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열 展

 

수무상형(水無常形) - 물은 형상이 없다

 

수무상형_138x58cm_한지에 채색_2014

 

 

갤러리 한옥

Gallery HANOK

 

2014. 3. 19(수) ▶ 2014. 3. 26(수)

Opening 2014. 3. 19(수) 오후 5:30

서울시 종로구 가회동 30-10번지 | T.02-3673-3426

 

https://galleryhanok.blog.me | https://www.facebook.com/galleryHANOK

 

 

수무상형_64x29cm_한지에 채색_2014

 

 

물은 형상이 없다(水無常形)

 

물은 굽은 곳이나 곧은 곳을 흘러도 너와 나의 구별이 없으며

구름은 스스로 모였다가 흩어져도 친하거나 소원함이 없네

만물은 본래 한가로워 나는 푸르다 누르다 말하지 않는데

사람들이 스스로 시끄럽게 이것이 좋다 추하다 갖다 붙이네.

 

고려 말 백운경한(白雲景閑 1298~1374)선사의 선시이다.

여기서 우리에게 분별심의 경계를 말해주고 있다. 우리는 어떤 사건이나 사물을 대하게되면 선악(善惡), 시비(是非), 혹은 미추(美醜) 등으로 구분하여 사고하고 판단하려하지만 그것들은 그렇게 확연하게 구분되는 것은 아니다.

자연과 인간의 구분도 그러하다. 그런데 우리는 이 백운선사의 시에서 그는 자연과 나를 구분하려하지 않고 자연과 하나가되어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이처럼 자연과의 합일이 ‘선(禪)’이며 ‘예술’이라 하지 않았던가?

나는 자연 속에 있으며 자연은 나 속에 있다. 자연과 인간은 서로 부분적으로만 관련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양자는 서로의 근저에 있어 동일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기 때문에 산은 산, 물은 물로서 내 눈앞에 있게 되는 것이다. 내가 산을 산이라고 보고 물을 물이라고 보는 것은 내가 산이며 물이며, 산이 나며 물이 나이기 때문이다. 내가 그 속에 있고 그가 내 속에 있다. 선의 경지, 예술의 경지에서라야만 산은 산이며, 나는 산을 이와 같이 보고 산은 또 나를 이와 같이 보게 된다. 내가 산을 보는 것이 그대로 산이 나를 보는 것이다.

“만물은 본래 한가로워” 즉 “본래면목(本來面目)” 그대로 이라 “나는 푸르다 누르다 말하지 않는데” 사람들은 ‘푸르다’, ‘누르다’, ‘아름답다’, ‘추하다’ 자꾸 분별하려 한다.

육조 혜능(慧能)선사는 ‘마음(心)’은 공(空)하여 한 물건도 없으며(무일물 無一物; ) 그래서 본래부터 깨끗하다(상청정; 常淸淨)고 하면서 이 ‘무일물’은 바로 ‘선도 생각하지 않고(불사선不思善;), 악도 생각하지 않는(불사악 不思惡), 즉 이분법적 분별을 초월한 ‘부모로부터 태어나기 이전(父母未生前時)’의 ‘본래면목’, ‘본래무일물’ 이며, 여기에는 선(善)과 악(惡), 시(是)와 비(非), 미(迷)와 오(悟), 청정(淸淨)과 불청정(不淸淨), 등 본래부터 아무것도 없어 ‘불성은 항상 청정하다’고 하였다.

선의 경지나 예술의 심미 경계는 잠시 자아를 망각하고 의지의 속박 즉 이분법적 분별의식을  뛰어넘어 이미지의 세계로 이동한다. 그래서 선에서 추구하는 선경이나 예술에서의 심미 추구는 서로 통한다.

선과 예술은 추론이나 논의를 좋아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것은 헛된 공론에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 아무리 노력하고 애를 썼다 해도 결국에는 그렇게 밖에 될 수 없기 때문이다. 선은 철학적 방법을 쓰지 않으며 또 철학적 사고로 유도하는 일체의 것도 배제한다. 선의 목적이라고 하는 것은 아무리 인간이 철학적 논리적 사고를 좋아하고 그것을 궁구해 간다 하더라도 궁극에 이르는 것이 아님을 우리에게 일깨워 주는데 있다.

선의 방법은 이처럼 독특한 것이다. 즉 자연과 인간, 주와 객 등이 서로 대립하지 않고 바로 ‘불이(不二)’의 경계에 이르게 하는 것이다. 이 ‘불이’야 말로 일체존재, 일체 현상의 시초 없는 시초가 된다.  시간과 비시간이 교차하는 점, 의식과 무의식이 교차하는 순간 파악된 것이다. 이 교차의 순간이 무념의 순간 무상의 순간으로 말로도 글로도 표현할 수 없다는 ‘언어도단(言語道斷)’의 경지이다.

그러나 사람들은 이것을 어떤 식으로든 표현하고 전달해야 했다. 그래서 선시가 나오고 선화가 그려진 것 아닌가?

‘산은 산’, ‘물은 물’ 그대로 이며‘ ’무심히 흐르는 물(流水無心)‘ ’형상이 없는 물(水無常形)‘을 형상이 있는 시각언어로 표현하려 하였다. 이를 얼마나 드러내어 전달하고 있는지? 송대 설두(雪竇) 선사의 시를 빌어 그 답을 대신하기로 해야겠다.

 

춘산은 끝없이 겹겹으로 녹수에 덮여 벽층층(碧層層)이루고

산 아래 춘수(春水)는 깊고 깊어 벽산(碧山)의 그림자 비치네.

천지 사이 이 무인(無人)의 경계에 나 홀로 서있구나

이 풍광의 끝이 다한 곳을 아는 이 단 한 사람이라도 있으랴.

 

 

2014년 3월

是得齋 墨禪室에서 김대열 識

 

 

수무상형_68x46cm_한지에 채색_2014

 

 

수무상형_75x33cm_한지에 채색_2014

 

 

수무상형_73x43cm_한지에 채색_2014

 

 

수무상형_86x18cm_한지에 채색_2014

 

 
 

김대열

 

현재 동국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부 한국화전공 교수이며 이번 개인전은 15번째 이다. 그 동안 국내외 단체전 300여회에 참여하고, 학술논문 30여편을 발표하는 등 예술창작과 이론연구를 함께 아우르고 있다.

 

生於 | 1952年 韓國 忠淸南道 靑陽郡

東國大學校 藝術大學 美術學部 (韓國畵 專攻) 畢業

國立臺灣師範大學 美術硏究所 碩士班 畢業 (藝術學碩士)

檀國大學校 大學院 史學科(美術史專攻) 畢業 (文學博士)

現在 | 個展15屆 聯展300餘次參加

論文30多編發表

中國南開大學客座敎授

 
 

vol.20140319-김대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