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재 毅齋, 산이 되다 展

 

연진회로 이어진 의재 정신과 예술

 

허백련作_묵포도 墨葡萄_한지에 수묵담채_135x270cm_1932 개인소장

 

 

광주시립미술관

 

2019. 7. 10(수) ▶ 2019. 10. 20(일)

광주광역시 북구 하서로 52 | T.062-613-7100

 

https://artmuse.gwangju.go.kr/

 

 

김춘作_심산유곡이 아름다운 이유_한지에 수묵담채_114x164.5cm_1997

 

 

광주시립미술관은 호남미술의 주요 흐름을 다루는 아카이브 프로젝트를 매년 진행함으로써 지역 미술사를 연구하고 재정립하는 기회로 삼고 있다.

 

의재, 실천적 삶을 산 예술가

남종화의 마지막 거목으로 일컬어지는 허백련은 무등 자연의 일부가 되어 경계가 없이 사유하는 철학가이자 예술가로서, 민중을 걱정한 실천 운동가로서 삶을 견지한 거인이다. 1938년, 의재 허백련을 중심으로 36명의 서화 동호인들이 참여하여 창설한 <연진회(鍊眞會)>는 '참(眞)을 연마하여 인격을 도야 한다' 는 목적으로 출발한 후, 1939년 광주시 금동에 연진회관을 마련함으로써 남도의 서화가들을 모으는 구심점 역할을 했다.

 

<연진회> 회원 중에는 호남지역의 저명한 서화가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는데, 정운면과 허행면 등은 춘곡 고희동, 이당 김은호, 소정 변관식, 고암 이응로 등 중앙 화단의 화가들과 지속적인 교류가 있을 정도로 개성 있는 화풍을 일군 작가들이다. 초기 회원 중에서 근원 구철우, 구당 이범재, 지봉 정상호, 동강 정운면, 목재 허행면과 찬조 회원인 소정 변관식의 작품을 이 공간에서 만날 수 있다. 허백련은 해방 이후 피폐된 농촌을 보고 농촌을 근대화 시켜야겠다는 강한 의지로 농촌 부흥운동에 뛰어든다. 일제 강점기에도 창씨개명을 하지 않은 민족주의자 허백련은 우리 시대에 추구해야 할 이념으로 '홍익인간(弘益人間)'을 주장했으며, 민족혼을 되살리고자 단군신전 건립을 추진했다.

 

연진회, 열정의 시대

연진회 제자들의 인터뷰 영상 및 주요 사진자료와 작품 등을 전시함으로써 허백련의 지도 방식과 제자들에게 미친 정신적 감화, 당시 정치문화계 인사를 포함한 다양한 교류의 폭 등 직접적인 자료를 제공한다. 두 번째 공간의 전시작가는 국전 등을 통해 일찍이 두각을 나타냈던 옥산 김옥진(1927~2017), 희재 문장호(1938~2014), 금봉 박행보(1935~ ), 녹설 이상재(1930~1989)를 비롯, 동작 김춘, 오죽헌 김화래, 인재 박소영, 월아 양계남, 화정 이강술, 계산 장찬홍, 우헌 최덕인, 직헌 허달재 등 현재 작품 활동을 하고 있는 작가를 중심으로 했으며, 그들의 60~70년대 작품과 변화한 근작까지 전시된다.

 

춘설헌, 인문학의 요람

춘설헌은 화가와 문인들의 왕래가 빈번했던 인문학의 요람으로, 차와 독서와 그림으로 정신을 수양해 갔던 허백련의 아취가 흠뻑 배인 공간이다. 허백련에게 직접 그림지도를 받기위해 찾아 온 제자들은 이곳에 머무르면서 체본과 방작을 기본으로 공부하고, 특별한 날은 합작을 해서 작품을 서로 나누기도 했다.

 

 

박행보作_금강_한지에 수묵담채_167x132cm_2008 광주시립미술관 소장

 

 

양계남作_풍년을 예언하는 겨울_한지에 채색_93x58cm

 

 

최덕인作_산수 山水_한지에 수묵담채_68x68cm

 

 

 

 

 
 

 
 

* 전시메일에 등록된 모든 이미지와 글은 작가와 필자에게 저작권이 있습니다.

vol.20190710-의재 毅齋, 산이 되다 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