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종관 展

 

파리대왕독본

 

 

 

온수공간

 

2019. 12. 6(금) ▶ 2019. 12. 26(목)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북로 1길 74

 

www.onsu-gonggan.com

 

 

전시 《파리대왕독본》은 파리(fly)를 모티브로 한 작품들을 통해 '신성한' 재현의 세계에 대한 욕망과 현대 시각 -자본주의 시스템의 단면을 살펴본다.

조르조 바사리가 지오토의 생애에 대해 서술하며 삽입했던 에피소드처럼(어릴 적 지오토는… 파리 한 마리를 놀라운 방식으로 그려놓았는데… 치마부에는 손으로 파리를 쫓으려고몇 차례 애를 쓰고 난 후에야) 중세 유럽 회화 속 파리는 “미메시스적인 재현 수단의 새로운 통제를 나타내는 상징”이었다. 현 시대에서 파리라는 곤충은 생물학적 광학 시스템(unique biological optical systems)에 영감을 주는 주요한 대상이다. 인간의 눈이 카메라 눈(camera-type eye)인데 반해 파리와 같은 곤충들은 낱눈(ommatidium, lenslet)을 갖고 있고, 낱눈의 집합은 겹눈(Compound eye, 複眼)을 구성한다. 360도 동영상 서비스에 사용되는 카메라들은 바로 이 겹눈 시스템을 모방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현대인의 삶의 좌표 위에는 360도, 모든 방향축에 무수한 카메라와 스크린이 존재하고 이들은 그 모습을 감추기도 하고, 때로는 그 감각을 트렌드로 포장해 강제함으로써 미메시스 아닌 미메시스 속으로 우리를 유혹한다. 파리의 겹눈 구조와 같은, 스크린-인터페이스의 홍수 속에서 과거에는 경험할 수 없었던 가능성과 두려움이 동시에 발현된다.

전시에서는 생물광학(biological optics)을 이용한 시각기계와 일상을 서서히 점유해가는 다양한 형태의 스크린 위에 파리 한 마리를 살포시 얹어 놓는다. 다시 수백 년 전으로 돌아가, 파리가 화판 전체의 인위성을 가리키는 이중적인 재현 체계의 공존을 암시함과 동시에 재현의 공간과 관객의 공간을 분리했음을 떠올린다. 무엇보다 파리는 ‘메멘토 모리’를 상징했다. 지오반니 산티의 ‘연민의 그리스도’, 예수의 가슴 위에 앉은 파리와 프로젝터 불빛을 따라 날아다니다 스크린에 앉은 파리를 번갈아 바라보며 다가올(혹은 이미 도래한) 어떤 ‘죽음’의 기척을 함께느껴보는 자리를 구현할 것이다, 무수히 복제되고 플레이되는 삶과 가상의 이미지 속에서, 새벽녘에 지글거리던 TV 속 파리떼의 그 소리를 떠올린다.

 

 

 

 

 
 

 
 

* 전시메일에 등록된 모든 이미지와 글은 작가와 필자에게 저작권이 있습니다.

vol.20191206-백종관 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