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종구 展

 

" Inner-Space "

 

Bluedrawing16-12_ballpoint pen on paper_145x145cm_2016

 

 

아라아트센터

ARAART Center

 

2016. 12. 7(수) ▶ 2016. 12. 13(화)

Opening 2016. 12. 7(수) PM 5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9길 26, 4F | T.02-735-9938

 

 

Bluescape16-10_ballpoint pen on canvas_112x291cm_2016

 

 

Inner-Space에 관하여

 

작가는 물리적 공간 너머의 공간을 그린다. 공간 속 공간을 탐미한다. 화면은 자유로운 선들이 만든 집요한 과정의 구축적인 결과물로 자연을 닮아 있다. 덤불 숲 뒤엉킨 빽빽한 나뭇가지들처럼 밀도 있는 공간들의 집적(accumulation)을 나타낸다. 화면 가득 불규칙하고 미세한 손놀림의 흔적들이 만들어낸 작은 빈 공간들이 구석구석을 채운다. 수많은 의식과 무의식의 경계를 담은 움직임의 흔적은 ‘체화된 인지(embodied cognition)’라 할 수 있다. 즉 몸과 정신의 통합적인 반응이고 전체로서의 투영이다.

 

최근 작업은 ‘이너스페이스(Inner-space)’를 주제로 다룬다. 자연에서 미시(micro)와 거시(macro)의 시선으로 총체적인 우주를 본다. 작가의 화면은 여러 겹의 밀집 공간들이 만든 덩어리이다. 현대물리학이 우주생성의 과정을 설명하는 빅뱅이론(Big Bang)에 등장하는 ‘초고밀도 세계(quark star)’를 연상시킨다. 모든 물질이 뒤섞여 혼돈의 상태이며 하나로 응축된 에너지만이 존재하는 절대적인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작가는 북한산 자락으로 이사한 이후 자연의 빛이 만든 시공간을 탐미한다. 작가의 거실 창은 서울을 품은 명산을 산수화처럼 가까이 보여준다. 이른 아침 산행을 하며 여명이 주는 숭고를 마주하고 찬란한 태양의 위로와 축복을 예찬한다.

 

“아침의 햇살은 생명들과 나에게는 절대 위안이자 축복이다. 쭈그리고 앉은 내 몸은 아침햇살로 녹아 내린다. 나는 아침에 눈을 씻는다. 탁해진 내 가슴을 씻는다.”

 

 

Bluedrawing16-10_ballpoint pen on canvas_112x291cm_2016

 

 

어느새 산행은 산책이다. 내딛는 반복의 발걸음을 따라가다 보면 구름이 산을 넘고 산이 구름을 넘어 간다. 산행은 산책이 되어 매순간 일상의 변화를 미세하게 감지하는 성찰의 길로 인도한다. 순례의 길을 나선 수행자처럼 변화무상한 자연을 직접 체험하고 사계의 변화를 내밀하게 직감해낸다.

 

“가을의 초입에서 이미 잎들이 힘을 잃고 누렇게 변해가는 것을 보면 쓸쓸하다. 이들에게서는 지난 여름날의 폭우, 무더위, 각종 벌레들의 습격에도 굴복하지 않았던 강건하고 영예로운 시간들에 대해 더 이상 미련을 두지 않는 듯 보인다. 시원스레 숲의 구석구석까지 파고드는 바람에도 고개를 반쯤 떨군 채 흐느적거릴 뿐 가을의 숲에는 무덤덤한 침묵만이 흐른다.”

 

이너스페이스가 표현하는 구축 공간의 미묘한 변주는 사색의 흔적이고 성찰의 기록이다. 인간의 잃어버린 감성의 회복을 자연에서 찾고자 한 헨리 데이비드 소로(Henry David Thoreau, 1817-1862)와 헤르만 헤세(Hermann Hesse, 1877- 1962)가 추구한 사유의 방법론에 닮아 있다. 그들이 알려준 숲이 주는 명상법을 체화하고 자연의 시적 영감을 확장하여 조형언어로 담아 내고 있다.

 

“자연에서 침묵이란 모든 활동성이 정지된 휴지의 상태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이들에게 침묵이란 과거와 현재를 받아들인 후 멀지 않은 미래에 다가올 길고 긴 혹한기를 예감하는 시간이며 또 이를 맞아들이기 위해 제각기 홀로 서서 기운을 응집시키는 과정의 시간이 아닐까?”

 

자연이 주는 탁월한 사색은 공간의 깊은 속살을 보여주는 시각언어로 변신한다. 작가는 숲길을 걸으며 직감하고 성찰한 기운을 담아 화면에 일상이 놓친 다양한 미지의 공간을 조형화한다. 작가는 기운생동의 필력으로 날렵하고 빠르게 때로는 느리고 천천히 그린다. 화면 속 곡선은 바람을 타고 흐른다. 내밀한 공간 안으로 긋고 그리고 그린다.

 

김대신(미술과 문화비평, 문화사박사)

 

 

Blueflawer16-10_ballpoint pen on canvas_91x117cm_2016

 

 

On Inner-Space

 

The artist paints the space beyond physical space. He immerses himself in the beauty of space within space. The picture-plane, the constructive result of a tenacious process of drawing free lines, resembles nature. It represents an accumulation of spaces, dense, like thick branches entangled in a thicket. Small empty spaces made by irregular, delicate movements of the hand fill the entire picture-plane from corner to corner. The traces of movement, which contain the borders between limitless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can be called “embodied cognition.” This is a comprehensive response of body and mind, and a projection of the whole.

 

The artist’s recent works deal with the theme “Inner-Space.” Through the eyes of micro and macro nature, he views the universe as a whole. The artist’s picture-plane is a mass made of many layers of dense spaces. It reminds us of the “quark star,” which appears in the Big Bang theory used by contemporary physics to explain the birth of the universe. It is a state where all matter is mingled in chaos, and an absolute state where only energy exists, condensed into a single entity.

 

Since he moved to the foot of Bukhan Mountain, the artist has immersed himself in the time-space created by nature’s lights. His living room window shows the great mountain embracing Seoul up close like a Korean traditional landscape painting. As he climbs the mountain early in the morning, he faces the sublimity given by daybreak, and praises the comfort and blessing of the brilliant sun.

 

“The morning sun is an absolute comfort and blessing to me and all life. My squatting body melts down in the morning sunshine. I wash my eyes in the morning. I wash my cloudy heart.”

 

 

Trace of the wind16-06_Acrylic on canvas_181x227cm_2016

 

 

Soon the climb becomes a walk. As he follows his repeated footsteps, clouds flow over the mountain, and the mountain flows over the clouds. The climb, now a walk, guides him along a path of introspection where he delicately senses the changes of daily life in every moment. Like an ascetic on a pilgrimage, the artist directly experiences this always-changing nature, and intimately senses the transitions of seasons.

 

“As autumn begins, I feel melancholy when I see that the leaves have already lost their strength and color. They seem not to dwell on their past summers of vigor and glory, when they remained unyielding to heavy rains, heat and the attack of various insects. Only a placid silence flows in the autumn forest, as the leaves sway with their heads half bowed in the cool breeze that blows through every part of the woods.”

 

The subtle variations of space construction expressed by Inner-Space are traces of contemplation and documentations of introspection. This methodology of thought resembles that of Henry David Thoreau (1817-1862) and Hermann Hesse (1877-1962), who searched for ways to recover humanity’s lost sensibility in nature. The artist embodies the meditation technique provided by the forest, as described by Thoreau and Hesse, and expands the poetic inspirations of nature by containing them in his formative language.

 

“In nature, silence is not a state of pause in which all activity has stopped. Rather, it is a time to forefeel the long, cold winter coming in the near future, after accepting the past and the present, and a time to stand alone to gather energy in preparation.”

 

The excellent room for contemplation provided by nature is transformed into a visual language that reveals the deep inner skin of space. The artist takes the energy and the sensations he has gathered through intuition and introspection while walking the forest path, and creates diverse, unknown spaces on the picture-plane that have been missed by everyday life. With energetic and lively strokes, the artist paints, sometimes rapidly and nimbly, sometimes slowly and patiently. The curves in the picture-plane ride the flowing wind—drawing us into the intimate space.

 

Kim Dae-shin (Art and Culture Critic, Doctor of Cultural History)

 

 

Trace of the wind16-05_Acrylic on canvas_181x454cm_2016

 

 
 

윤종구 | Yoon, Jong gu |

 

2003 호주 RMIT University 미술학 박사과정 졸업(Doctor of Fine Art) | 2000 호주 RMIT University 미술학 석사과정 졸업(Master of Fine Art) | 1987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졸업(BFA)

 

현재 | 동덕여자대학교 예술대학 회화과 교수

 

개인전 | 14

 

그 외 국내외 단체전 140여회

 

E-mail | jongguyoon@hanmail.net

 

 
 

vol.20161207-윤종구 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