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영 展

 

시간과 시간사이

between time and time

 

Scent of time series, btterfly flower_inkjet pigment print_60x50cm_2016

 

 

서울대학교 호암교수회관 갤러리

Hoam Faculty Center Gall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7. 4. 3(월) ▶ 2017. 5. 27(토)

서울시 관악구 낙성대동 239-1 | T.02-880-0300

 

www.hoam.ac.kr

 

 

Fade out series, grace_inkjet pigment print_60x50cm_2017

 

 

꽃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예술가들에게 가장 사랑 받는 소재 중의 하나이다. 특히 정물화에서 꽃은 순수하게 장식적인 기능을 하거나 종교적인 우의를 암시하는 상징적인 기능으로 묘사되는 경향이 많았다. 자연에 관해 인문학적이고 과학적인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했던 르네상스 이후, 꽃은 그 자체의 특징과 아름다움에 대한 탐구의 대상이 된다. 일반적으로 꽃에 대한 접근 방식은 두 개의 시각으로 나타난다. 하나는 꽃의 생김새, 색채, 질감과 같은 실제의 겉모양을 정확하게 묘사하고자 하는 과학적인 접근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꽃이 가진 고유한 내적 성질을 탐구하고자 하는 자연주의자적인 관점이다. 전자가 꽃에 대한 형식적이고 문양화된 식물학적인 접근이라고 한다면, 후자는 꽃의 생명력이나 관능미에 대한 감각적인 인식과정에서 비롯된다. 이 경우 꽃은 모든 자연의 탄생과 성장, 그리고 변화의 유기적인 조화를 의미하거나, 화무십일홍(花無十日紅)이라는 말처럼 자연계에 존재하는 모든 감성적인 생명의 아름다움과 허무함을 상징하기도 한다.

서지영의 꽃 시리즈는 율동적인 선과 색채, 살아있는 형태감을 통해 꽃의 정신적인 생동감을 잘 표현하고 있다. 2008년부터 시작된 꽃 정물사진 작업은 꽃의 알레고리적인 의미, 즉 상징 언어로서 꽃의 본질적 속성과 그 속에서 우주적 질서를 감지하게 해준다. 작가는 화병에 꽂혀있는 부케의 장식적인 기능처럼 도식화 되어버린 꽃이 아니라, 그것이 피어나고 활짝 만개해서 숙연히 고개를  떨구는 그 순간순간의 생명력을 형상화하고자 했다. 바늘구멍 카메라는 5일 내지는 20일 동안의 장시간 노출을 통해 부케의 일상을 기록하고, 사실의 극대화라는 기법을 통해 이미지화 된다. 그의 작업에서 모든 시작은 시간 속에 존재하며, 장시간 노출은 대상을 인식하기 위한 가장 보편적인 형식이다. 따라서 사진으로 재현된 이미지는 과거가 현재가 되고 미래도 현재가 되는 긴 시간의 층위를 통해 인생의 무상함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즉 사진적 재현에 의해 환기되는 이미지의 연상 작용은 곧 우리들의 ‘자화상’인 셈이다. 모든 사물에는 각각의 운명이 주어져 있듯이, 그 운명에의 순응은 결국 자연의 순리이다. 누군가의 말처럼 인간은 자신이 쓰고 갈 시간의 총량을 가지고 태어난다고 한다. 사람은 나고, 자라고, 어느 순간 시간의 수레바퀴에 의해 주어진 운명의 길을 가야 한다. 이 시간이라는 존재는 우리가 눈으로 지각할 수 없는 영역에 은폐되어 있는 어떤 본질 같은 존재이다. 서지영의 꽃 시리즈는 이렇게 보이지 않는 존재의 현존을 아주 긴 시간의 응축을 통해 사진이미지로 가시화시켜 준다.

강혜정(이미지 비평) 글(2011년)중에서

 

 

Fade out series, helena_inkjet pigment print_60x50cm_2016

 

 

Flowers are one of the most beloved subject matters among the artists from the East and the West. Distinctively, a flower in a still-life painting has often been described as symbolically to function as a pure ornament or imply religious amity. Ever since the Renaissance when the attention regarding the nature was drawn in terms of humanities and science, a flower became the object of exploration about the innate characteristics and beauty it holds.  Generally, there are two varying perspectives in approaching the flowers. The one is a scientific approach aspiring to depict the appearance, color and texture of flowers in an accurate and lifelike fashion. The other is the naturalist’s approach intended to explore the inner nature that is innate to a flower. If the former is an approach that is a formal, patternized and botanical towards a flower, the latter stems from the process of sensory recognition of a flower’s vitality and sensual beauty. In this case, the flower either implies the organic harmony of the birth and growth of all the nature, and their changes, or symbolizes the beauty and transience of all the sensitive life existing in the natural world; which reminds of the old expression “no red-hot flower can sustain ten days (花無十日紅: loosely translated as beauty is often short-lived).”

 

flowers Series by Ji-Yeong Seo well depicts the spiritual vitality of flowers via dynamic lines, colors and vivid sculptural textures. Started from 2006, the still-life flowers enable viewers to perceive the allegorical implications of flowers – the innate nature of flowers as the symbolic language and the universal order in it. The artist has avoided depicting a flower like the one in a vase or an ornamental one in a bouquet, but strived to shape the momentary life of a flower that fully blooms, and then, withers away. The pinhole camera was exposed for at least five up to 20 days to record the daily scenes the bouquet goes through and turned them into imageries via the technique that leverages facts. All the beginnings of her works exist in time and the long-time exposure is the most common method to recognize the target object.  Therefore, the image recreated by photos symbolically display the transience of life through the layers of long time where the past becomes the present and the future becomes the present. In other words, the associated reactions by images recreated by an array of photos can be referred to as the ‘portrait’ of ours. As every life has its fate, obedience to the predestined life is to go with the ways of nature. Some said a human is born with the aggregate amount of hours. and he/she is bestowed to spend through the entire life. Every human is born, grows and is supposed to follow the given path of their destiny according to their wheel of fortune at one point. Here, the time is some kind of an object of essence hidden in the area that we cannot perceive with our naked eyes. In this note, Seo’s flowers Series visualizes the existence of this invisible being through photographic images based on the condensed flows of sustaining time.

  

Hye-Jeong Kang (Image Review)

 

 

Scent of time series, yumee_inkjet pigment print_ 65x65cm_2017

 

 

Scent of time series, all star_inkjet pigment print_65x65cm_2017

 

 

Fade out series, onions_inkjet pigment print_60x50cm_2017

 

 

 

 

 

 
 

■ 서지영

 

1992년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 대학원 산업미술학과 상업사진 전공 졸업 | 1989년 상명대학교 예술대학 사진학과 졸업

 

개인전 | 2017년‘시간과 시간사이’(Betwen time and time) (서울대학교 호암교수회관), 서울 | 2013년‘시간의 향기’(Scent of time) (아트스페이스 구운돌 기획 초대전), 천안 | 2011년‘꿈꾸는 꽃Ⅱ’(Dreaming flowersⅡ) (이앙갤러리),서울 | 2008년‘꿈꾸는 꽃’(Dreaming flowers) (아트비트갤러리),서울 | 2008년‘카오스의 물’(The water of chaos) (갤러리 브레송), 서울 | 2005년‘常像플러스’ (The image of mundane scenes) (갤러리 가이아), 서울 | 1999년‘공존의 시간’ (In Harmony ) (서남 이술전시관 포토스페이스), 서울 | 1996년‘박제된 시간에서’(In The Stopped Time) (삼성 포토 갤러리), 서울

 

단체전 | 2017년‘photo speaks 2017’ 한국사진학회(천안, 상명대학교 디자인갤러리) | 2011년‘The Blank' 키미아트 갤러리 공모 기획전 (서울, 평창동) | 2010년‘Seen & Unseen' 갤러리 사간 기획 초대전(서울, 사간동) | 2009년‘서울포토페어’(Seoul Photo Fair 2009 Photonet Coex)(서울, 코엑스) | 2008년‘서울 포토 페어’(Seoul Photo Fair 2008 Photonet Coex)(서울, 코엑스) | 2006년‘서울 국제 판화사진전’(Seoul International Print, Photo & Edition Works Art Fair) (예술의 전당 한가람미술관) | 2005년‘2005 갤러리 가이아 기획 우수 청년 작가 전’ 파리, 프랑스 | ‘몽유도원’(Roaming about City Parks in Dreams) 픽쳐 쇼 전 (인사동 쌈지내길) | 2004년‘분홍 神’전 (인사아트 갤러리) | 2003년‘물위를 걷는 사람들- 청계천 프로젝트’전 (서울 시립미술관) | ‘동강사진축전 2003- 한국현대사진의 조망Ⅱ’ (동강사진마을) 외 21회 단체전 |

 

선정 | 2011년 키미아트 갤러리 기획공모 선정 | 2010년 아르코 미술관 신진작가 비평워크숍 선정작가

 

출판 | 2005, 몽유도원, 눈빛, 서울 | 2003, 분홍 神, 눈빛, 서울 | 2001, 앗제가 본 서울, 눈빛, 서울

 

작품소장 | 서남미술전시관 | 동강사진박물관 | 아트 앤 드림 갤러리

 

강의 | 서울대학교, 상명대학교, 서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강사 역임

 

이메일 | pinholejy@hanmail.net

 

 

 
 

vol.20170403-서지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