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제16회 안평안견예술정신전
꿈 - 몽유도원
제7회 안평안견창작상 수상 김양동 제2회 안평안견 오늘의 작가상 조인호 수상
이종상 · 이영복 · 이철주 · 이환범 · 전정우 · 권기윤 · 김근중 · 오용길 · 김양동 김문식 · 곽자애 · 권소영 · 김영암 · 김영희 · 김영희 · 김용석 · 김외자 · 김유연 김정란 · 김종해 · 노신경 · 류재춘 · 박능생 · 박석신 · 박성식 · 박진균 · 박차분 박태준 · 배기열 · 백범영 · 변명희 · 서정이 · 손광석 · 신철균 · 안혜민 · 양정무 오민수 · 우용민 · 유은진 · 이상서 · 이일구 · 이춘택 · 이현직 · 임순득 · 임진성 장태영 · 정군태 · 정숙모 · 정옥임 · 정유정 · 정태사 · 정현희 · 정형렬 · 제현모 조병수 · 조인호 · 진리바 · 진희란 · 최종국 · 최화정 · 홍기윤 · ㅁㅁㅁ · ㅁㅁㅁ
2025. 7. 9(수) ▶ 2025. 7. 18(금) 개막식 2025. 7. 9(수) pm 5 학술세미나 2025. 7. 9(수) 14시 ~ 15시30분 주제 : 안견의 <몽유도원도>와 한국성 모색 (강사 : 장준석/미술평론가) 제2회 안평안견 오늘의작가상 조인호 부스전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로 83 | T.02-732-3777
제7회 안평안견창작상 김양동 초대전 갤러리도올 | 서울시 종로구 삼청로 87 | T.02-739-1405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 23길 54 (세종빌딩A-306호) T.02-736-2813 | http://mongyudowon.or.kr
인사말
성하의 계절 7월을 맞이하여 제16회 안평안견예술정신전을 개최합니다. 이번 전시는 당대 시, 서, 화 삼절로 추앙받던 안평대군의 예술세계와 안견의 예술성을 기리기 위해 매년 회화, 서예, 문인화 분야에서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는 작가들을 발굴하여 초대하고 있습니다. 원로 및 수상 작가를 비롯하여 총 61명의 초대작가와 함께 그 의미를 되새겨 보는 뜻 깊은 자리가 될 것입니다.
제7회 안평안견창작상 수상자인 서예가 김양동 작가님은 서예 분야에서 왕성한 작품 활동과 더불어 후진 양성 및 서예진흥에 크게 모범이 되신 공적을 기려 제7회 안평안견창작상 수상자로 선정하게 되었으며, 50세 미만에 주어지는 오늘의작가상에는 끊임없는 작품 활동과 확고한 예술세계를 펼치고 있는 조인호 작가님이 수상하였습니다.
본 안평안견현창사업회는 안평대군 사사지인 강화교동도에 ‘안평대군기념관 추진위원회’를 발족하고 주민과 함께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며 안평안견예술정신전를 통하여 우리의 정체성을 확고히 정립하고자 부단히 노력하고 있습니다. 우리문화 계승을 위한 사업에 많은 관심과 성원을 부탁드립니다.
이번 전시회에 아낌없는 성원을 보내주신 정문헌 종로구청장님과 안평안견창작상 및 오늘의 작가상 상금을 후원해 주신 김병희 강서문화원 명예원장님, 장학구 월전미술문화재단 이사장님, 신동은 갤러리도올 대표님께도 깊이 감사드립니다. 또한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로 해를 거듭할수록 높은 수준의 작품을 출품해주신 초대작가님들께도 감사의 말씀 올립니다. 감사합니다.
2025년 7월 (사)안평안견현창사업회 회장 김 문 식
1. 제7회 안평안견창작상 수상_김양동 作_산은 높고 강은 깊은데_47x57cm_古紙,먹,oil,土彩_2023 2. 제2회 안평안견 오늘의작가상 수상_조인호 作_고요한유-검은도_31.5x63.5cm_순지에 수묵_2023
1. 이종상 作_윈형상-염원3_57x57cm_장지화 2. 이영복 作_월악산의 소견_32x63cm_순지에 수묵담채 3. 이철주 作_무제-96017_83.4x71.4cm_한지에 수묵채색 4. 이환범 作_비오는 날의 喜雨_46.5x75cm_화선지에 먹과 채색_2025
1. 전정우 作_虛堂_70x87cm_한지에 먹 2. 권기윤 作_청풍무변淸風無邊_30x90cm_한지에 수묵담채_2025 3. 김근중 作_신몽유도원도(新夢遊桃源圖, Natural Being)23-39_116.9x91cm_Pigment, Mixed Media on Canvas_2023 4. 오용길 作_봄의 기운-인왕산_58x73cm_화선지에 먹과 채색_2023
1. 김문식 作_설악산 장군봉_94x60cm_한지에 수묵_2020 2. 권소영 作_사라지는 빛 Fading Light_105x47.1cm_한지에 수묵_2022 3. 김영암 作_신정호_35x55cm_화선지에 수묵담채_2025 4. 김영희(정원) 作_어느 봄날_45x70cm_화선지에 수묵담채
1. 김영희(항초) 作_먼 뫼흘 바라보니_50x70cm_화선지에 수묵 2. 김용석 作_실상(實相)=허상(虛像)_32x57cm_화선지에 수묵담채_2025 3. 김정란 作_그림이 되다-25_53x45.5cm_한지에 채색_2025 4. 김종해 作_청호산수(靑湖山水)-25_35x100cm_화선지에 수묵채색_2024
1. 노신경 作_in between 0824_91x72.7cm_sewing on the Korean paper_2024 2. 류재춘 作_한국의 달 Korean Moon_90.9x60.6cm_한지에 수묵채색 Ink and color_2024 3. 박능생 作_도시혹은 일상_60x80cm_화선지에 수묵_2020 4. 박석신 作_내 꿈속으로 다이빙_55x65cm_한지에 수묵채색_2024
1. 박성식 作_희망_60x60cm_한지에 수묵채색_2025 2. 박진균 作_계곡의 봄_57.5x110cm_장지에 수묵담채 3. 박차분 作_하얀겨울_34x70cm_한지에수묵_2025 4. 박태준 作_사인암계곡_44x83cm_수묵담채_2025
1. 배기열 作_티파니시리즈-사랑폭포(Tiffany Series_love fall)_72x61cm_Acrylic on canvas 2. 백범영 作_용소폭포(龍沼瀑布)_80x40cm_한지에 수묵담채_2025 3. 변명희 作_充-새13-1 Fullness-Bird13-1_85x47cm_비단에 채색_2013 4. 서정이 作_완재정_54x74cm_한지에 수묵담채
1. 손광석 作_울산바위_48x82cm_한지에 수묵담채_2025 2. 신철균 作_경계-새벽_45x61cm 3. 안혜민 作_그 날의 추억속으로_60x50cm_한지에 수묵담채 4. 양정무 作_情景交融_소나무·허상으로부터 탈피_24x72.5cm_장지에 수묵_2024
1. 오민수 作_산수유람-오르다_84x59cm_한지에 수묵채색_2023 2. 우용민 作_영국사 은행나무_47.5x75cm_한지에먹_2024 3. 유은진 作_선학동 마을_54x70cm_화선지에 먹과 채색_2024 4. 이춘택 作_정취암_119x72cm_한지에 수묵담채_2025
1. 이현직 作_시례호박소_76x36cm_순지에 수묵담채_2025 2. 임순득 作_도동서원과 낙동강_26x50cm_한지에 수묵담채_2024 3. 임진성 作_부유하는 몽유금강_45.5x53cm_한지에 채색과 니금_2023 4. 장태영 作_Live is life_70x70cm_마천 위에 수묵,안료_2023
1. 정군태 作_갯마을_40x50cm_수묵담채_2024 2. 정옥임 作_춘우악윤_39x70cm_한지에 수묵담채 3. 정유정 作_바다 어멍_45.5x53cm_한지에 수묵담채_2025 4. 정태사 作_應視_35x40cm_한지에 수묵담채
1. 정현희 作_피안(彼岸)2025-3_32x45cm_한지에 수묵_2025 2. 정형렬 作_산_50x72cm_수묵담채_2025 3. 제현모 作_덕수궁 돌담길_51.5x35cm_비단에 수묵채색_2020 4. 조병수 作_돌로미테 산장_38x50cm_마지에 먹_2024
1. 진리바 作_月園_49x51.5cm_천에 먹,석채_2024 2. 진희란 作_인왕기차_83.5x58cm_순지에 수묵담채_2024 3. 최종국 作_仙巖寺一柱門(선암사일주문)_37x62cm_한지에 수묵담채_2025 4. 최화정 作_over a wall_72x72cm_한지에 수묵담채_2024
1. 홍기윤 作_ 설악-구곡담_66x66cm_한지에 수묵담채_2025 2. 곽자애 作_순수한 사랑_70x70cm_화선지에 수묵담채 3. 김외자 作_명상중_72x35cm_화선지에 수묵담채_2024 4. 김유연 作_般若心經(반야심경)_35x45cm_한지에 먹
1. 이상서 作_예서천자문_125x67cm_한지에 먹 2. 이일구 作_겨울이 지나고_46x68cm_화선지에 수묵채색.아크릭_2025 3. 정숙모 作_우린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날까_38x53cm_혼합재료
|
||
|
||
* 전시메일에 등록된 모든 이미지와 글은 작가와 필자에게 저작권이 있습니다. * vol.20250709-제16회 안평안견예술정신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