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의 산책자 - 회복연습의 길 展
권현빈, 김준, 박소희, 박형근, 오지은, 우숙영, 134

블루메미술관
(구 BSSM 백순실미술관)
2025. 4. 26(토) ▶ 2025. 8. 31(일)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법흥리 헤이리마을길 59-30 | T.031-944-6324
http://www.bmoca.or.kr

권현빈 作_하늘+, 2024_대리석에 잉크_72x62x52cm
“자연이 어떻게 생각하는 뇌를 회복시키는가” “건축 20주년, 살아있는 나무를 품은 미술관에서 우리는 산책자가 된다.
블루메미술관은 경기도 파주시 후원으로 4월 26일부터 8월 31일까지 <0의 산책자 – 회복연습의 길>전시를 개최한다. 예술과 자연의 공간이 공존하는 블루메미술관의 건축 20주년을 기념하는 이 전시는 예술로 자연의 힘을 읊어보고자 한다.
이 전시는 자연에서의 인지적 회복경험을 예술의 언어로 기술하며 뇌와 자연, 예술의 연결고리를 탐색하는데 있어 과잉 활성화된 것을 비활성화 상태로 낮추고 억제된 것을 이완시켜 0의 균형상태로 되돌리는 회복의 힘에 주목한다.
“우리의 뇌는 자연이 필요하다.” 많은 뇌과학자들이 자연의 효과를 연구하고 있다. 이들에 따르면 인간이 자연을 마주할 때 수많은 감정에 휩싸이는 이유와 예술작품과 만날 때의 신경학적 반응이 연결되어 있다고 한다. 자연경험의 손실과 더불어 동시대 많은 사람들이 집중력을 도둑맞고 불안과 우울증을 앓고 있는 때, 자연이 어떻게 생각하는 뇌를 회복시키는가에 대해 7명 작가의 조각, 회화, 사운드, 설치 12점을 통해 이야기할 예정이다.
이 전시는 예술가들에게 자연의 무엇이, 어떤 자연이 예술적 발화의 작용에 관여하는지, 창작을 위한 회복과 재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물으며 예술가의 언어를 따라 0이라는 회복의 상태를 함께 연습하는 자연산책자들을 위한 하나의 산책로를 일구어 보고자 한다. 이 길에서 자연은 권현빈의 작은 바위 하나 또는 조망성 있는 오지은의 큰 풍경처럼 서로 용량이 다르고, 박형근의 생명을 품은 은신처의 시선이나 박소희의 엉클어진 소멸의 공간처럼 해체되거나 생성되는 모습으로, 때로 김준이 전하는 날 것의 소리로, 134가 자연 앞에 자세를 낮추어 시선을 맞추는 문화적인 제스처로, 우숙영이 담아낸 다양성 그 자체와 같은 여러 모습의 단면들로 서로 다른 산책자들에게 회복연습을 제안할 것이다.
자연결핍 시대 길가의 나무 한 그루를 품고 지은 건축, 정원이라는 작은 자연을 돌보는 미술관이 목도해온 작지만 강력하고 중요한 자연의 힘을 소통하며 이 전시안에서 산책길 위에 들어선 관객은 모두가 한번쯤은 연습한 적이 있는 ‘미시적 회복경험’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오지은 作_어둡고 차가운 희망, 2024_캔버스에 유화_227.3x727.2cm

박소희 作_COMPLEX, 2023_칡덩굴, 느티나무가지_가변크기

박형근 作_Tenseless-68, A bulb, 2010_C프린트_120x150cm

우숙영 作_초록의 초상, 2024_인공지능 생성 영상_5분

김준 作_깊은 우물, 2024_복합매체(목재, 스피커, 앰프, 건조된 식물, 수집된 암석들, 3채널 사운드)_가변크기

134 作_555, 2023_복합매체(패브릭, 금속)_50x50x44.4cm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