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성 展

 

' Intangible Desires '

 

Nothing. Life. Object (無. 生. 物)_162x112cm_Oil on canvas_2019

 

 

 

김현주 갤러리

 

2019. 4. 10(수) ▶ 2019. 4. 25(목)

Opening 2019. 4. 10(수) pm 4시

Open 10am-6pm (화~금) | 11am~5pm (토,일,공휴일) 전시 중 월요일 휴관

서울시 종로구 삼청로 7길 19-9 김현주갤러리 | T.02-732-4666

 

www.khjgallery.com | khjgallery@hanmail.net

 

 

 

Nothing. Life. Object (無. 生. 物)_126x126cm_Oil on canvas_2016

 

 

일견 범인의 눈으로서는 머나먼 대척지에서나 볼 수 있는 극적 상황을 연상시킨다.

그가 그리는 세계는 작은 것들을 지고의 세계로 격상시켜 오늘날 우리가 누리는 물질사회와 물화物化로 인한 참을 수 없이 가벼워진 인간 존재를 우회적으로 비판하려는 데 뜻이 있다. 그의 시각에서는, 오늘날 우리는 이처럼 작은 미물들마저 누리는 생명의 존엄성을 방기하는 우愚를 범한다. 이는 인간 스스로가 한낱 물物로서의 존재로 격하하는 것에 다름 아니다. 겉으로는 당당한 것 같으나, 속내는 실체를 상실한 미소한 존재요, 없음無과 진배없는 존재라는 걸 스스로 자임하는 것과 다름없다.

 

더 나아가 오늘의 인간은 자신의 미소한 존재를 지탱하기 위해, 미소한 생명체들이 물질의 틈새를 전전하며 살듯이, 물질에 의탁함으로써 존재이유를 찾는다. 그래서 미소해진 인간의 정황을 그리는 게 그의 소임이라고 생각한다. 작가는 이렇게 말한다.

 

물질문명의 고도한 발달로 생이 위협받고, 많은 것들이 사라진 현대사회의 이면을 나는 그린다. 생生과 물物이 공존하는 걸 다루는 건 그 하나의 방법이다. 광고사진이나 연극을 연출하듯이, 작은 것들을 냉철하게 분석하고 있는 그대로 그려냄으로써 현대사회의 삭막함과 실존의 허무無를 그다.(「근작 작업노트」에서 번안).

 

 

Nothing. Life. Object (無. 生. 物)_130x80cm_Oil on canvas_2018

 

 

그는 이 정황을 그리기 위해, 부드러운 실크, 유리 용기, 금속 수저, 톱니바퀴와 같은 강인한 물질들을 등장시켜 작은 생명체들의 지지체로 삼는다. 그가 다루는 지지체들은 실크처럼 반사가 적어 부드러운 것도 있지만 대부분 반사가 큰 것들이다. 빛의 투과와 굴절이 크고 강한 게 특징이다. 실크는 고급하고 부드러운 걸 좋아하는 현대인의 선호 일등 품목이다. 견고하고 투명한 유리와 금속은 현대인이 의존하고 있는 광범위한 물질성을 대변한다. 이것들이야 말로 현대 기능주의와 물질만능주의를 가능케 하는 근간이라 할 수 있다.

작가는 이것들을 티끌에 지나지 않는 작은 생명체들의 의지 처이자 은물恩物로 도입하고 묘사한다. 현대사회의 ‘물화의식’을 부각시키기 위해서다. 무엇보다 현대인의 물질만능주의를 정교하고도 치밀하게 분석하기 위해서다. 그는 자신의 작품 속에서 스텐레스 티스푼에 앉아있는 작은 달팽이가 편안한 안락을 누리는 걸 그림으로써, 현대인이 누리는 물질적 안락을 극적으로 연출한다. 이는 잠시 예약된 안락일 뿐이라는 걸 우화寓話로 보여주기 위해서다. 투과와 반사가 요란하고 빛의 굴절이 현란한 유리컵의 물속에서 행복을 누리는, 빨강과 노란 빛깔의 비늘을 한 찬란한 관상용 고기와 황금빛과 에메랄드 빛깔을 하고 톱니바퀴나 스푼에 의지하고 있는 개구리를 빌려서는 최후의 집행유예를 즐기는 현대인의 찰나의식을 우화로 보여준다. 상품화된 오브제를 보존하는 데는 흔히 실크를 사용하듯이, 실크를 빌려 요란한 형상을 하고 있는 뿔 달린 곤충을 감싼 건 애석하지만, 잠시 요람에서의 잠을 즐기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는 걸 에둘러 보여주기 위함이다.

 

 

Nothing. Life. Object (無. 生. 物)_138x138cm_Oil on canvas_2018

 

 

그가 궁극적으로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이것이다. 이처럼 현대인은 아름답고 화려한 물질적 안락을 누리지만, 이는 우리의 불안한 현존재의 운명에 다름 아니라는 거다. 화려한 외관으로 치장하고 행복을 구가하지만, 이를 유지하기 위해 생명마저 투자해야 하는 왜소한 인간 존재의 가벼움은 배가될 뿐이라는 걸 그의 근작들은 완곡히 보여준다. 그리고 현존재의 이러한 정황은 예약된 운명에 다름 아니라는 메시지를 근작들은 절절히 전달한다.

그는 자신의 메시지를 분명히하기 위해 작은 것들과 끝임 없이 사투를 벌인다. 그들의 그늘진 부분까지 놓치지 않으려는 열정은 물론, 무생명한 물질들의 차갑고 섬광을 발하는 현란한 표면을 묘파하는 데 심혈을 쏟는다. 그는 이를 위해 매일 밤 수십 자루의 세필들과 싸워야 하고 작은 생명체들의 안위를 걱정해야 한다.

그의 근작들은 그야 말로 작은 것들에 바치는 ‘헌사’가 아닐 수 없다. 그는 헌사를 빌려 굴절된 현대의 인간상에 대한 ‘비판’criticism의 날을 세운다. 작은 것들이 갖는 생명의 고귀함에 대한 무한한 공감을 표함과 동시에, 현대사회의 물질화에 대해서는 힐난의 시선을 번뜩인다. 그는 이 두 개의 가치들의 교점에다 자신의 작품세계를 우뚝 세운다.

그의 근작들은 그럼으로써, 생명의 신비를 예찬하고 현대인의 탈생명적 물질의식을 우회적으로 비판한다. 그의 근작전이 갖고 있는 키워드가 이것이다.

평론 김복영

 

Nothing. Life. Object (無. 生. 物)_162x97cm_Oil on canvas_2018

 

 

Nothing. Life. Object (無. 生. 物)_92x92cm_Oil on Stainless Steel_2017

 

 

 

 

 
 

김영성

 

1973 대한민국 서울 출생 | 1997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

 

개인전 | 2016 레드씨 갤러리 초대전, 브리즈번 | 2014 쿠하우스 아트 초대전, 뉴욕 | 2013 가나 인사아트센터, 서울 | 2012 알뮤트 1917 갤러리 초대전, 춘천 | 2008 갤러리 K 초대전, 서울 | 2007 가나 아트스페이스, 서울

 

아트페어 및 단체전 | 2018 빛나는 순간, 클레이아크 미술관, 김해 | 2018 HYPERREALISM, Museu Del Tabac, 안도라 | 2018 아시아 컨템포러리, 롱 뮤지엄, 상해 | 2017 SEE: 새로운 형상, 홍익대학교 현대미술관, 서울 | 2017 A Sustaining Life, 워터폴 갤러리, 뉴욕 | 2016 부산국제아트페어 틀별초대부쓰, 벡스코, 부산 | Winter Show 2016, 플러스 원 갤러리, 런던 | 극사실주의 : 살아 숨쉬다, 현대아트센터, 울산 | Summer Show, 갤러리 발렌틴, 뉴욕 | 살아있는 그림 : 극사실주의, GS칼텍스 예울마루, 여수 | 2015 김구림, 김영성 이인전, OCI 미술관, 서울 | Fermented Souls, 워터폴 갤러리, 뉴욕 | ART 2015- World Top Three Art Masters special booth, 타이페이 무역센터, 타이페이 | 2014 ABFA 극사실주의 그룹전, 앤써니 브루넬리 파인 아트, 뉴욕 | FEEL LIFE, 워터폴 갤러리, 뉴욕 | 어락도展, 내설악 예술인촌 공공미술관, 인제 | 2013 북서울미술관 개관전, 서울 | 토끼와 거북이展, 양평 군립미술관, 양평 | 아트햄튼, 베네핏 길드 홀, 뉴욕 | 화랑미술제, 코엑스, 서울 | 2012 극사실주의 회화: 낯설은 일상, 서울 시립미술관, 서울 | 마니프 서울 국제아트페어, 예술의 전당, 서울 | 2011~2013 KIAF, 코엑스, 서울 | 2011 FINE ART ASIA 2011, 홍콩 컨벤션센터, 홍콩 | THE FIRST 展, 성남아트센터, 성남 | Collection & Collection 4, 여의도 신한 PB, 서울 | 2010~2012 한국구상대제전, 예술의 전당, 서울 | 2010~2012 도어즈 아트페어, 임페리얼 팰리스 호텔, 서울 | 2010 김영성, 최경문 이인전, 갤러리 에이큐브, 서울 | 2009 대한민국 선정 작가전, 서울 시립미술관, 서울 | 2007 Rest : Take 展, 갤러리 로얄 개관전, 서울 | 2002~2004 동아미술제 초대전, 국립 현대미술관, 과천 | 1997 세계를 향한 현대 미술전 형상의 파장전, 문화일보 갤러리, 서울 | 1996 한국 현대 미술의 물결 모스크바 초대전, 중앙 예술가 하우스, 모스크바 등 100여회

 

수상 | 1997 MBC 미술대전. 장려상 | 뉴-프론티어 공모전, 우수상 | 현대 조각 공모대전, 특선 | 1996 대한민국 청년 비엔날레, 대한민국 청년작가상 | 동아 미술제, 회화부 특선, 조각부 특선 | 중앙 비엔날레”, 평면부문 입선 | MBC 한국 구상 조각대전, 입선 등 30여회

 

 
 

* 전시메일에 등록된 모든 이미지와 글은 작가와 필자에게 저작권이 있습니다.

vol.20190410-김영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