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載鉉 招待展

김재현 초대전

 

테셀레이션(Tessellation)의 가장자리

 

꽃한송이_45.5x45.5cm_Mixed media on canvas

 

 

 

2025. 9. 18(목) ▶ 2025. 10. 1(수)

광주광역시 동구 충장로22번길 2 | T.062-413-1122

후원 | 대동문화재단

 

www.충장22.kr

 

 

가운데의 테셀레이션_130.3x80.3cm_mixed media on canvas_2025

 

 

[중략]

김재현의 회화세계는 인상적인 자연풍광에 대한 감흥과 교감이 주된 특징을 이루어 온 남도미술 전통과 따로 또 같이 관계되고 있다.

태양의 광휘, 생명의 약동을 화폭에 담아낸 오지호 화백이나 그 자연의 흥취를 주관화된 색채의 향연으로 이끌어낸 임직순, 최영훈 화백 등의 호남 인상주의 화맥과 무관하지 않으면서 또한 그와는 결이 달리하는 독자적 회화형식을 모색하고 있기때문이다. 말하자면, 감성적 태도에서는 같은 동류에 속하지만 화폭의 조형방식에서는 자연감흥의 조형적 패턴호가 두드러지는 것이다.

 

조인호(광주미술문화연구소 대표)

 

 

정원의 꽃_31.8x31.8cm_mixed media on canvas_2025

 

 

느티나무 꽃다발 되어 Ⅰ_80.3x80.3cm_mixed media on canvas_2025

 

 

느티나무 꽃다발 되어 Ⅱ_72.7x72.7cm_mixed media on canvas_2025

 

 

작가노트

 

나는 조형언어 중 visual desgn 부터 시작하여 환경디자인에 투신한 적이 있다.

 

근현대 화단의 흐름이 시대적으로 다른 방법과 형시에 의해 새로운 세계를 열고 그 시대는 때론 내가 보기에는 혼란스럽더라도 진실과 가치를 지니고 있고 있을 것이라 믿는다. 그러함에 자기 충실과 나만의 작품을 위한 간결하고 평면화한 스타일과 형식이 한동안 Set-Up 하여 가보고 싶다.

또한, 논리나 이론 보다는 감성의 여운을 대체하기 위해 형상들의 불 확정성으로 회화적 깊이 감을 주고 싶다.

 

그리하여 예술을 갈망하는 자 모두 이해하고 공감대 형성하기를 희망하지만 그렇지 아니 할 수 있다.

 

창조적 작업이라 할지라도 예술을 갈망 하는 자의 입장에서는 긍정적 한계와 자기 취향의 테두리를 갖게 마련이지만 오늘 나는 순수한 감성이 그 바탕이 되어 다음 여정까지 하염없이 평면화를 향하여 좋은 그림으로 향수자들에게 더욱 더  보편적 진리 앞에 가장 겸허하게 서겠습니다.

 

2025년 09월 18일 김 재 현

 

 

덕이에게_31.8x31.8cm_mixed media on canvas_2025

 

 

여름은 가고_31.8x31.8cm_mixed media on canvas_2025

 

 

테셀레이션의 가장자리_53.0x45.5cm_mixed media on canvas_2025

 

 

여름의 테셀레이션_53.0x45.5cm_mixed media on canvas_2025

 

 

 

 
 

김재현 | 金載鉉 | Kim Jae Hyun

 

조선대학교 문리과대학 응용미술학과 졸업 동 미술대학원 산업디자인과 졸업

 

개인전 | 2001년 제1회 'SPACE'(전남 담양군 내 마음에 풍차) | 2006년 제2회 '공간 물성과 작품전'(INTERIOR SKETCH (광주광역시 Nine Gallery) | 2018년 제3회 '바다로 회귀하다'oil painting(서울 insa art center) | 2019년 제4회 '생명 교감과 시공간'Acrylic on canvas(광주광역시 원 갤러리)

 

초대전 | 2018년 갤러리 아트 엠(질박한 서정의 바다로) 광명시 아브뉴 프랑 광명 | 2018년 무등갤러리 작가지원 프로젝트(예술 길을 걷는 화가들) | 2019년 갤러리 리수 (봄날의 정원전) 서울 인사동 | 2025년 충장22갤러리(테셀레이션(Tessellation)의 가장자리) 광주

 

아트페어 | 2018,19,23,24 광주 아트페어 (김대중 컨벤션 센터) 원 갤러리 부스 외 3회) | 2019년 핑크 아트 페어 서울 2019(그랜드 인터 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7층) | 2023년 대구 블루 아트페어(대구 엑스코 서관1홀)

 

단체전 | 1988-1991년 조선대학교 미술대학 교수전(미술관) | 1992-2016년 백제예술대학교 교수 작품전(백암 예술관) | 2011-2022년 한국미술협회전(학여울 세텍, 한가람 미술관 그 외) | 2007-2024년 누드크로키회 '토만사'전람회(토요일에 만나는사람들, 광주광역시 무등갤러리 외 3곳) | 2015-2024년 Life-Live전 외 6회(예술의거리작가회-무등갤러리 외 3곳) | 2025년 '신록의현장'(한국전업작가회 특별전-담양 담빛 예술창고) | 2025년 '너와 나에게 묻는다'전-25아시아 문화예술 활성화 프로그램(광주 백제화랑)

 

수상 | 1997년 (제10회) 광주광역시 미술대전 대상(2002년 월드컵은 광주에서) | 1998년 (제28,30,31,32회) 대한민국 산업전람회 입선 및 특선 (명예퇴직-98job expo) | 2008년 광주 운암동 벽산 블루밍 제3블럭 조형물 당선(RU21)설치 | 2009년 목포 갓 바위 음악 꽃 정원 내 동물 조형물 설계 당선(목포시청)설치 | 2010년 전라남도 미술대전 입선(서양화 - 시 )

 

공공기관 작품소장 및 설치 | 2018,19,20년 안성시 아양택지개발지구B-3-2 프로그레스 조형물제작설치외5곳(CONNECT,포용) | 2000년 백제예술대학교 도서관 소장(서양화 100호 '시선') | 2002년 광주 시립 미술관 소장('2002월드컵은 광주에서') | 2020-25년 광주광역시농성동,고창군 프로그레스 아파트 조형물 제작설치 외 5곳(밀알되어, 비상)

 

심사위원 | 사)대한민국디자인문화대전 심사위원 | 사천군 펀펀 조각 공원 조형물 심사위원 | 대나무 문화 산업전 심사 외 10회

 

역임 | 사)한국공간디자인협회 회장 | 백제예술대학교 교수, 총장(제8,9대) | 사)대한민국 미술대전 활성화 추진위원

 

현재 | 사)한국미술협회 회원 | 누드크로키회 토만사 회원 | 동구예술의거리작가회원 | 광주미술작가회 회원

 

E-mail | one309@hanmail.net

 

 
 

* 전시메일에 등록된 모든 이미지와 글은 작가와 필자에게 저작권이 있습니다. *

vol.20250918-김재현 초대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