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cophony 12 展

 

권민주 Kwon Minjoo | 박세희 Park sehui | 박지윤 Park jiyoon | 변호연 Byeon Hoyeon | 최빛나 Choi bitna

 

 

 

갤러리 분도

 

2016. 7. 11(월) ▶ 2016. 7. 23(토)

Opening 2016. 7. 11(월) PM 6

대구광역시 중구 동덕로 36-15(대봉동 40-62) | T.053-426-5615

 

www.bundoart.com

 

 

권민주作_group_oil on canvas_31.5cmx40cm_2016

 

 

 열두 번째 그리고 새로운 시작

 나는 매년 쓰는 카코포니 평론에 앞서 되뇌는 구호가 한 가지 있다. ‘쉽게 생각하기’ 하지만 몇 줄 진행하기도 전에 이 원칙적 구호는 금방 흐트러진다. 서로 다른 조건에서 미술에 뛰어든 젊은 작가들을 <카코포니 12>라는 울타리에 넣어보니 이들 전부 평면회화 작업을 하고 있었다. 하지만 구태의연한 평가는 접어두고, 우선 이 작품들 속에 휘몰아치는 심상의 폭풍에 주목하자. 여기에는 숱한 충돌이 있다. 예술세계와 현실세계의 충돌, 구상과 추상의 충돌, 감성적인 직관과 이성적인 평가 간의 충돌이 그것들이다. 작가 초년생들에게 짐으로 다가가는 현실적인 생활의 무게만큼 이들이 가진 창작의 고민은 크다.

 

 권민주의 작업은 자기가 가진 고독을 이미지로 바꾸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작가는 일상을 거름 삼아, 매일 겪는 소외감을 포착하여 자기 내면에 쌓아둔다. 외로움이 가득 담긴 이미지는 캔버스 위에 표현주의적인 화풍에 드리운다. 절제된 색으로 완성된 그림 속 인물들은 강한 경계선에 둘러쳐져, 다른 사람들과 항상 거리를 두는 마음의 벽으로 단절 돼 있다. 사람들과 어울리다가도 문든 혼자 남겨진 외로움은 문학적 표현처럼 ‘두려움과 떨림’으로 그녀의 작업을 바라보게끔 한다.

 

 

박세희作_untitled_oil on canvas_90.9x65.1cm_2016

 

 

 박세희는 회화의 기본적 요소들 중에서 물감이 가진 성분의 특성과 붓질의 자국을 통해 본인의 감정을 담아낸다. 어떤 작품에서 간혹 형태를 띤 것들이 보이기도 하지만, 그 대상들이 그림의 주인공은 아니다. 물론 마티에르에 화가의 감정을 싣는 일은 어제오늘의 일은 아니다. 하지만 이 작가는 자칫 상투성에 머물 수 있는 회화적 물성을 강약을 조절해가며 자신의 것으로 키워 나간다. 캔버스에 스미고 굳어가는 물감은 미묘한 감정을 이끌어낸다. 그 결과로 완성된 작품은 끝없는 순환 과정처럼 살아 숨 쉬는 듯하다. 작품에 스민 작가의 호흡은 삶에서 반드시 찾아오는 명멸의 필연적 과정을 우연적인 방법에 기대어 보여준다.

 

 

박지윤作_clown0523_acrylic on canvas_30×30cm_2016

 

 

 짙은 분장 속에 본래 얼굴을 감춘 피에로는 박지윤에게 있어 강한 영감을 제공하는 뮤즈임이 분명하다. 또한 그것은 작가가 가진 의식을 여과 없이 드러내는 탈출구가 된다. 사람들에게 얼굴은 감정이 가장 쉽게 드러나는 곳이지만, 각자의 표정 밑에 가려진 에고(ego)를 표현해 내기란 어렵다. 그녀는 붓질이 얽히고 물감이 두껍게 쌓인 흔적을 통해 인간성을 탐구한다. 거친 붓질이 화면을 장악하고 있어서 작업 과정이 요구하는 면밀함을 알아차리는 것은 쉽지 않다. 작가는 자신의 얼굴을 직접 분장하고 사진을 찍어서 다시 회화로 그려내는 과정을 반복한다. 현실의 재현도구로서의 사진이 페인팅의 일그러짐을 거치면서 자화상은 그녀 개인을 넘어서 현대인을 표상한다.

 

 

변호연作_7:44_chinese ink on hanji_130.3x97cm(4ea)_2016

 

 

 변호연은 이번 전시를 위해 아파트 베란다를 공개했다. 그래서 나온 작품 제목 또한 <7시 44분>이라는 의미심장함을 가진다. 시간과 장소를 가늠할 수 없는 이미지는 이와 같은 부가적인 설명을 함께 거느린 채 화선지 사이로 미세하게 머금은 풍경을 보여준다. 작가가 대학생 때 겪은 지인의 죽음은 그녀의 감정을 벼랑끝가지 밀고 갔다. 그러던 어느 날 우연히 접한 풍경에서, 자신을 간신히 지탱하는 지지대 모습과 자기 삶을 동일시하기 시작했다. 그래서 작품에는 구체적인 경관 속 사물들이 옅어져가고 대신 지지대가 늘 등장한다. 중요한 것은 물리적 재현보다는 현상의 경험을 표현하기 위한 작가의 노고가 스며있다는 것이다.

 

 

최빛나作_men's bath(vs women's bath)_acrylic on canvas_60.6x60.6cm_2016

 

 

 자신의 관심이 닿은 하찮은 사물들을 예술로 번안하는 과정은 작가들이 즐겨 쓰는 방법이다. 최빛나 또한 그와 같은 시도를 한다. 그녀는 예컨대 신발장이나 가방 속에 들어있는 사적인 물건들을 그림 속에 펼쳐내어 각각의 취향을 이미지로 바꾼다. 일종의 퀴즈와 같이 나열된 물건들은 관음증과 친밀함을 이끌어낸다. 마치 잔잔한 대화와도 같은 이 작업은 개인 소지품의 난데없는 호출로부터 시작한다. 대부분이 기성품인 그것들은 사실 누구나 가질 수 있는 상품이다. 하지만 바로 그렇기 때문에 대량생산된 상품들 가운데 같은 물건을 소유한 목록을 발견하는 것은 더 반가운 일일지도 모른다. 단색 톤 화면에 나열된 일상 사물들은 주인의 권능 아래에 이 세계에서 다시 한 번 주목받는다. 아직 젊은 작가의 감성이 건드린 사물의 초상은 첫발을 떼는 다른 카코포니 작가들의 모습과 겹친다.

 

 

 

 
 

권민주

경북대학교 예술대 서양화과 졸업 |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학과(석사) 재학

단체전 | 2016 Cacophony 12_갤러리분도, 대구 | 2015 경북 대학교 예술대 서양화 전공 졸업 전시회, 대구 | 2015 대구권 미술대학 연합전 ‘샛마파람’ 展_대구예술발전소, 대구

 

박세희

계명대학교 미술대 서양화과 졸업

단체전 | 2016 Cacophony 12_갤러리분도, 대구

 

박지윤

대구대학교 조형예술대학 회화과 졸업ㅣ대구대학교 대학원 미술·디자인학과 현대미술(석사) 재학

개인전 | 2016 ‘정신적인’ 오브제 개인展_대구미술광장 창작스튜디오 전시실

단체전 | 2016 Cacophony 12_갤러리분도, 대구ㅣ2016 대구아트페스티벌 전시 | 2016 대구현대미술의 현황_봉산 새내기전 ‘오늘의 나래’ 갤러리오늘 전시 | 2016 ‘일어날 타이밍’_오르다살롱, 서울 | 2016 ‘내담’_구올담 갤러리, 인천 | 2015 ‘나를 안다는 의미’_대구대학교 큐브, 경북 | 2015 제 30회 대구대학교 회화과 졸업전시_경북디자인센터, 대구 | 2015 제 30회 대구대학교 회화과 졸업전시_아라아트센터, 서울 | 2015 대구권 미술대학 연합전 ‘샛마파람’ 展_대구예술발전소, 대구 | 2015 ‘시선, 뜨거울 때 꽃이 핀다.’ 展_무빙아트윅스, 대구

수상 및 레지던시 | 2016 대구미술광장 창작스튜디오 제8기 입주작가

 

변호연

영남대학교 한국회화과 졸업         

단체전 | 2016 Cacophony 12_갤러리분도, 대구ㅣ2016 늦봄_케다, 대구 | 2016 봉산새내기전_소헌갤러리, 대구 | 2015 대구권 미술대학 연합전 ‘샛마파람’ 展_대구예술발전소, 대구

 

최빛나

영남대학교 회화과 졸업

단체전 |  2016 Cacophony 12_갤러리분도, 대구ㅣ2015 영남대학교 회화과 졸업전시, 대구ㅣ2013 범어아트스트리트 사진전, 대구

 

 
 

vol.20160711-Cacophony 12 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