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피해복구 성금 마련을 위한 전시

 

키메라영 초대展

 

2025 뱀의 알레고리전

 

 

 

 

슈갤러리

 

2025. 4. 12(토) ▶ 2025. 4. 24(목)

관람시간 | am 10:30 - pm 6:30

서울특별시 중구 남산동 2가 24-9

 

 

관념의 십자가_Mixed media on canvas_60.6x60.6cm_2024

 

 

2025년 4월 12일부터 24일까지, 서울 남산 중턱에 위치한 슈 갤러리에서는 중견 작가 키메라영의 초대전 ‘2025 뱀의 알레고리展’이 개최된다. 이번 전시는 단순한 개인전을 넘어, 산불 피해 복구를 위한 성금 마련이라는 뜻 깊은 전시로 진행된다.

 

또한 작가는 이번 전시에서 판매되는 모든 작품의 수익금 100%를 산불 이재민 돕기 성금으로 기부하겠다는 뜻을 밝혀 큰 관심을 모으고 있다. 키메라영 작가는 "불타버린 조국 산하와 우리 모두의 고향, 그리고 슬픔과 절망에 빠진 가족들에게 조금이나마 위로를 전하고 싶다"고 밝혔다.

 

키메라영 작가는 대한민국의 중견 작가로, 독창적인 작품 철학을 담아 회화와 설치 등 다양한 작업을 해왔다. 또한 K.SAAF 아트기획 대표, 아트 디렉터, 아트그룹 옴니보어 대표로 활동하며 열정적인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최근에는 에세이집 출판을 앞두고 있으며, “2025 제17회 옴니보어 아트 쇼”와 “2025 애니멀 아트 페스티벌” 전시를 기획하고 추진 중이다.

 

 

굿 모닝 땡큐!_Mixed media on canvas. collage_116.8x91cm

 

 

키메라영(KIM MI YOUNG) 작가노트

 

키메라영은 뱀(Snake)에 대한 자신만의 철학을 바탕으로 독특하고 유니크(unique)한 작품을 그려내는 작가주의 예술가(auteurism artist)이며, 디오니소스적 예술가이다.

 

키메라 영 작품은 ‘고통 받는 인간’에서 부터 출발한다. 작가는 2019년 코로나 19를 겪으며 인간의 고난에 대해 생각하였고, 인간의 고통과 허무를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를 사유한다. 작가 자신도 수 없이 겪어낸 고난의 삶, 그 혼란 속에서 자기 조직화된 삶의 철학이 작품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작가는 어릴 적 트라우마(trauma)로 남아있는 뱀의 기억을 소환하여 의미를 부여했다. 예술적 영감으로 드러난 작가의 트라우마는 날 것 같은 거칠고 고통스러운 경험이지만 창작에 새로운 변화를 드러낸다. 작가가 가장 싫어하는 동물인 뱀(snake)을 모티브(motive)로 설정하여 인간이 가장 싫어하는 고난과 그 고난을 넘어서려는 초극적 존재로 설정하여 다의적 의미로 해석했다. 작가는 뱀과 작가의 고난의 경험, 그 둘 사이의 관계를 꿰메어 기표와 기의로 결합하고 작가만의 언어를 창조했다. 작품에는 작가의 기억이나 경험에서부터 산출된 이미지(뱀)와 스토리가 서술적 구조로 녹아있다. 작가는 ‘뱀’의 추함을 미학적 차원으로 끌어올리고, ‘뱀’과 ‘고통’을 창의적으로 새롭게 해석했다.

 

 

눈물화석_Acrylic on canvas. collage_80x60cm_2024

 

 

작품의 형식은 장르를 해체하여 작가만의 재해석으로 구성된 작품으로 표현이 자유롭고 독특함을 보여준다. 표현에서의 주요기법은 데포르메(데포르마시옹) 기법, 더 페이즈망 기법, 꼴라쥐(collage)기법을 주로 사용하여 표현하였다. 특히 꼴라쥐(Collage)한 텍스쳐(texture)는 작가 자신이 고난 받을 때 입었던 옷으로 자신을 기념하는 자전적 스토리가 담겨있어 작품에 작가의 스토리를 중첩시켰다. 또한 고난에 대한 또 다른 레이어를 이끌어 가며 자전적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을 빛나게 한다. 그것은 작가를 대표하는 하나의 표식이며, 삶에 대한 애착과 긍정, 자기애이기도 하다. 이러한 헌 옷의 재활용은 업싸이클링(Upcycling) 작업이기도 하다. 작업에 있어서 즉흥성은 작가의 참신한 창의성에 활기를 주며 새로운 분위기를 연출하고 작품의 묘미를 더한다. 이러한 작업은 작가만의 숨겨진 필연적 이유가 있다.

 

작품 속의 뱀은 인간이 가장 싫어하는 고통과 고난이며, 현실과 타협할 수 없는 억압된 욕망과 시련, 등 삶의 총체적 감정의 스크랩북이다. 또한 고난을 극복해가는 초월적 능력을 지닌 존재 니체의 초인(Übermensch)과 키메라로, 고난을 넘어서려는 인간의 은유로 그려진다. 작가는 초극적 인간 초인(Übermensch)을 지향하는 희망을 신화적 존재인 뱀에 담아 밝고 생동감 넘치는 색채로 표현했다.

 

또한 뱀보다 더 강한 신화 속 동물 ’키메라(그리스어: Χίμαιρα, 영어: Chimaera)‘를 작품에 영입하여 어떤 시련에도 이겨낼 강한 키메라를 내세운다. 각각 서로 다른 3개의 개체(뱀. 사자, 양)가 하나의 몸 안에 있는 키메라는 뱀의 지혜와 초능력, 사자의 강함과 양의 아름다움 등을 더하여 초극적 능력자이다. 이러한 키메라는 삶의 고난이면서, 고난을 넘어서려는 인간으로, 사람들이 그 능력으로 삶을 춤을 추듯 살아가기를 바라는 작가의 염원이 담겨있다.

 

이러한 작가의 언어는 통념을 깨고 새로운 세계를 열어준다. 그래서 불행이라고 생각하는 삶 속의 고난을 재해석하여 ‘삶의 원동력’이며, ‘삶의 꽃’이라고 역설적 해석을 한다. 이러한 작품은 개인적 삶의 고통과 시련, 그리고 그것을 이길 초인적 지혜와 초인적 힘과 미적인식 능력 등 삼위일체 능력을 제시한다. 또한 인류가 해결해나가야 할 전쟁과 기아, 환경문제 등 지구상의 많은 과제들을 삼위일체 능력으로 잘 극복하고 아름다운 미래사회를 열어가기를 바라는 작가의 염원과 인간애(人間愛)가 담겨있다.

 

 

Good morning thank you!_60.6x60.6cm_Acrylic on canvas

 

 

디오니소스적 아티스트

 

독일의 철학자 프리드리히 니체는 고통에 익숙하고, 비극적일지라도 나아가 극적인 반전을 이루어낼 수 있는. 삶의 의지로 고통을 헤쳐 나가는 그런 인간에 대한 알레고리로 초인(위버멘쉬)과 디오니소스적 예술가를 말한다. 작가는 스스로 자신을 ‘디오니소스적 아티스트’라고 말한다. 즉 고통이 내면화된, 디오니소스적 부활이 훈련된, 삶의 가장 낯설고 가혹한 문제들에 직면하여 그 문제를 재해석하고 삶 자체를 긍정하는 사람이라는 것이다. 작가의 이런 정신은 삶의 수용적 자세와 삶의 딜레마를 희망적으로 풀어가는 작가의 대화법이기도 하다. 이러한 작가의 작품세계는 삶과 연속선상에 놓인 하나이며, 작품은 작가의 삶이 응집된 결정체이다.

 

역설적이게도 작가의 작업 속에 나타난 열정과 풍요와 긍정은 삶의 오랜 시련과 결핍이 가져다준 선물이다. 이렇게 작가의 작업 기저에는 작가가 겪은 삶의 고난으로부터 시작된 인문학적 통찰의 깊이와 철학이 담겨있다. 그만큼 작가의 지나온 삶의 자리가 코피처럼 검붉다. 일상의 모든 자극과 고난은 작업의 원천이며 그것을 극복하고자 하는 긍정적 초인 정신과 연결된다. 새로운 것을 탐구하며 찾아가고 발견해내는 일, 없는 길을 만들어 가는 일, 이 모든 일들은 작가의 삶 속에 있으며 예술정신에서 나오는 작가의 예술적 삶을 대변한다. 그것은 바로 삶을 위한 예술, 니체가 말하는 ‘디오니소스적 예술가’인 것이다.

 

 

Good morning thank you!_60.6x60.6cm_Acrylic on canvas

 

 

 

 

키메라 영

 
 

키메라 (KIMERA YOUNG) | 김미영

 

Installation & Painting. 융복합 Multi Artist.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회화전공 석사졸업(M.F.A)

 

개인전 Solo shows | 일본 다카사키미술관 외 20회

 

아트페어 Fair booths | BAMA 외 13회

 

국내외 Group shows 초대전 | 구스타프 클림트 생가 국제전 외 130여회

 

수상 경력 | 한국수채화협회 공모전 대상 외 다수 | 제 22회 한국수채화협회 공모전 대상 (성남아트센타) | 제 22회 대한민국 신미술대전 최우수상 (서울시립미술관) | 제 42회 목우공모미술대전 입선 외 다수 입상 | 제 5 회 한성 백제미술대전 특선 (송파문예회관) | 2012, 12 서초구청장(진익철) 표창 | 2016. 제1회 관념미학 어워드 수상 | 2021. 미술문화 오마주상(ART CULTURE HOMEMAGE AWARD)-언론. 미술부문 | 2021. 2021한국미술진흥원 특별기획전 특별상 수상 | 2022. 아트코리아방송 문화예술대상 특별상(2022) 그 외 다수

 

경력 | 문화예술교육사 콘텐츠 개발 및 프로그램 진행 | 수채화 강사 | 문화예술교육사 | 평생교육사 | 수필가 | K.SAAF아트기획 전시기획 30여회, 아트디렉터 | 예술그룹 <RESUME회>창립(2010년~현재) | 한국수채화페스티벌운영위원 | 한국수채화아카데미운영위원 | 수채화트리엔날레 교육분과위원 | 코파글로벌미술대전 운영위원 | 대한민국신미술대전심사위원 | 행주미술대전심사위원 | 사)한국수채화협회공모전 심사위원. 제1회AoA 어워드 ASIA 심사위원 | (주)아트코리아방송 문화예술대상준비위원장 | (주)아트코리아방송 문화국장. 기자. ㈜아트코리아방송 문화예술이사 | 사)녹색중앙회 기획실장, 사)안견기념사업회 자문위원 | 옴니보어 아트 쇼 대표 | 애니멀 아트 페스티벌 대표

 

현재 | 사)한국수채화협회 | 아트그룹 옴니보어 대표 | 사단법인G.ART미술포럼 | 대한민국신미술대전초대작가 | K.SAAF아트기획대표

 

작품소장처 | 서울대법원 | 법무법인(유)광장 | 당구협회 | (주)은진기계 | 생명의 교회 | (주)남호실업 | (주)박행임의 워터테라피 그 외 개인소장 다수

 

Instagram | https://www.instagram.com/kimera_young/

E-mail | klpeace@hanmail.net

 

 
 

* 전시메일에 등록된 모든 이미지와 글은 작가와 필자에게 저작권이 있습니다. *

vol.20250412-키메라 영 초대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