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제30회 폴정 Paul Jeong | 정수모 展
오래된 기억의 소리 Old - Sound of memory
기억의 흔적B_320x254cm_캔버스 아클릭_2025
B동 미술관
2025. 6. 10(화) ▶ 2025. 6. 22(일) Opening 2025. 6. 10(화) 17:00 | 관람시간 13:00~18:00(월요일휴관) 인천광역시 중구 제물량로218번길 3 | T.032-760-1007 후원 | 인천광역시, (재)인천문화재단
오래된 기억의 소리_210x355cm_캔버스 아클릭_2025
연금술사 펼쳐 보이는 신비의 세계 - 폴 정의 그림들을 둘러보며 하일지/ 시인, 소설가, 화가
폴 정의 예술은, 평면 회화이거나 입체 조형미술이거나 모두 신비경을 만들어내고 있다. 태초의 세상을 보는 듯한 그의 설치미술 작품들, 바람 소리가 들리는 듯한 대지를 펼쳐 보이는 그림들, 오래된 프레스코 벽화 같은 그림들이 하나같이 만들어내고 있는 것은 신비롭고 경이로운 풍경들이다. 따라서 우리는 경외감을 가지고 그의 작품들을 바라볼 수밖에 없게 된다. 그런데, 그가 펼쳐내는 이 신비한 풍경들은 친숙한 데가 있다. 말하자면 충분한 보편성을 획득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것은 누구나가 가지고 있는 꿈의 한 자락 같기도 하고, 무의식의 잔상들처럼 느껴지기도 하기 때문이다. 그의 화폭 위의 세계는 낯설고 기상천외한 것이 아니라 무의식 세계의 익숙한 장면들의 편린들을 펼쳐놓고 있다. 얼핏 보면 그의 그림들은 추상화처럼 보일 수도 있다. 그러나 사실은 엄격한 구상화라고 할 수 있다. 그의 그림이 다른 구상화 화가들의 작품들과 다른 점이 있다면, 그는 눈에 보이는 것을 그리는 대신, 눈을 감았을 때 들리는 소리와 느낌과 잔상들을 그리고 있다는 것이다. 눈에 보이는 것이 아닌, 들리는 것들, 느껴지는 것들을 화폭에 담으려 한다는 점이 폴 정의 독보적인 예술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생각해보면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화가들은 눈에 보이는 것을 그리는 데 일생을 바치고 있는 것 같다. 알타미라 동굴벽화에서부터 안셀름 키퍼에 이르기까지 화가들은 눈에 보이는 것을 여하히 잘 그려내느냐 하는 문제를 천직으로 여기며 살아오고 있는 것 같다. 이런 소명(召命)에 충실하기 위하여 소년시절부터 화가들은 수많은 뎃생을 했던지 모른다. 눈에 보이는 것을 있는 그대로(tel quel) 그려내는 것, 그것은 예술의 오랜 과제였다. 이러한 명제는 현대회화에 와서도 근본적으로 바뀌었다고 할 수는 없다. 차이가 있다면 보는 눈의 차이가 있을 뿐이다. 그러나 폴 정은 눈에 보이는 것이 아닌 귀에 들리는 것, 눈을 감았을 때 느껴지는 것을 그리고 있다.
오래된 기억의 소리2_160x455cm_캔버스 아클릭_2025
오래된 기억의 소리4A_162x145.5cm_캔버스 아클릭_2025
폴 정의 예술작품들은 시적(詩的)이다. 그의 작품들은 이제는 까마득히 잊어버린 태고의 서사시 소절처럼 느껴진다. <바람-기억의 소리>시리즈의 작품들은 쓸쓸한 서정시를 읽는 것 같다. 그런가 하면 이번에 전시하는 <신화-기억의 소리>시리즈의 작품들 또한 보다 깊이 있는 종교적이고 명상적인 시들을 읽는 것 같다. 사실 그의 작품들은 시적 운율을 가지고 있다. <바람-기억의 소리>의 그 춤추는 듯한 선들이나 <신화-기억의 소리>의 색의 농담이 만들어내는 리듬이 시의 운율과 다르지 않다. 수많은 선들과 농담을 달리하는 색들이 율동을 하듯 화폭 위에 펼쳐지면서 신비롭기 그지없는 풍경을 펼쳐내고 있으니, 그는 가이 연금술사라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그의 미술은 전혀 현란하지가 않다. 선과 색이 엄격한 내재율에 따라 절제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높은 격조를 느끼게 한다. 말이 나왔으니 말인데, 내가 폴 정의 작업실을 처음 방문했을 때를 잊지 못한다. 작업대 위에는 온통 춤추는 듯한 검은 선들로 이루어진 그림들이 가득히 펼쳐져 있었다. 그 절제되고 엄격한 작품들 앞에서 나는 한동안 말을 하지 못했다. 그러던 내가 마침내 입을 열었다. “왜 색을 쓰는 것에 이렇게 인색합니까?” 말은 이렇게 했지만 그가 왜 이토록 색을 억제하는가 하는 것을 내가 모르는 것은 아니었다. 색은 진실을 덮어버릴 수도 있고, 대상을 가볍게 만들어버릴 수도 있는 것이다. 그런데도 나는 다소 짖궂게 계속했다. “선생님의 작품 세계를 짐작하지 못하는 것은 아니에요. 그렇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색에 의지해요. 색이 없으면 불안을 느껴요.” 그때서야 폴 정은 빙그레 웃으며 “내가 너무 인색했나요?” 라고 말했다. 말은 그렇게 했지만 나는, 색이 억제된 폴 정의 그림들이 좋았다. 지난 5월에 나는 인천에서 열린 폴 정의 개인전 <신화-기억의 소리>를 보기 위하여 인천까지 갔다. 전시장 입구에서 나를 맞이한 그는 귓속말을 하듯 나에게 말했다. “접때 하 선생님이 색에 너무 인색하다고 해서 이번에는 색을 많이 썼어요.” 전시장에 들어선 나는 500호 짜리 거대한 그림 앞에 경탄할 수 밖에 없었다. 페허 속에 묻혀 있던 거대한 프레스코 벽화를 보는 것 같았기 때문이다. 그는 분명히 색을 쓰고 있었다. 그러나 그 색 또한 절제되어 있었다. 그 절제된 색은 수많은 디테일들을 만들어내면서 쉰 목소리로 장엄한 서사시를 낭송하는 것 같았다. 나는 이 고결한 예술가, 신비한 연금술사 앞에서 머리를 조아릴 수밖에 없었다.
오래된 기억의 소리4B_162x145.5cm_캔버스 아클릭_2025
오래된 기억의 소리5_160x455cm_캔버스 아클릭_2025
오래된 기억의 소리8_160x455cm_캔버스 아클릭_2025
오래된 기억의 소리11_98x350cm_캔버스 아클릭_2025
|
||
■ 폴 정 | Paul Jeong | 정수모
1996년 프랑스 베르사이유 에꼴 데 보자르 졸업
개인전 | 1995 프랑스 파리 에티엔 코상 갤러리 외 30회
단체전 | 2025 작.담.화.객 전 (도든아트하우스 갤러리) | 2024 Inside전 (우현문갤러리) | 2023 서울 ,교토 6000 seconds 전 (서울 kUMA 미술관) | 2021 Now Here 전시회 (갤러리 스페이스 엔) | 2020 현대 미술기획전 (더리미 미술관) | 2019 Art story 전 (지누바움 미술관) | 2018 동시대와의 교감전 (지오갤러리) | 2015 한국-폴란드 국제교류전 (부평미술관) | 2013 독일 카스트시 초대전 (독일 카스트 시립미술관) | 2010 인터 뷰 Inter view 전 (인천 아트 플랫폼) | 2010 서울 ,교토 6000 seconds 전 (서울 kUMA 미술관) | 2010 인천 산동 국제전 (부평 역사 박물관) | 2007 독일 카스트 초대전 (독일 카스트 시립미술관) | 2007 서울-동경 6000 seconds 전 (동경 학예원 대학 미술관) | 2006 부산비엔날레 프로젝트 특별전 (부산 APEC 나루공원) | 2002 대구 현대 미술초대전 (대구 문화예술회관) | 2001 황해 미술제 (다인 갤러리) | 1986 에꼴 드 서울 전 (관훈미술관) | 1985 아세아 현대 미술제 (일본 후쿠오카 시립미술관) | 1985 제2회 국제 슈 박스 전 (미국 위스코신, 카나다 온타리아 미술관 등 20개 미술관 순회전) | 1985 국립 현대미술관 기획 청년작가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4 후앙 미로 국제 드로잉전 (스페인 바르셀로나) | 1982 사변 연습 전 (공간미술관) | 1982 현대미술상황-인천 전 (몽마르뜨 화랑) | 1975 ~ 1977 제3,4,5회 앙데팡당 전 (국립현대미술관) 외 400회 전시
작품소장 | 국립 현대미술관 외 20개 공공기관
역임 | 경희대 교육대학원 주임교수 역임
E-mail | twinjjj@naver.com
|
||
* 전시메일에 등록된 모든 이미지와 글은 작가와 필자에게 저작권이 있습니다. * vol.20250610-폴 정 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