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촉, 결, 층 展 Touch, Grain, Layer
김홍주, 함명수, 이강욱
페이토갤러리
2025. 6. 12(목) ▶ 2025. 7. 12(토) 서울특별시 중구 동호로 220, 4F | T.02-2233-8891
김홍주 作_무제, 2021_면천에 아크릴_160x170cm
회화는 본질적으로 감각의 매체다. 여기서 감각은 시각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표면의 마찰, 시간 속의 반복, 손끝의 떨림, 기억과 촉각의 잔상을 모두 내포한다. 예술은 재현이 아니라 감각을 구성하는 것이며, 회화는 더 이상 눈으로만 보는 대상이 아니다.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사회학자인 질 들뢰즈는 회화란 "감각(sensation)의 진동을 생성하는 힘"이라 말한다. 감각은 물질과 물질 사이에서 발생하는 힘의 흔들림이며, 이미지를 넘어 몸으로 느끼는 물성의 파동이다. 또한 모리스 메를로 퐁티는 "우리는 세계를 보기 전에 먼저 만진다"라고 말했다. 살(flesh) 개념과도 맞닿아 있는 그의 언급은 회화는 시각 이전의 감각 즉 물질이 피부를 통과하는 직접성을 동반하며 존재한다는 것을 뜻한다.
함명수 作_생멸감각, 2025_oil on canvas_72.7x53.1cm
《촉, 결, 층》 展에서는 비가시적 감각의 층위를 드러냄으로써 감각의 울림을 전면에 드러내고 있는 작가 김홍주, 이강욱, 함명수 세 작가의 작업을 소개한다.
이강욱 作_invisible Space - image 25014, 2025_mixed media on canvas_130x80cm
|
||
|
||
* 전시메일에 등록된 모든 이미지와 글은 작가와 필자에게 저작권이 있습니다. * vol.20250612-촉, 결, 층 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