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수 展

 

꼭두각시

 

 

 

세티미래 갤러리

 

2019. 1. 1(화) ▶ 2019. 1. 31(목)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248 서울시교원연수원 내

 

 

너무도 인간적인 마리오네트를 위하여

김경수는 신작 <꼭두각시Marionette>에서 작고 여린 마리오네트를 모델로 내세워 현대인의 초상이자 작가의 자화상을 선보이고 있다. 마리오네트는 가느다란 실에 의해서 조종당하는 인형으로, 오직 누군가의 힘에 의해 움직일 수 있는 사물이다. 무대의 마리오네트는 머리와 팔다리에 매어놓은 실에 의해 살아 있는 것처럼 움직인다. 사람과 가장 닮은 인형의 형상이기에 마리오네트의 움직임은 모호함과 기이함을 안겨준다. 많은 예술가들이 마리오네트와 마네킹, 인형 등에 매료된 이유도 인간의 형상을 하고 있지만, 인간은 아닌 이들의 ‘인간적인 모습’에서 나오는 신비로운 친숙함 때문일 것이다.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종교적, 문화적, 제의적 기능뿐만 아니라 놀이의 영역에서도 인형은 살아있었다! 인형은 신과 예술과 인간 사이를 매개하며 때로는 인간을 조종하기도 하고, 대변하거나 위로하기도 하는 역할을 해왔다. 김경수가 신작 <마리오네트>에서 인형을 통해 사회와 삶의 가치를 드러내려 한 것도, 우리에게 가장 친숙한 사물이 전하는 오래된 메시지를 담아내기 위함이다.

그간 인형을 소재로 작업을 하는 미술가 중, 에미 헤닝스(Emmy Hennings)와 소피 토이버(Sophie Taeuber), 한나 회의(Hannah H&ouml;ch), 오스카 슐레머(Oskar Schlemmer) 등을 꼽을 수 있는데, 이들은 주로 무대 연출과 함께 자신이 만든 마리오네트와 연기를 하기도 하고, 움직임을 더욱 정교하게 해서 인형을 통해 인간의 욕망과 정체성을 탐색했다. 생명이 없는 것의 인간적인 친숙함과 그들의 움직임이 주는 낯섦과 당혹스러움은 사회에 내제된 폭력이나 죽음을 형상화하며 사회적 금기와 인습에 위반을 시도한다. 김경수 또한 직접 연출한 무대에서 마리오네트의 연기를 감독하고 정교한 조명과 함께 사진을 찍음으로써 혼미와 멜랑콜리로 가득한 사진이미지를 만들어냈다.

사진 속의 마리오네트는 관객을 바라보기도 하고, 사진 속의 세계를 응시하기도 한다. 기괴하게 변형되어 불안과 공포를 자아내기도 하지만 때로는 동정과 연민의 감정으로 마리오네트와 동일시되기도 한다. 그런가하면 우스꽝스럽고 괴기스러운 모습은 그로테스크하면서 생경한 세계를 만들어내는데, 익숙하고 편안하게 느끼던 것이 별안간 낯설고 섬뜩하게 다가오며 무대의 마리오네트가 현실 세계로 튀어나오는 듯 일순 시공이 뒤섞이기도 한다. 사진 속의(무대의) 마리오네트는 누구를, 어디를 바라보고 있는 것일까. 그는 무엇을 욕망하고 무엇을 위해 투쟁하고 있는가. 그리고 왜 작은 무대에 갇혀있을까. 관객의 응시에 의해 새로운 삶을 얻은 이 마리오네트들이 거주하는 무대는 기실 이 세계의 축소판이라고 할 수 있다. 그것도 조지 오웰의 빅 브라더처럼 우리 모두를 지배하고 있는 시스템의 작은 무대(세계)에서 서로의 응시를 끌어내고 있다. 마리오네트를 조종하는 인간인 작가는, 이미 자기의 분신이기도 한 이 인형을 통해 마리오네트가 관객을 바라보듯, 자신을 바라보고, 관객이 바라보는 것을 다시 바라볼 필요가 있음을 시각화한다. 작가는 능동적으로 마리오네트를 조종하는 것 같지만, 사실은 그와 끊임없이 줄다리기를 하고 있다. 마리오네트와 주고받는 응시 속에서 그를 자신의 일부로, 소유물로 만들기도 하지만 보이지 않는 응시에 갇힌 무대 위의 마리오네트가 바로 자신임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김경수 사진의 교묘한 함정이 바로 이것이다. 빅 브라더의 감시와 통제, 욕망과 권력이 작고 여린 마리오네트의 사지를 묶어 무대 위에서만 움직이게 하듯, 우리 삶의 무대도 보이지 않는 역학구조 속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 없음을, 즉 지배적인 응시에 복속된 인간의 한계를 그려내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작가는, ‘인간적인 인간’이라면 피할 수 없지만, 우리의(마리오네트의) 몸통을 연결한 ‘실’을 끊어버리면, 조명은 꺼질 것이고 무대 또한 사라질 것이기에 탈주의 가능성도 여전히 유효함을 시사하고 있다.

이 세계는 마리오네트가 연기하는 무대처럼 신비와 기이함과 이해의 영역을 벗어난 그로테스크함으로 가득하다. 이탈리아어 ‘그로타(grotta동굴)’에서 유래한 ‘그로테스크’ 미학은 자유로운 환상 속에서 현실 질서가 파괴된 세계를 제시하며 전통적인 미학과 도덕에 반해 새로운 인간주체를 회복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론이라고 할 수 있다. “그로테스크는 낯설어진 혹은 소외된 세계의 표현이다. 즉, 새로운 관점에서 봄으로써 친숙한 세계가 갑작스럽게 낯설어진다. 그로테스크는 터무니없는 것과 벌이는 게임이다. 다시 말해서 그로테스크를 추구하는 예술가는 존재의 깊은 부조리들과 반쯤은 우스개로 반쯤은 겁에 질려 장난을 한다. 그로테스크는 세상의 악마적 요소를 통제해서 쫓아내려는 시도”라고 할 수 있다. 필립 톰슨(Phillip Thomson)의 언급처럼 그로테스크의 세계는 공상적이고 환상적이지만 혼돈의 세계와 맞선 해학과 상상으로 가득한 우아한 세계이기도 하다. 보이지 않는 전쟁과 학살, 파괴와 폭력으로 난무한 21세기에 인간 소외와 상실감은 깊어가고 현대인들은 속도의 경쟁에 휩싸여 불안과 피로의 노예가 되었다. 생존 경쟁의 치열함 속에서 존재는 희미해지고 삶은 갈수록 각박해진다.

김경수는 각색되지 않은 자신의 생생한 경험담을 마리오네트를 통해 배우이자, 감독, 관객의 역할을 하며 펼쳐내고 있다. 김경수의 사진은 그 옛날 플라톤의 동굴을 연상케 한다. 동굴 벽에 비친 환영이 실제인 줄 알고, 그 안에서 지극한 삶을 살아내는 사람들과 부조리한 삶의 형태는 지독히도 오랫동안 지속되어 왔다. 동굴 밖에 실재가 있는지는 모르겠으나, 이카루스의 욕망은 그것이 죽음에 이르는 위험한 길일지라도 언제나 날갯짓을 멈추지 않으며 그 존재를 증명하듯이, 김경수의 사진은 무대 밖의 새로운 세계를 꿈꾸게 한다. 그의 카니발적 감각은 탈 권위와 무한 변신과 일탈을 꿈꾸는 모든 마리오네트들의 삶의 자리에 ‘라이트페인팅’을 시도하고 있다.

글 : 최연하(사진비평가, 전시기획자)

 

 

 

 

 

 

 

 

 

 
 

 
 

* 전시메일에 등록된 모든 이미지와 글은 작가와 필자에게 저작권이 있습니다.

vol.20190101-김경수 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