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제5회 이대형 展 Danny Lee
What I see and What I know
Magnolia_40F_2025
2025. 4. 9(수) ▶ 2025. 4. 22(화)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5길 4, 1층 | T.02-738-0321~2
https://www.instagram.com/galleryluben/
Monument for me_20F_2025
보이는 것과 아는것 자연을 향한 나의 예술 여정
관념은 시간을 따라 흐르며 무의식 속에 스며든다. 보고, 느끼고, 스치는 모든 것들이 내면에 축적되며, 그것이 곧 세계를 인식하는 방식이 된다. 한국에서 태어나고 자란 나는 사계절의 변화를 온몸으로 경험하며 나즈막한 산들과 들꽃과 야생화를 보며 시냇물 소리를 듣고성장했다. 한국의 자연은 나에게 있어 조화롭고 안정적인 질서였고, 그것은 내 작품의 시각적 언어가 되었다. 내 작픔 속에서 자연은 표현의 소재 이기도 하지만 감각과 기억이 녹아든 형상이었다. 아마 내가 “아는것” 이라 표현한 것들은 내 안에 있는 나만의 형상이며 관념이기도 하다.
미술대를 졸업하고 30대 초반, 미국으로의 이주한 후에 나의 세계관은 나도 모르는 사이에 많이 바뀌었다. 삶의 현장이 바뀌었고 보이는 현상과 모습도 달라진후, 시간의 흐름은 나의 인식의 세계 또한 변하게 하였다. 한국에서 경험한 자연과는 완전히 다른 것들, 요세미티의 거대한 바위산, 그랜드 캐니언의 끝없는 협곡, 조슈아 트리의 기이한 실루엣 등등, 그것들만이 내게 변화를 준것은 아닐것이다. 자연은 인간이 살고 숨쉬는 부드럽고 조화로운 세계 이기도 하지만, 본능적이고 원초적인 힘이 응축된 공간 자체이기도 하다. 자연속에서의 한 인간은 한없이 작고, 나의 존재는 그 앞에서 무력하게 느껴질때가 많다. 이민자로써 미국의 자연이 내게 주는것 그리고 나의 삶의 현장, 사회의 흐름과 나의 본능과 감각들은 항상 충돌 그 자체다. 나는 이 새로운 감각과 감성들은 자연을 있는 그대로 묘사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내게 불러일으키는 강렬한 정서와 본능적 반응을 화면 위에 옮기기 시작했다.
Monument 2_20F_2025
더 이상 자연을 객관적으로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감각적으로 해체하고 재구성하는 방식으로 나의 회화적 태도에도 근본적인 전환을 가져왔다. 이는 20세기 초 표현주의 (Expressionism) 화가들이 그랬듯이, 자연과 인간을 있는 그대로 묘사하는 것이 아니라, 내면의 감정과 주관적 경험을 화면에 투사한 방식과 유사하다. 그들은 색과 형태 그리고 붓의 움직임을 감정의 직접적인 표출로 활용하며, 외부 세계를 그들의 내적 감각에 따라 변형했다. 나 역시 미국의 광활한 자연을 마주하며, 단순한 관찰을 넘어 내면에서 요동치는 감각과 감정을 색과 붓질을 통해 표출하고자 했다.
자연 속에서 형상은 표현의 모티브가 되었고, 색은 화면 안에서 충돌하고 형태가 왜곡되었다. 나는 더 이상 형태를 고정된 틀 속에 가두지 않았다. 색은 감정의 강도를 반영하며, 거친 붓 터치는 순간의 에너지를 담아낸다. 이는 드 쿠닝(Willem de Kooning)이나 프란츠 마르크(Franz Marc) 같은 표현주의 화가들의 기법과도 닮아 있다. 그들은 자연을 충실히 재현하는 대신, 그것이 자신에게 남긴 감각적 충격을 과감한 붓질과 강렬한 색감으로 형상화했다. 나의 작업에서도 자연은 단순한 배경이 아니라, 그 속에서 내가 느낀 정서와 존재의 흔적이 강렬한 형태로 표현된다.
Rock mountain_60F_2025
익숙한 세계가 사라지고, 낯선 땅에서 나의 존재가 부유하는 듯한 이민자로써의 삶 또한 그러했다. 거대한 자연 속에서 내가 작아지는 것처럼, 이민자로서의 정체성 또한 불안정하고 흔들렸다. 그러나 표현주의적 예술이 그러하듯, 이러한 불안정함 속에서 오히려 강렬한 생명력이 탄생했다. 나는 이 감정을 회화적 언어로 풀어내며, 물리적 풍경을 넘어 감각과 정서가 교차하는 공간을 창조하고자 했다. 내 작품 속 야자수, 들꽃, 바위산, 불모의 대지는 단순한 풍경이 아니다. 그것들은 내가 경험한 감정의 총체적 형상이자, 감각의 축적이다. 그것이 나에게 남긴 감각적 울림을 시각적으로 번역한 것이다.
나의 작업, 작품은 시간과 공간, 감정과 사유가 뒤엉킨 하나의 표현주의적 서사이며, 자연을 매개로 존재를 확인하는 예술적 실천이다. 나는 자연을 바라보는 것 뿐만이 아니라, 자연과 함께 호흡하고, 그것이 내 안에서 변형되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나의 작품은 자연과 나 사이에서 생성된 감각과 감정을 화면에 응축하는 과정이다. 내가 지향하는 나의 작품은 나의 정체성과 존재를 탐색하는 하나의 시각적 언어이자 자연을 통해 나를 표현하는 과정이자 결과물이다.
Danny Lee (이대형)
Sun set fantage_60F_2025
My Journey Through Nature and Art
I was born in Korea and grew up surrounded by its landscapes until my university graduation. From the time I started painting at the age of ten until my early thirties, when I moved to the United States, Korean nature was the most familiar and natural scenery to me. The landscapes, with their distinct four seasons, felt harmonious and balanced—almost like a universal truth embedded in my mind. However, when I immigrated to the US in my early thirties, I realized that the nature I had known was not absolute. The vast landscapes stretched endlessly before my eyes, from the grandeur of national and state parks to the seemingly infinite horizon. It was overwhelming, immense, and carried a force that felt as though it could swallow me whole. Standing in the midst of it, I felt incredibly small, as if my existence could disappear without a trace. Living in the US not only changed how I viewed nature but also transformed my approach to color and composition. The harmonious color combinations and balanced structures I had grown accustomed to in Korea felt like the "correct" way of seeing and painting. But the American landscape shattered that belief. Here, towering rocks pierced the sky, colors clashed boldly, and at night, the boundary between earth and sky blurred into an undefined vastness. The conventional rules of color harmony and composition no longer mattered. What became important was the raw intensity of the moment, the sensations that each scene evoked. And even though the external world had changed, my art still emerged from within me, shaped by my own perceptions.
Sun set fantage 2_60F_2025
Life as an immigrant was no different. Just as how I felt small in the face of the overwhelming landscape, I also felt insignificant in this foreign land. The language barrier, cultural differences, and the sheer weight of survival often left me feeling lonely and isolated. Yet, I had to endure. That endurance itself became my energy. I had to work, and through physical exhaustion and emotional solitude, I grew stronger. These experiences found their way into my art as an unspoken forceㅡone that manifested through bold brushstrokes and striking contrasts. The palm trees, wildflowers, rugged mountains, and vast barren landscapes in my paintings are not mere depictions of scenery. They are expressions of my solitude, struggles, and resilience. The strong strokes and contrasting colors reflect the emotions I have carriedㅡthe loneliness, the exhaustion, and the inner strength that emerged from them. Rather than simply portraying nature as it is, I transform it into something deeply personal, infused with the sensations my body and mind have absorbed. I no longer aim to replicate nature. Instead, I interpret it in my own way, embedding my emotions into every piece. The vastness of American nature and the immigrant experienceㅡthe solitude, isolation, and struggle for survivalㅡare all woven into the colors and brushstrokes of my work. In this way, my paintings go beyond landscapes; they become my personal story.
Danny Lee
Sun set fantage 3_60F_2025
Sun set fantage 4_60F_2025
|
||
■ 이대형 | Danny Lee
홍익대학교 미술대학교 졸업 | 1997 년 미국으로 이주
개인전 | 6회 초대개인전: 작업실의오후 겔러리,순천 2025.04.24~04.26 “보이는 것과 아는것” | 5회 개인전: 루벤 겔러리, 서울 2025.04.09~2025.04.22 “보이는 것과 아는것” | 4회 개인전: Shatto Gallery, LA USA 2025.02.05~2025.02.09 “보이는 것과 아는것” | 3회 개인전: G&J 겔러리, 서울 2024.10.23~2024.10.29 “보이는 것과 아는것” | 2회 개인전: 도울 겔러리, 서울 1996.12.25~1997.01.07 “인간에 대한 고찰” | 1회 개인전: 나무 겔러리, 서울 1996.05.26~1996.05.29 “나무 사랑”
그룹전 | 2025 03/04~03/09 AM Gallery 초대 그룹전, 뉴욕 “Iridescent Spectral Color” | 2024.10.09~2024.10.15 베니스, 이탈리아, 아카데미아 Ltinerate Galleries One and Two | 1회 2인전 - G&J 겔러리, 서울 2025.08.16~2023.08.21 동감과 이질전- 시각적 사고 | 제 36회~39회 누리무리전, 서울, 순천
총 100여차례 그룹, 및 기회전 참가 | 한국, 일본, 중국, 뉴욕, 엘에이, 이탈리아 등
현재 | 누리무리 회원 | 켈리포니아 한인 미술협회 회원 | 켈리포니아 남부 오렌지 카운티에 거주 전업 작가
Instagram | https://www.instagram.com/Dannylee_art E-mail | dhl6554@gmail.com
|
||
* 전시메일에 등록된 모든 이미지와 글은 작가와 필자에게 저작권이 있습니다. * vol.20250409-Danny Lee 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