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희 展

 

나무이야기_91x91cm_혼합재료

 

 

갤러리 이즈

 

2014. 9. 17(수) ▶ 2014. 9. 23(화)

서울시 종로구 관훈동 100-5 | T.02-736-6669

 

www.galleryis.com

 

 

나무이야기_91x91cm_혼합재료

 

 

이명희의 나무

이질적 요소들의 조합을 통한 생명의 장

 

이명희는 자연과 그 이면을 진지하게 표현하면서도 대상의 사실적 재현에는 크게 관심을 갖지 않아왔다. 그 대신 대상의 본질과 이의 내적가치를 탐구하면서 물질의 유동과 색채의 실험을 통하여 현대회화의 조형적 가능성과 생명성의 표현에 천착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형상과 비형상, 무채색과 유채색, 절대공간과 상대공간 등 이질적 요소들의 대립과 조우를 통하여 드러낸 그의 화면은 잠재된 긴장성과 노정된 조형성이 조화와 균형을 이루면서 잔잔한 공감을 유도하곤 한다.

과거 이명희는 ‘숲과 나무’를 심상적으로 요추하고 이를 세련되고 감각적인 색채로 마무리함으로써 추상과 구상의 접점에 위치한 그림으로 우리의 관심을 끈 바 있다. 이러한 그의 그림은 대상에서 기인하지만 대상과는 별개의 것으로 보이거나 역으로 대상의 심층을 관통하는 그림들이었다. 색채는 농익은 무채색조를 띠면서 원숙한 아름다음을 보이는가 하면 원색의 색면으로 정의된 대상들조차도 찬연한 세련미를 보이곤 했다. 형상을 염두에 두면서 형상에 연연하지 않는 역설적 표현방식은 이명희 회화의 형식적 근간을 이루며 오늘날까지 이어져오고 있다.  

최근 이명희는 대상을 좀 더 이지적으로 해석하여 논리성을 강화하면서 이에 의해 드러나는 긴장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동화적 구조와 무한의 공간감을 표현하는 기지를 발휘하고 있다. 논리적으로 집약된 숲과 산의 형상은 이전에 작가가 천착해온 주제들이지만 작가는 이를 응축적으로 기호화시키거나 색채의 변주와 공간의 확장을 통하여 동시대 회화의 문맥 속으로 자신의 예술을 몰입시키고 있다. 이때 나타난 형상들은 언어적 문맥을 유지하는 듯하나 여전히 조형적 아름다움과 미학적 가능성을 보여준다. 분방함 속에 엄격한 구조가 엿보이는가 하면 질서 속에 자유로운 면면이 나타나 보이기도 한다.

이러한 그의 그림은 모더니즘 미술의 주요 맥락과 상통하는 것으로, 대상의 재현에서 자유로워진 당시의 화가들은 질료의 탐구와 물질의 실험에 천착하면서 자신의 심상 깊이 존재하는 내면적 성찰을 화면에 담을 수 있었다. 이명희의 경우 자연에 자신을 내맡긴 채 자연과 자신을 별개로 보지 않고 육화시킴으로써 주체적으로 대상을 인식하던 모더니즘 미술의 시각에서도 일정 거리를 유지하고 있다. 욕심 없는 작가가 있으려니 만은 이명희는 그의 주변과 삶에 친근하게 스며있는 소박한 대상은 물론 이의 이면적 가치들에 대해서도 깊은 애착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나무이야기_72x72cm_혼합재료

 

 

“봄 되면 나무 사다 심고, 씨 뿌리고, 뜨거운 여름날엔 풀들과 전쟁에 지치고, 몇 개의 먹을  거리를 따고 캐면서 작은 것에 좋아라 감사하며 땀에 젖은 노동의 대가를 실감하기도 한다. 자연 속에서 더불어 편안함과 너그러움을 배워가며 시간들을 보내고 작업을 하는 동안 어린 나무들이 자라고 사다 심은 꽃들이 올해도 피고 조금씩 자리를 잡아가는 어설픈 나의 정원은 마치 내 작업과도 유사하다고 생각이 들기도 한다.”  

  

말하자면 작가는 부담 없이 자연에 몸을 던지고 이를 표현하는 물아일체의 경지를 보여준다. 몰아(沒我)적이고 정적인 것에 관심을 갖다보니, 그야말로 자연에 가치를 부여하고 긍정적 시각으로 사물을 관조하고 있는 것이다. 대상에 대한 지고한 애정과 겸손한 마음이 외적으로 ‘정지된’ 사물에 내적으로 생명 충만한 것으로 거듭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그가 선택한 대상은 화가를 품에 안은 하나의 자연으로 존재론적 위상을 확보하고 있다. 화가에 의해 포착된 자연이라기보다는 스스로 화가를 끌어안고 빛을 발하는 실존적 주체라는 말이다.

이를테면 <나무이야기-3680>의 경우 전체적으로 파란색을 기조로 대상과 비대상을 설정하고 마치 나무를 우주의 위성처럼 정위(定位)하거나 줄기와 함께 마치 정충의 움직임을 연상케 함으로써 사물의 본질에 다가서고자 하는 작가의 심적 의중을 보여준다. 이때 하늘과 땅, 우주와 수중을 구별하지 않고 나무를 지탱하고 있는 캔버스는 하나의 심리적 지지대이자 표현의 근간이 된다. 말하자면 작가는 대상을 모방하고 재현한다는 회화고유의 존재방식에 대하여 자유로운 입장을 견지하면서 매재(媒材) 혹은 재료를 이질적으로 충돌시켜 발생하는 예기치 않은 반응을 즐기거나 원색을 날것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격한 생명성을 유도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나무이야기-3685>의 경우는 황색조의 농익은 화면을 기조로 하면서도 작가의 심성이 기교보다는 마치 소박파 화가들의 그림처럼 화폭의 구석구석까지 배려하거나 밝고 강렬한 색을 선택하곤 한다. 이는 화가가 자신의 존재를 은폐한 채 대상에 생명을 부여하여 새로운 가치로 거듭나게 하고자 노력했다는 뜻이 된다. 자연에서 낳고 자란 작가는 자연의 진정한 속성인 생성과 소멸의 순환구조를 용인하면서 그 과정에서 드러나는 다양한 가치에 관심을 갖고 있다.

회자정리(會者定離), 마치 작가는 자식을 결혼시켜 슬하에서 보내듯이 평생을 그려온 그림마저도 떠나보내고자 하는, 그럼으로써 자신마저도 욕망의 그늘에서 해방시키고자 하는 사유체계를 보여준다. 그것은 소유보다는 분배에 가깝고 체념보다는 자유와 가까운 개념으로 작가는 욕심을 버림으로써 참된 자아를 찾아가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면서도 이명희는 주관적인 환상에 빠지거나 형태의 왜곡을 통하여 모더니즘회화가 추구한 물성이나 관념만을 추구하지는 않는다. 그는 철저하리만큼 대상의 본질을 요추하는데 관심을 가질 뿐 아니라 그가 처음에 그림을 그릴 때의 기본적인 자세를 준수한다.

이러한 가운데서 작가의 운필(運筆)과 화면구성은 더 큰 다양성을 보이고 개성적인 리듬을 갖게 되며, 형태의 변주와 파동을 종용한다. 그러나 ‘나무이야기’라는 테마자체는 늘 자연과 주변세계의 반영이라는 끊임없이 매혹적인 교착에 존재한다. 그래서 그의 그림은 사람이 그렸기 때문에 아름답다는 회화자체의 특징이 잘 드러난다. 정교하고 미세한 묘사를 배제하고 대상의 특징과는 다소 상관없는 색채의 구사에도 불구하고 그의 그림이 우리의 공감을 확보하고 여전히 아름다운 이유가 여기에 있는 것이다.

이경모/미술평론가(예술학박사)

 

 

나무이야기_60.6x72.7cm_혼합재료

 

 

 

Arena of life created via combination of different elements - Myung-hee Lee’s Trees

By Kyung-mo Lee, art critic (PhD at fine art)

 

Myung-hee Lee has been committed to expressing nature as well as what lies beyond it, but has not been quite interested in realistic reproduction of her objects. Instead, she has focused on expressing the essence and inner values of her objects, while exploring formative possibilities of modern paintings and expression of life via movability of materials and experiments with colors. Revealed through contrasts and encounters of different elements such as concreteness and abstractness, achromatic and chromatic, and absolute and relative spaces, her screens quietly encourages the viewers to sympathize with the artist through harmony and balance of potential tension and the exposed formativeness.

 

In the past, Myung-hee Lee drew our attention with her paintings positioned between concrete and abstract such as 'Forest and Trees,' where she abstracted the images with sophisticated and sensuous colors. These paintings originated from the objects, but look different from them, or rather, they showed the deep layers of the objects.

 

She used deep achromatic colors with mature beauty, while expressing the objects defined with primary colors in a sophisticated manner. Keeping the shapes in mind, but not focusing on them is Myung-hee Lee’s paradoxical way of expression, which serves as the foundation for her paintings till today.

 

Recently, Myung-hee Lee began to interpret objects more intelligently, strengthening the logic in her paintings, and to resolve the tension generated from this process, she took a tact of applying structures of fairy tales and the sense of unlimited space to her paintings.  The logically intensive shapes of forests and mountains have been the artist’s signature themes, but the artist is now engaging her art into the context of contemporary paintings through focused symbolization of her themes or variation of colors and extension of space. The shapes materializing as a result seem to maintain the lingual context, but still show the formative beauty and aesthetic possibilities. Hence, rigid structures with free spirit or care-freeness in order.

 

Her paintings are in line with the main context of modernism art. The modernism artists, who grew out of reproduction of objects, committed themselves to exploring substance and experimenting with materials, so as to incorporate their introspection from deep in their minds into their screens. However, Myung-hee Lee keeps a certain distance from the view of modernism art, which subjectively recognized objects, by not separating herself from nature but giving herself to nature, internalizing it into herself. Myung-hee Lee shows deep attachment not only to simple and familiar objects from her life and surroundings but also to their inner values.

 

 

나무이야기_130x130cm_혼합재료

 

 

“When spring comes, I buy seedlings and seeds and plant them in my garden, and on a hot summer day I would get tired from war with weeds, but feel grateful to my small harvest that I picked and dug out sweating and toiling, and that’s when I realize how precious the rewards for labor are. While spending time working in my garden and learning comfort and tolerance from nature at the same time, I think that my imperfect garden where young seedlings and flowers take root and grow year after year is quite like my work as an artist.”

 

In other words, the artist becomes one with nature by expressing herself immersed in nature. As she is interested in self-oblivion and stillness, she gives values to nature and observes objects with positive views. Her deep affection to her objects and humble mind brings life into the objects that are “still” on the outside and turns them into something full of liveliness on the inside. Therefore, the objects that she has chosen have an existential position where nature embraces the artist. This nature is not something that is captured by the artist, but an existential agent that embraces the artist and shines on its own.

 

For example, in <Tree Story-3680>, the artist has set objects and non-objects with blue as the overall color and positioned the trees as if they were satellites in space, and aligned the branches as if they were sperms moving around, so that they showed the artist’s intention to approach the nature of things. The canvas, which neither distinguishes sky from ground nor space from underwater, supports the tree somehow. It is a kind of mental support and foundation for the artist’s expression. In other words, Myung-hee Lee has a flexible attitude towards the way of existence for paintings whereby artists copy and reproduce objects. At the same time, her paintings create intense liveliness by benefiting from unexpected reaction from collision between different materials/media or using primary colors as they are.

 

On the other hand, ‘Tree Story-3685’ takes the mature yellowish tone as the basic color of the screen. Like in the naive art, the artist’s mind did not focus on techniques but took into consideration every small bit of the screen and chose to use bright, strong colors. This means that the artist hid her existence and strove to bring life into her objects to turn them into something with new values. Born and grown in nature, the artist admits the circular structure of birth and death, which is the essence of nature, and the various values that materialize in that process are the themes that the artist is interested in.  

 

 

나무이야기_97x130.3cm_혼합재료

 

 

As the proverb goes ‘Those who meet must part,’ the artist’s logic is that by having her paintings, her life-long passion, leave her as if marrying her children she can liberate herself from the shadows of desire. It is not possession but distribution, and nor resignation but freedom. She wants to search for her real self by giving up on greed. Nevertheless, Myung-hee Lee is not caught up in subjective fantasies nor focused on properties of materials or conceptualism that modernism art pursued. She is persistently interested in extracting the essential nature of her objects and sticks to her basic attitude towards painting that she took when she first started painting.

 

Meanwhile, her strokes and layouts show greater variety and characteristic rhythm, while pursuing variation and undulation of shapes. However, the theme itself, the ‘Tree Story’ always exists in that attractive commitment of hers, that is reflection of nature and her surroundings. As a result, her paintings clearly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paintings: paintings are beautiful because they were done by men. That is why paintings are still beautiful and draw our sympathy despite the fact that they exclude exact and detailed description and use the colors that are not quite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objects.

 

 

 
 

이명희 | 李 明 熙 | lee myung hee

 

1988-1989 부산경성대학교 현대미술연구소 수료 | 1991-1997 국립현대미술관아카데미 수료 | 2005 홍익대학교대학원최고위과정 수료

 

개인전 | 2014 개인전-갤러리이즈(인사동) | 2013 한국현대회화제-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 2010 NAAF(NORTHEAST ASIA ART FAIR in TOKYO 2010) in TOKYO | 2009 Seoul Modern Art Sow (예술의 전당) | 2008 KPM 미술제 (예술의 전당)  | 현대미술아트페어전 (인사아트프라자) | 2007 부산문화회관. 마산아트센타-초대전 | G.I.F전-광화문국제아트페스티벌 (세종문화회관) | 2005 I.A.F. Japan(International Art Festival) -Asian Art Museum | 2004 개인전-아트사이드(인사동) | 2003 현대미술여성작가창립전-부산시청전시실 | 2002 개인전-공화랑, 초대전-소호 앤 노호 갤러리 | 1995 1회개인전-최 갤러리(청담동)

 

단체전 | 2014 12회 여성현대미술작가회 (부산광역시청 제2전시실) | 2013 Singapore Art Apart Fair. 10회현작회전(부산 수가화랑)11회현작회전 (갤러리마레) | 2012 9회현작회전(BS갤러리 부산) | 2011 BIAF전. 8회회현대미술여성작가회(갤러리화인 기획초대전).국제아트페어전 | 2010 Korea 현대작가전(중국).한중전(부산문화회관).7회현대미술여성작가회(인사아트센터/ 용두산갤러리).BIAF(부산국제아트페어). 인도네시아 현대미술교류전(간다리아아트리움) | 2009 대한민국 추상 미술전(인사아트프라자).국제아트특별전(부산bexco).BIAF2009전(부산bexco)서초미협전(한전미술관). 6회현대미술여성작가회(갤러리솔거).사랑의작품전(대구시민회관).허빼이지역초대전(중국-China Korea Contemporary Artist Art Work Invitational Exchange Exhibition) | 2008 G.I.F 베이징전(중국).5회현대미술여성작가회(부산롯데화랑).서초미협전(한전전시관).한국미협전(한가람미술관) | 2007 한국 현대미술방콕전(THE LAND OF ART GALLERIA) | 2006 한국미술특별전(부산문화회관). 홍미회(경인미술관) | 2005 고대100주년기념전(세종문화회관). 서울미협전(서울미술관) | 2004 3회현대미술여성작가회(용두산갤러리).2회현대미술여성작가회(부산시청전시실) | 2003 5인전(공화랑) | 1999 6인전(인사갤러리) | 1993 현대아카데미전(소공동 롯데화랑) | 1989 경성대학교 현대미술연구소 작품전(경성대학교예술관).습작전(예나화랑)

 

1988-1989 Completed art course in Institute of Contemporary Arts, KyungSung University | 1991-1997 Completed abstract painting program at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 2005 Completed executive art course at Graduate School of Fine Arts, Hongyik University

 

Solo Exhibitions | 2014 Gallery IS | 2013 Korea Contemporary Fine Art Exhibition(Hangaram Museum, Seoul Arts Center) | 2010 NAAF(NORTHEAST ASIA ART FAIR in TOKYO 2010) | 2009 Seoul Modern Art Sow (Seoul Arts Center) | 2008 KPM Art Fair (Seoul Arts Center) | Modern Art Fair (Insa Art Plaza) | 2007 Busan Cultural Center, Masan Art Center  | G.I.F Exhibition - Gwanghwamun International Art Festival (Sejong Center for the Performing Arts) | 2005 I.A.F. (International Art Festival) Japan(Asian Art Museum) | 2004 Art Inside

2003 1st exhibition of Women’s Contemporary Artist Group (Busan City Hall) | 2002 Gong Gallery, Soho & Noho Gallery | 1995 Choi Gallery

 

Group Exhibitions | 2014 12th exhibition of Women’s Contemporary Artist Group (Busan City Hall) | 2013 Singapore Art Apart Fair | 11th Hyunjakhoe Exhibition(Suga Gallery/Gallery Maree, Busan) | 2012 10th Hyunjakhoe Exhibition(BS Gallery, Busan) | 2011 BIAF Exhibition. 9th exhibition of Women’s Contemporary Artist Group

 

International Art Fair | 2010 Korea Contemporary Artists Exhibition(China). Korea-China Exhibition(Busan Cultural Center). Women’s Contemporary Artist Group exhibition(Insa Art Center). Yongdusan Gallery. BIAF(Busan International Art Fair). Indonesia Contemporary Art Exchange Exhibition (Gandaria Artirum) | 2009 Korea Abstract Art Exhibition(Insa Art Plaza). International Art Special Exhibition(Busan Bexco). BIAF 2009(Busan Bexco) Seocho Artists’ Exhibition(KEPCO Art Center). Women’s Contemporary Artist Group(Busan), Love Exhibition(Daegu Citizen’s Hall). China Korea Contemporary Artist Art Work Invitational Exchange Exhibition in Hebei, China | 2008 G.I.F Beijing Exhibition(China). Women’s Contemporary Artist Group exhibition (Busan Lotte Gallery). Seocho Artists’ Exhibition(KEPCO Art Center). Korean Fine Arts Association’s exhibition(Hangaram Gallery). | 2007 Korean Contemporary Art Exhibition in Bangkok (THE LAND OF ART GALLERIA) | 2006 Korean Art Special Exhibition(Busan Cultural Center). Hongyik University Fine Arts Executive Program’s Exhibition(Kyung-in Museum of Fine Art). | 2005 Korea University Centennial Exhibition(Sejong Center for the Performing Arts). Women’s Contemporary Artist Group’s exhibition(Yongdusan Museum). Seoul Fine Arts Association’s exhibition(Seoul Museum) | 2003 5 Artists’ Exhibition(Gong Gallery) | 1999 6 Artists’ Exhibition(Insa Gallery) | 1993 Hyundai Academy Exhibition(Lotte Gallery) | 1989 Kyungsung University Institute of Fine Arts Exhibitions (Kyungsung University Art Hall, Yena Gallery)

 

현재 | 한국미협 | 현대미술여성작가회.

 

E-mail | shinaemul@hotmail.com

 

 
 

vol.20140917-이명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