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홍석 展

 

 

군산아리랑 Series_76×116cm, 14ea_CHARCOAL ON KOREAN PAPER_2018

 

 

 

인사아트센터

 

2019. 12. 25(수) ▶ 2019. 12. 31(화)

Opening 2019. 12. 25(수) pm 5:30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길 41-1 인사아트센터 6층 | T.02-736-1020

 

www.insaartcenter.com

 

 

 

군산아리랑 Series_76×116cm, 14ea_CHARCOAL ON KOREAN PAPER_2018

 

 

군산아리랑 Series_76×116cm_28ea_CHARCOAL on korean paper_2019

일기-초혼가( 招魂歌) Series_28×42cm_228ea_oil on canvas, paper, 혼합재료_2018

 

 

체화(體化)된 시간』Embodied time

 

올해는 3.1운동 및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군산항 개항 120주년을 맞이하는 해이다. 이를 기념하여 2019년 3월 19일부터 6월 30일까지 전라북도 도립미술관에서 <바람 부는 날은 장미동(藏米洞)에 간다>라는 주제의 기획전시를 개최하였다. 이번 전시는 도립미술관에서 전시했던 <군산 아리랑>과 <초혼가(招魂歌)> 중에서 일부만 선별하였으며, 그 밖의 작품은 틈틈이 일기를 쓰듯이 그려왔던 미발표 작품들이다.

일제강점기, 우리 선대(先代)는 일제의 쌀 수탈로 인해 춘궁기에 이 땅의 산하에 자라고 피어나는 들풀과 들꽃으로 허기와 굶주림을 채워야만 했다. 그 농민들의 고달픔을 <군산아리랑>을 통하여 어두운 목탄으로 표현하였다. 그러한 역사의 격동기에 죽은 자와 산 자가 서로 위로하고 위로 받으며 서로의 한(恨)과 상처를 보듬어 치유토록 의도했던 작품 연작인 <초혼가>는 어두웠던 역사를 기억하며 새로운 희망의 메시지를 담고자 한 것이다.

1980년대 민주화 항쟁 당시 혼란스럽기만 하던 사회 상황 속에서 인체 드로잉을 통하여 무기력한 자신의 내면을 다양한 표정과 몸짓으로 풀어낸 <독백> 시리즈는 내 삶에 각인된 허무의 실존들이다.

정치적 소용돌이 속에서 산업화와 도시화에 따른 개발에 떠밀려 사라진, 또는 사라지고 있는 <골목길>은 그 안에 켜켜이 쌓인 소중한 삶의 흔적과 그리움, 기억과 풍경이 한순간 송두리째 사라져버린 듯하다.

신작 <시간을 품다>는 작업실 주변을 산책하며 하늘과 대지와 그 위에 피어난 무수한 이름 모를 들꽃과 바람과 구름과 새와 대화하며 풀어낸 상념의 기록들이다. 가슴깊이 품었던 근현대사의 고단한 삶과 역사적 상흔들, 치유되지 않은 내밀한 기억의 트라우마를 재조명하며 성찰한 나만의 은밀한 독백의 기록이다.

체화(體化)된 내러티브이자 노래들이다.

 

작가노트 中에서

 

 

 

군산아리랑 Series_76×116cm, 14ea_CHARCOAL ON KOREAN PAPER_2018

 

 

This year marks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1919 Independence Movement and establishment of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also the 120th anniversary of opening Gunsan Port. To celebrate these events, Jeonbuk Museum of Art held an exhibition titled <Going to Jangmi-dong on a Windy Day> from March 19th to June 30th this year. My exhibition this time is of selected pieces from <Gunsan Arirang> and <Invocating Song> among ones exhibited at Jeonbuk Museum of Art and other pieces are first presented which I’ve painted from time to time like keeping a diar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our ancestors had no choice but to stay hunger with wild herbs and flowers growing on our land in the spring austerity season as Japanese imperialism harshly exploited our rice. I expressed Korean farmers’ hard life on <Gunsan Arirang> with dark charcoal and on <Invocating Song> which was for the living and the dead both to console and to be consoled and to heal sorrow and wound during that turbulent era, I intended to remember the dark history and to deliver a new, hopeful message.

With human body drawings painted under the chaotic social situation with Democratization Movement in the 1980s, the series <Monologue> demonstrates my lethargic inner side with a variety of looks and gestures and is the existence of futility imprinted in my life.

The work <Alley> which has been or is disappearing behind development due to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in a political maelstrom shows us as if traces of life and longing stacked up there till now and memories and landscapes are completely gone as slick as nothing at all.

A new piece <Embracing Time> is records of thoughts that I’ve had while talking with sky, earth, numerous nameless flowers, wind, clouds and birds on a walk around my studio. Shedding new light on exhausting days, historical scars and unhealed inner traumas of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 deep down in my heart, it is the record of my secret monologue and introspection.

It is both embodied narratives and songs.

 

 

일기-초혼가(招魂歌) Series_28×42cm, 51ea_OIL ON CANVAS, PAPER, 혼합재료_2018

 

 

세상의 모든 일상, 일상의 겉과 속

 

작가는 사실은 시간을 그리고 흔적을 그리고 그리움을 그린다. 상실한 것들을 그리고 자신과 더불어 살을 부대껴온 시간을 그리고 가까운 현대 곧 근대를 그린다. 근대의 생활사를 그리고 존재의 흔적을 그린다.

좀 과장해서 말하자면 현대인은 온통 상실의 시대를 살고 있다. 이러한 도저한 상실감이야말로 그가 다름 아닌 현대인임을 증명해주는 징후이며 증표일 수 있다. 그렇게 현대인이 상실한 것 중에 골목이 있고 시장이 있고 달동네가 있다. 하나같이 작가와 더불어 근대를 관통해온 삶의 풍경들이고 전형들이다. 작가는 그것(곳)들을 그림으로 기록하면서 사실은 자신의 삶의 흔적을 그리고, 부재로 남은(그리고 머잖아 부재로 남겨질) 시간(그리고 공간)에 대한 그리움을 그린다.

생로병사와 희로애락과 같은 삶의 질곡을 그린 그림들이다. 삶에서 죽음까지, 죽음을 넘어 재생까지, 삶과 죽음이 무한순환 반복되는 존재의 비의며 우주의 섭리를 그린 그림들이다. 삶의 알레고리를 그린 그림들이다.

미술사 혹은 상호영향사로 치자면 표현주의와 신표현주의 그리고 추상표현주의를 아우르는 표현주의 계열의 경향의 회화를 자기화하고 재해석한 그림들이다. 표현이란 원래 내면에 있던 무엇인가가 자기 외부로 표출되고 분출되는 것을 말한다. 다른 경향의 그림들에 비해 주체가 강조되고 주체의 내면적 경험에 방점이 찍히는 그림들이다. 주체의 내면적 경험? 바로 내면에 응축된 응어리가 그린 그림이며, 응어리로 그린 그림들이다.

정신분석학으로 치자면 억압된 욕망일 수 있겠고, 보다 일반적으론 분노(응축된 에너지의 다른 이름?)로 봐도 되겠다. 그리고 작가의 그림은 무엇보다도 몸이 그린 그림이고 몸 그림이다.

 

고충환(Kho, Chung-Hwan 미술평론)

 

 

Drawing(몸짓) Series_54×79cm, 14ea_목탄지, 목탄, 먹_1992

 

 

His action of painting is like keeping a diary. Painting is another form of a diary to him, which means it is ordinary and personal. He paints as he records small things in life. The daily life he draws is twofold. First of all, it is of his impressions on daily life and emotions in real life. On a closer view, however, the daily life itself and impressions and emotions do not greatly vary so the daily life painted by the artist easily gains people’s sympathy. The painting is of both personal and universal things and of special and general experiences. In his paintings, distinctiveness and universality interacts in harmony as if the warp and weft worked. And the artist draws all of everyday life in the world that way. He paints every scenery he has seen through the frame of daily life. He actually paints time, traces and longing. He paints that has been lost, the time he has spent and the modern times. He draws life history in modern times and traces of existence.

To put it little exaggeratedly, modern men live a life of total loss. This deep sense of loss can be a sign and a proof that he is no less than a person than the modern man. What modern men have lost ncludes alleys, markets and poor hillside villages. They are all life landscapes and embodiments that have penetrated the modern era with the artist. By recording those things (areas) with paintings, he actually paints traces of his life and longing for time (and space) that has been left as absence (and that will soon be left as absence). They demonstrate life’s ordeal with birth, old age, sickness, and death and joy, anger, sorrow, and pleasure. They are paintings with sad meanings of existence and cosmic providence on which life, death and second birth beyond are infinitely repeating. They are with life’s allegory.

his works are to make expressionism-inclined painting which encompasses expressionism, neo-expressionism and abstract expressionism become his own and to reinterpret them. Expression means venting and showing something inside. These paintings are emphasized with the subject and the subject’s inner experience compared to others. The subject’s inner experience? These works are drawn by and with hard feelings condensed inside. It can psychoanalytically be oppressed desire or anger (another name for condensed energy?) in a more general sense. The artist’s painting is ones drawn by a body and is body painting (action painting?).

 

Kho, Chung-Hwan

 

 

 

Drawing(몸짓) Series_54×79cm, 14ea_목탄지, 목탄, 먹_1992

 

 

 

Memory Scape Series_54×78cm, 9ea_OIL ON CANVAS_2007

 

 

 

마음속 풍경_50×70cm, 8ea_Fabriano Pittura Paper 위에 혼합재료_2019

 

 

 

 

 
 

 

 
 

* 전시메일에 등록된 모든 이미지와 글은 작가와 필자에게 저작권이 있습니다. *

vol.20191225-서홍석 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