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윤선 展

 

心印

마음을 새기다...

Scan of Mind...

 

心印_200X100cm_Hanji,Floor Paper,Indian Ink_2013

 

 

가나아트스페이스

Ganaartspace 3F

 

2013. 9. 11(수) ▶ 2013. 9. 16(월)

Opening 2013. 9. 11(수) pm 6

서울시 종로구 관훈동 119 | Tel. 725-9256

 

www.ganaartspace.com

 

 

心印_160X36cm_Hanji,Floor Paper,Indian Ink_2013

 

 

심인(心印)으로 드러나는 영혼의 속삭임

 

안 영 길(철학박사, 동양미학)

우리의 삶 속에서 마주하는 특별한 의미를 표현할 때 ‘인상이 깊다’거나 ‘마음에 새기다’ 또는 ‘명심하다’ 나 ‘각인되다’ 등으로 말하곤 한다. 이처럼 우리의 삶을 에워싸고 펼쳐지는 감성적 인식들은 얕거나 깊게 마음속으로 스며들어 이미지를 형성하며 흔적을 남기는데, 작가 이윤선은 이 특별한 경험들을 마음에 새겨두었다가 미적 감성으로 승화시킨 이미지들을 마음속 깊은 우물에서 두레박질하듯 길어 올려 화폭에 담아내는 작업을 하고 있다. 마치 영혼이 담긴 마음의 흔적과 여정을 인증샷을 찍어 앨범에 담아내는 것과도 같은 이 창작의 과정을 작가는 조심스럽게 심인(心印)이라고 말하고 있다.

작가 이윤선은 이러한 심인의 표출을 통해 무엇을 이야기하려는 것일까? 작가가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은 동양의 심오한 도나 예술의 숭고함이 아니라 개인의 역사성에 근거한 일상의 소소한 감동과 깨달음이다. 작가가 살고 있는 아파트 주변의 꽃과 나무들이 계절에 따라 피고 지는 풍경을 관찰하며 얻은 통찰들이 담겨 있다. 일상에서 마주하는 꽃과 나무에는 빛과 바람과 향기가 있고 벌과 나비가 깃들다 떠나가는 반가운 만남과 애틋한 이별이 공존하는 가운데 일상에 지친 우리의 영혼을 치유하는 자연의 이미지가 넘쳐흐른다. 이러한 자연의 이미지와 자연스럽게 하나가 되어 교감하노라면 정신적인 자유로움과 소소한 삶의 행복을 만나는 감정의 치유를 경험하게 된다.

작가 이윤선이 추구하는 인간과 자연, 음과 양의 조화를 통한 상생의 어울림은 거대한 철학적 담론이나 구호가 아닌 잔잔한 영혼의 속삭임으로 다가온다. 절제되고 단순화한 꽃과 나무에서 깃들어 쉬거나 날고 있는 나비의 이미지는 바로 작가 영혼의 표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스신화에 나오는 에로스의 연인 프쉬케가 영혼을 상징하며 나비의 이미지로 나타나는 것처럼 자유로운 영혼과 사랑의 의미를 갖고 있다. 동양에서도 장자의 ‘호랑나비의 꿈’처럼 자유로운 영혼이나 사랑과 장수를 상징하기도 하고, 나비의 우리말 어원이 ‘날아다니는 빛’ ⟶ ‘날빛’ ⟶ ‘나비’라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영혼의 빛을 상징하는 이미지로 즐겨 사용되곤 한다. 작가의 이전 작품에 등장했던 매미 또한 영혼의 부활 및 재생을 상징하는 것으로 상통한다고 할 수 있다.

화폭 속의 한 마리 나비는 자유로운 영혼의 고독과 성찰, 두 마리 나비는 영혼의 교감을 통한 만남과 사랑, 군집한 나비는 조화롭게 보듬고 의지하며 살아가는 상생의 어울림의 덕목을 표상하고 있다. 아직 자유롭지 못한 트라우마에 갇힌 영혼들은 꽃잎이나 나무 등걸에 숨은 채 발견되기를 기다리며 행복한 만남과 자유로운 영혼을 갈망하는 듯하다. 일상적 삶의 고단함에 갇힌 상처투성이의 우울한 마음의 휴식과 치유를 필요로 하는 우리들에게 삶에 대한 긍정을 나비의 이미지를 통해 공감하도록 유도하면서 영혼의 향기를 맡아보라고 손짓하고 있다. 작가의 이러한 메시지는 ‘가장 은미한 것이 가장 잘 드러난다.’는 『중용(中庸)』의 말처럼 작지만 큰 울림으로 우리의 순수한 감성을 일깨울 수 있다고 생각하는 듯하다. 작가 이윤선에게 꽃과 나비의 이미지는 향기로움이나 아름다움으로 다가오는 단순한 사물이 아니다. 어린왕자가 장미에게 물을 주고 가꾸면서 깨우친 사랑의 교감처럼 작가 자신의 삶의 일부로 그 존재가 심인(心印)처럼 내면 깊숙이 자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心印_143X177X2cm_Hanji,Floor Paper,Indian Ink_2013

 

 

존재의 존재자로서의 의미와 가치는 이러한 상호간의 특별한 관계인식으로부터 이루어지는데, 그렇지 못할 경우 우리 앞에 놓인 존재 또는 대상은 단지 하나의 공간을 차지하며 스쳐 지나가는 몸짓에 불과하다. 그러나 주체의 의식이 존재나 대상 속으로 스며들어 특별한 만남과 교감이 이루어질 때 존재 또는 대상은 스스로 문을 열고 자신의 의미와 본질을 드러내며 주체와 서로 소통하게 된다. 작가의 심인(心印)으로 드러나는 영혼의 속삭임은 이처럼 단순한 서정성을 뛰어넘어 자연의 질서와 변화 속에서 발현하는 본질, 즉 음과 양의 조화와 상생의 이미지로 응축되어 표현되고 있다. 이 감동적인 인식의 변화는 창작의 일과 일상적 삶이 둘이 아니고 하나라는 평범한 진리의 자각으로부터 비롯한 것으로 작가 이윤선은 꽃과 나무와 나비의 이미지를 그리는 작업 속에 자신의 삶으로부터 각인된 내면의 의식들을 투사시켜 드러내고자 한다. 이러한 내면적 성찰을 바탕으로 봄바람처럼 불어와 헤적이는 행복한 욕구들을 오랜 동안 걸러내고 응축시켜 심인(心印)의 표출로 드러낸 것이 이번 전시회의 작품들이다.

작가 이윤선의 이번 전시는 매우 특별하다. 내적 감성과 영혼의 소리에 귀 기울이며 전통과 혁신의 조화라는 조형적 실험을 새롭게 자리매김하는 전시이기 때문이다. 이번 전시 작품들은 전통 한지를 활용하면서도 겹쳐 붙이는 배접기법과 모노타이프(monotype)라는 판화기법을 이용하여 깊숙한 내면과 겉으로 드러난 표면, 오브제처럼 밖으로 돌출된 욕망의 이미지를 절묘하게 표현하기도 하고, 고무판에 먹이나 색을 입혔다가 긁어내던 기법을 새롭게 장판에 적용하여 좀 더 발전되고 세련된 효과를 내기도 하였다. 지난번 전시에서 보여준 아크릴 물감을 활용한 감각적 색채표현의 뜨거운 욕망을 절제하면서도 금분이나 채색 안료들을 통해 색채에 대한 은밀한 욕구를 공공연하게 드러내고 있기도 하다. 훨씬 간결해진 구도와 배치 및 여백의 효과를 통해 함께 호흡하며 교감할 수 있는 여유로움이 느껴진다.

<심인(心印)> 시리즈라고 할 수 있는 10여 점의 이번 전시 작품들은 대작과 연작, 소품들이 망라되어 있는데, 작가 이윤선이 추구하는 음과 양의 조화와 상생의 어울림이라는 조형원리와 철학적 성찰에 맞게 서예의 대련처럼 짝을 이루도록 구성하여 배치하고 있다. 한지와 장판, 수묵과 모노타이프 등 이질적인 재료와 기법들이 짝을 이루어 속삭이며 이야기하듯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것 또한 작품의 내용과 잘 어울려 어색하지 않다. 작가는 작업과정이 놀이처럼 행복하다고 말하고 있는데, 작품 속에서 심인(心印)으로 드러나는 꽃과 나무, 나비와 허공의 이미지들은 실제의 자연이 아니라 작가의 내면적 감정과 어우러진 새롭게 창조된 영혼의 이미지라고 할 수 있다. 감상자들도 익숙한 형상 이미지에 구애받지 않고 심인(心印)으로 드러나는 영혼의 속삭임에 귀를 기울이며 공감의 폭을 넓혀나간다면 행복하고 즐겁게 마음의 치유에 동참하게 되리라고 믿는다.

작가 이윤선이 보여주고 있는 이번 작품들은 전통과 혁신이라는 화두에 바탕을 두면서도 작가의 내면적 의식에 대한 성찰 및 새로운 감각을 요구하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주체적 변화를 지향하며 모색해 온 열정의 산물이다.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이 있듯이 작가 이윤선이 들려주는 영혼의 속삭임에 귀 기울일 때 우리가 못 느끼고 지나치던 일상적 살과 자신의 삶에 대한 성찰을 통해 마음이 치유되는 감동도 맛볼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오래도록 심인(心印)의 이미지를 통해 많은 사람들을 힐링할 의미 있는 작가로 노력하며 발전해나가길 기대한다.

 

 

心印_158X55X2cm_Hanji,Floor Paper,Indian Ink_2013

 

 

Whispering of the Soul Expressed by Impressions in the Heart

 

Ahn Young-Gil (PhD in Philosophy, Oriental Aesthetics)

When we want to express special events that we encounter in our lives, we use words such as “leaving a strong impression”, “take to the heart”, “bear in mind”, or “imprinted in our memory”. As such, the emotional cognitions that surround our lives permeate our minds to varying degrees and leave images. Artist Lee Youn-Sun keeps these special experiences in her heart, carefully elicits the images sublimated with aesthetic sentiments, as if drawing water from a well dug deep in her heart, and expresses them on the canvas. It is similar to taking photos of the traces and the journeys of her soulful mind and presenting them in an album, and the artist thoughtfully refers to this creative process as “making impressions in the heart”.

What is it that Lee is trying to tell us by expressing the impressions made in her heart? Rather than profound Oriental teachings or noble arts, what the artist wants to convey are trivial emotions and realizations of daily life based on her individual sense of history. Lee’s works contain insights acquired from observing how the flowers and trees around her apartment bloom and wither away with the passing of seasons. Flowers and trees that greet us daily contain light, wind, and aroma, and the images of nature that heal our weary souls are abundant amidst pleasant encounters and touching farewells, like the comings and goings of bees and butterflies. Becoming one with these images of nature and engaging in communion, we experience the healing of our emotions and spiritual freedom that allow us to realize the happiness hidden in our daily routine.

The harmony of coexistence Lee purses by achieving balance between human and nature and between yin and yang approaches us as gentle whispers of the soul and not as grandiose philosophical discourse or slogan. Image of a butterfly resting or flying around restrained and simplified flowers and trees symbolizes artist’s soul. The image also signifies the freedom of soul and love, similar to Eros’s lover Psyche portrayed as a butterfly to symbolize her soul in Greek mythology. In the East, butterflies represent free spirit, love, or longevity, as in Zhuangzi’s The Butterfly Dream. The origin of the word butterfly is “flying light” in the Korean language, and the flying insect has often been used as an image of spiritual light. In earlier works, Lee also used cicadas, which symbolize revival and regeneration of the soul.

A single butterfly portrayed on the canvas represents the solitude and introspection of a free soul, a pair of butterflies symbolize encounter and love through communion of souls, and a group of butterflies signifies the virtue of community where individuals living in harmony, helping and relying on each other. It appears that souls trapped in trauma are hiding behind flowers or tree stumps, waiting to be found and yearning for happy encounters and freedom of soul. The artist is beckoning us to smell the scent of spirit while urging us to share the positive images of the butterfly. She invites everyone who needs to rest and heal the wounded mind tired of and confined by daily struggles. As the teaching of moderation says, “the most subtle is exposed most easily,” Lee believes her messages can create subtle yet significant resonance capable of waking up our pure emotions. To her, flowers and butterflies are not mere objects that offer beauty and aroma. Similar to the interaction of love that The Little Prince realized while nourishing and growing a rose, the message has been made into impressions deep in her heart as part of her life.

 

 

心印_158X55X2cm_Hanji,Floor Paper,Indian Ink_2013

 

 

The significance and value of a being in existence are rooted in the special mutual recognition of relationship. Otherwise, an existence or an object before us is nothing more than a fleeting gesture that occupies a space. However, when subject’s consciousness permeates a being/object and forms a special encounter and communion, the being/object opens its door, reveals its significance and nature, and communicates with the subject. The artist’s whispering of the soul expressed by impressions in her heart surpasses mere lyrics and expressed as an encapsulation of the substance developed from the orders and variations of nature, or the image of harmony and coexistence of yin and yang. The changes in emotional recognition stem from the realization that creative work and daily life are one and inseparable. Accordingly, Lee intends to project her internal cognition imprinted from her daily life on to the work of portraying flowers, trees, and butterflies. The works presented at the current exhibition express the impressions in the heart based on the artist’s introspection by filtering out and condensing the blissful yearnings that have arrived like the spring wind.

Lee’s current solo exhibition is indeed a special occasion because it allows the artist to perform a novel formative experiment of harmony between tradition and innovation while paying close attention to the messages from internal emotion and the soul. Lee employs the multiple-layer adhesion method while using traditional Korean mulberry paper and also uses a printmaking technique referred to as monotyping to exquisitely express innermost aspects and superficial externals, as well as images of desires protruding outward, such as an objet d’art. She also applies the technique of etching on layers of India ink or color on rubber plate to linoleum for advanced and sophisticated effects. While restraining the burning desires of the sensual color expressions that she used in the previous exhibition, Lee openly exposes her covert desires for colors through gold powder and color pigments. Thanks to simplified composition, arrangements, and the effects of open space, there is a relaxed feel for interaction with the audience.

About ten pieces of work that can be labeled as the “Impressions in the Heart” series range from large-scale works to series and smaller pieces, which are arranged in pairs like couplets in Oriental calligraphy according to Lee’s pursuit of yin and yang, as well as the structural principles and philosophical introspection contained in the harmony of coexistence. Disparate materials and techniques, such as Korean mulberry paper–linoleum and India ink–monotypes are arranged and paired so that they appear to be whispering to each other, creating a nice harmony with the content of Lee’s works. The artist says that the process of artwork is as joyful as playing. The images of flowers, trees, butterflies, and open air expressed as impressions in the heart in Lee’s works are not the nature in reality, but images of a newly created soul intermingling with artist’s internal emotions. I believe the audience will be able to take part in the joyous process of healing their minds if they can lend ears to the whispering of the soul expressed by the impressions in the heart, expand the scope of empathy, and not be confined to familiar formative images.

While based on the concepts of tradition and innovation, the works that Lee presents at the current exhibition are culmination of her passion for pursing distinct changes according to the contemporary flow of history that calls for introspection of the inner consciousness and new sensibility. As realization expands our perspective, listening to the whispers of Lee’s soul will enable us to experience the sensation of healing our minds by paying close attention our daily lives that we had so often dismissed. I sincerely hope that she continues to develop into an artist capable of healing people’s minds through the images of making impression in the heart.

 

 

 
 

이윤선 | Yoonsun Lee

 

성신 여자 대학교 대학원 동양화과 졸업 | 추계 예술 대학교 미술학부 동양화과 졸업

개인전 | 2013 | 제7회 개인전 (가나아트 스페이스,서울) | 2011 | 제6회 개인전 (The Garage Gallery,서울) | 제5회 개인전 (미술공간 현 기획초대전,서울) | 2007 | 제4회 개인전 (Schlow Centre Region Library Gallery, State College, PA, USA) | 2005 | 제3회 개인전 (Pasquerilla Spiritual Center in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USA) | 2002 | 제2회 개인전 (갤러리 라메르,서울) | 2000 | 제1회 개인전 (모로 갤러리,서울)

공모전 및 단체전 | 2013 | “성신 동양화회展”-인사아트센타 | 추계예대 동양화과 동문전 –현대미술공간C21 | 나토전 –상암월드컵 DMC홍보관 | 2012 | “성신 동양화회展”- 인사아트센타 | 2011 | “성신 동양화회展” – 갤러리 이즈 | 2010 | 성신여자 대학교 개교 45주년 기념전 – 인사 아트 센터 | 2009 | “성신 동양화회展”–화봉갤러리 | 갤러리 각 4주년 특별기획전(端展) – 갤러리 각 | 2002 | Artiest Invited Exhibition – Galerie Forum, Wiesbaden (독일) | 2001 | 제7회 신진작가 발언전 (서울 시립 미술관) – 월간 미술세계 주최 | 제3회 한국 정예작가 초대전 (동아 갤러리) – 월간 미술문화 주최 | 제20회 성원전 (덕원 갤러리) | 현대 미술의 진로를 위한 모색전 (서대문 갤러리) | 2000 | 제19회 대한민국 미술 대전 입선 (과천 국립 현대 미술관) | 2000’ 동아 미술제 입선 (과천 국립 현대 미술관) | 광주 비엔날레 특별전 (인각의 숲, 회화의 숲) | 상자 속의 명상전 (인간과 자연 – 공평 아트 센터) | 제19회 난우ㆍ성원 동양화 초대전 (제주 신천지 미술관) | 제14회 구연전 (덕원 갤러리) | 홍대 거리 미술제 ‘ZE(再) RO(路)’ | 한국 미술 오방위전 (2000.8.15 ~ 12.31) | 1999 | 남산 위에 저 소나무전 (실경 산수 기획전 – 공평 아트 센터) | 제18회 성원전 (서경 갤러리) | 제13회 구연전 (공평 아트 센터) | 1998 | 제29회 전국 대학 미전 특선 (전북대) | 1997 | 제8회 미술세계 대상전 입선 서울 시립 미술관) – 월간 미술세계 주최

현재 | 성신동양화회 | 나토회 | 구연회 | 동방 예술 연구회 회원

 

Attending Oriental Painting Dept., Graduate School, Sungshin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 Graduated from Oriental Painting Dept., College of Fine Art, Chugye University for the Arts. Seoul, Korea

Solo Exhibition | 2013 | The 7th Solo Show – Gana Art Space, Seoul | 2011 | The 6th Solo Show –The Garage Gallery, Seoul  | The 5th Solo Show – Art Space Hyun, Seoul | 2007 | The 4th Solo Show – Schlow Centre Region Library Gallery, State College, PA, USA | 2005 | The 3rd Solo Show-Pasquerilla Spiritual Center in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USA | 2002 | The 2 nd Solo Show – Gallery La Mer, Seoul  | 2000 | The 1st Solo Show – Moro Gallery, Seoul

Awards & Group Exhibition | 2013 |  Exhibition by Sungshin Oriental Painting Association– Insa Art Center | Chugye University for the arts Department of Korean Painting College of Fine Arts Exhibition | Nato Exhibition(Sangam WorldCup DMC a Public Relations Officer) | 2012 | Exhibition by Sungshin Oriental Painting Association– Insa Art Center | 2011 | Exhibition by Sungshin Oriental Painting Association – Gallery Is | 2010 | The 45th Anniversary Sungshin Woman’s University – Insa Art Center | 2009 | Exhibition by Sungshin Oriental Painting Association – Hwabong Gallery | The 4th Anniversary Gallery Gac (dan) – Gallery Gac | 2002 | Artiest invited Exhibition – Galerie Forum, Wiesbaden (Germany) | 2001 | The 7th Uttering Exhibition of Young Artists – Seoul Metropolitan Art Museum | The 3rd Korea Competent Artist invited Exhibition – Dong A Gallery | The 20th Sungwon Group Show – Dukwon Gallery | The exhinbition for modern arts course – Seo De Moon Gallery | 2000 | The 19th Korea Art Exhibition –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 2000 | Dong-A Art Festival –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y Art | ‘Forest of Human Beings & Forest of Paintings’ – Special Exhibition of Kwangju Biennale | ‘Meditation in a Box (Human Beings & Nature)’ – Gongpyung Art Center | The 14th Kuyon Exhibition – Dukwon Gallery | ‘ZERO, the Street Art Festival’ – Hongik University | Five Directions of Korean Art (Aug. 15 ~ Dec. 31, 2000) | 1999 | ‘The Pine Tree on Mt. Nam’ (Landscape drawn from life) – Gongpyung Art Center | The 18th Sungwon Group Show – Seokyung Gallery | The 13th Kuyon Group Show – Gongpyung Art Center | 1998 | The 29th National College Students’ Fine Art Contest, special prize (Jeonbuk University) | 1997 | The 8th Misulsegye Art Contest – Seoul Metropolitan Art Museum

Present | Member of Sungshin Oriental Painting Group and Nato and Kuyon Group and Dongbang Arts of Institute

 

 
 

vol.20130911-이윤선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