기를 맞이하며 발전한 백자 문화 속에서 탄생하였다. 이 항아리는 하나의 흙 덩어리로는 빚어낼 수 없을 정도로 크기가 컸기 때문에, 장인들은 위와 아래 두 개의 반구형 몸체를 따로 성형하여 접합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접합 과정에서 생기는 미묘한 불균형은 완벽한 대칭을 이루지 못하게 했지만, 오히려 그 비대칭의 선과 곡선이 달항아리만의 독특한 아름다움으로 남게 되었다. 매끈하게 떨어지는 기계적 대칭이 아니라, 인간의 손길이 남긴 자연스러운 비대칭이 오히려 더 큰 울림을 주었다는 점에서, 달항아리는 단순한 생활용기를 넘어선 예술적 성취를 보여준다.

 

 

달항아리_50x46cm

 

 

달항아리에 입혀진 유약은 유백색 계열로, 은은하고 부드러운 빛을 띠었다. 가마 속에서 불길이 어떻게 흐르느냐에 따라 항아리의 표면에는 다양한 질감과 색의 깊이가 남았다. 반매트의 표면은 강렬하지 않고 차분하여, 관람객은 그 앞에서 저절로 숨을 고르게 된다. 마치 밝은 달빛이 어둠을 비추듯, 달항아리는 그 자체로 평안과 위로를 전한다.

조선 후기 사회에서 달항아리는 단순히 물건을 담는 용기를 넘어, 넉넉함과 포용, 청렴과 순수를 상징했다. 이는 당시 유교적 질서와 자연스러움을 중시하던 사회적 분위기와 맞닿아 있었다. 그래서 달항아리는 하나의 생활기물인 동시에, 조선인의 정신을 담아낸 조형물이었다.

 

 

달항아리_47x49cm

 

 

이 항아리는 한국을 넘어 세계 무대에서도 큰 주목을 받았다. 2000년대 초, 영국 대영박물관은 한국관 개관에 맞추어 18세기 달항아리를 대표 유물로 전시했다. 그들은 이 항아리에 ‘Moon Jar’라는 이름을 붙였는데, 이 낭만적이고 간결한 명칭은 곧 전 세계인들에게 달항아리를 기억하게 하는 상징이 되었다. 당시 전시를 통해 달항아리는 대중적으로 알려졌을 뿐 아니라, 서구 예술가들에게도 깊은 영감을 주었다. 영국의 도예가 버나드 리치와 일본의 사상가 야나기 무네요시는 달항아리 속에서 소박하지만 깊은 아름다움을 발견하며 찬사를 보냈다. 그들에게 달항아리는 단순한 도자기가 아니라, 자연과 인간, 전통과 예술을 잇는 상징적 존재였다.

 

 

달항아리_45.5x43.5cm

 

 

한국 내에서도 달항아리에 대한 관심은 꾸준히 이어졌다. 2005년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열린 전시는 공식적으로 처음 열린 달항아리 전시였으며, 많은 관람객들이 백자 항아리 앞에 서서 고요한 울림을 경험했다. 이후 2011년, 달항아리는 ‘백자대호’와 ‘달항아리’라는 두 이름으로 국가문화유산에 등재되면서 그 가치를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 오늘날에도 달항아리는 도자 연구자와 예술가들에게 끊임없는 영감을 주며, 전통과 현대를 잇는 상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현대의 도예가들은 전통적인 방식뿐 아니라 다양한 방법으로 달항아리를 재해석하고 있다. 사용하는 흙과 유약, 소성 방법이 달라지면서 항아리는 저마다 다른 표정을 지닌다. 어떤 이는 전통의 선을 그대로 재현하고자 하고, 또 다른 이는 달항아리를 현대적 조형 언어로 바꾸어낸다. 그러나 모두가 공통적으로 추구하는 것은 달항아리의 본질이다. 소박하면서도 넉넉한 곡선, 그리고 그 안에 담긴 한국적인 정신이다.

 

 

청화운용문달항아리 대호_52x51cm

 

 

달항아리를 만드는 과정은 언제나 쉽지 않았다. 크기가 크기 때문에 건조 과정에서 갈라지거나 소성 중 뒤틀리는 경우가 많았다. 장인들은 흙의 성질을 세밀하게 파악하고, 접합 부위를 보완하기 위해 다양한 기법을 시도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완전함은 남았고, 바로 그 불완전함이 달항아리의 매력이 되었다. 이는 곧 인간과 자연, 장인과 불이 함께 빚어낸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오늘날 달항아리는 박물관의 전시품으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여전히 살아 있는 예술로서 현대 도예의 한 축을 이루고 있다. 전통 속에서 태어났지만, 시대마다 새로운 해석을 거듭하며 지금도 여전히 ‘달빛을 닮은 그릇’으로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다.

달항아리 앞에 선 우리는 단순히 한 점의 도자기를 바라보는 것이 아니다. 그 앞에서 우리는 조선의 미학과 정신, 그리고 지금까지 이어져 온 한국인의 삶의 지혜를 함께 마주한다. 달항아리는 과거의 유물이면서 동시에 현재와 미래를 잇는 다리이며, 그 빛과 형태는 여전히 많은 이들에게 깊은 울림을 전하고 있다.

 

김종영 작가노트

 

 

청화운용문용준대호_66x53cm

 

 

달항아리 작가인 김종영 도예가는 단국대학교 도예미술학 석사 출신으로 전통과 현대를 결합하는 작품을 제작하는 작가이다. 그는 길하다는 행복과 좋은 징조와 행운이 함께하는 도자기 작품을 만들고 있다. '달빛을 닮은 그릇'으로 조선 후기 도자의 정수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유물인 달항아리 (혹은 백자대호)라 불리는 도자를 작업하여 조선의 미학과 정신, 지금까지 이어져 온 한국인의 삶의 지혜를 담는다.

 

작가의 작품은 단순히 과거의 유산을 계승하는데에 그치지 않는다. 전통적인 상하부 접합 기법을 활용하여 형태의 자연스러운 비대칭미를 살리기도 하지만, 옹기 기법, 무유소성(유약을 바르지 않고 구워내는 기법) 등 다양한 기법을 활용하여 작품의 깊이를 더한다. 깊이 있는 작품에 현대적 미감으로 표현하여 오늘날의 의미와 가치를 더 하는데 앞장을 서고자 한다. 그는 흙에서 시작해 불로 완성되는 도자 예술의 과정을 30여 년간 이어오며 오랜 숙련과 노력으로 만들어낸 작품을 통해 보는 이에게 평안과 위로를 안겨주고 있다.

 

만월의 한가위를 품고 있는 10월에 둥근 보름달을 닮은 한국적인 정서가 묻어 있는 외형적 아름다움을 넘어 선조의 지혜와 정신을 담아 표현한 순백의 달항아리 30여점의 작품이 장은선 갤러리에서 선보인다. 김종영 작가는 부산공예학교 도예전공을 졸업하였으며, 단국대학교 도예미술학 석사 출신이다. 총 23번의 수상경력을 가지고 있으며, 18번의 국내 전시와 이태리 ,영국,미국,중국등 수많은 해외 전시를 하였다.

ISCAEE 국제도자예술협회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으며, 현재는 길상요 대표이며 도자공예기능사 심사위원 및 국사편찬위원회에 우리역사 달항아리 교육자료로 등재되어 있으며 도예가로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다.

 

 

주화운용문용준호_26.5x33.5cm

 

 

청화운용문용준호_27x34.5cm

 

 

 

 

 
 

김종영 | 金琮永 | KIM JONG YOUNG

 

부산공예학교 도예전공 졸업 | 단국대학교 도예미술학 석사 과정

 

국내 전시 | 1999 한국문화상품전 | 2008 진보하는 전통 | 제1회 경기도자장인보존협회전 | 2010 이천의 말 맘 막걸리잔 | 2011 제16회 전주전통 공예전국대전 | 제3회 목포도자기 전국공모전 | 아름다운 나눔 보듬터 도예展 | 2015 전통과 현대도예의 만남 展 | 2016 이천 도자의 변화와 모색 60년 | 2019 제2회 장인회 정기 회원전 | 2020~2021 양구백토 천개의 빛이 되다 | 2022 한 중 도예교류전 | 장인들의 소통 | 한국 차 항아리 전 | 전통속에서...를 발견하다 | 길상요 김종영展 (개인전) | 2023 한중 도예전(2023 韓中 陶艺展) | 2024 음과 양의 미학 두 마리 용의 대화 (개인전)

 

해외 전시 | 2003 Italy Milano International Exhibition | 2016 미국 산타페시 전시 | 2016 American museum of ceramic art | 2017 중국 지보시 국제 막사발 축제 전시 | 2022 영국 COLLECT 2022 전시 | 2023 CHINA ISCAEE 전시 | 2024 중국 진시미술관 전시 | CHINA ISCAEE 전시 | 2025 영국 COLLECT 2025 전시

 

기증 | ISCAEE 국제도자예술협회 2023 | ISCAEE 국제도자예술협회 2024

 

수상경력 | 2006 경기도 우수 관광 기념품 공모전 동상 | 2007 제4회경기 도자 비엔날레 도자경진대회 은상 | 2009 제5회 경기 세계 도자 비엔날레 도자경진대회 은상 | 2010 제45회 전국 기능 경기 대회 도자기 부분 금상 | 제45회 경기도 기능경기 대회 도자기 부분 금상 | 2011 제16회 전주 전통공예 대전 입선 | 대한민국 도예 공모전 입선 | 제3회 목포 도자기 전국 공모전 입선 | 제41회 경기도 공예품 대전 입선 | 서울 국제 도자 장신구 공모전 입선 | 2013 제38회 대한민국 전승공예 대전 특선 | 제43회 G 공예 Festival 입선 | 2014 제44회 경기도 공예품 경진대회 동상 | 제39회 전승공예대전 장려상 | 이탈리아 아르질라 국제 물레 경연 대회 특별상 | 2015 제45회 대한민국 공예품 대전 입선 | 제40회 대한민국 전승공예 대전 특선 | 제45회 경기도 공예품 대전 특선 | 2016 제46회 경기도 공예품 대회 입선 | 이탈리아 아르질라 국제 물레 경연 대회 특별상 | 2017 제5회 아름다운 우리 도자 공모전 입선 | 제42회 대한민국 전승공예 대전 장려상 | 2018 제48회 경기 공예품 경진대회 입선

 

현재 | 길상요 대표 (1998~) | 도자공예기능사 심사위원 (2022~) | 충청북도,세종특별시 기능경기대회 심사위원 (2023~) | 한양여자대학교 도자공예기능사 심사위원 (2025) | 한국도예고등학교 평생교육원 강사 (2024~) | 국사편찬위원회 우리역사넷 달항아리 교육자료 협조 및 촬영(2025~) | 고용노동부 선정 우수 숙련기술자(2025~)

 

 
 

* 전시메일에 등록된 모든 이미지와 글은 작가와 필자에게 저작권이 있습니다. *

vol.20251015-김종영 초대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