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정환 展

 

신시이후-화 | 神市以後-花

 

신시이후 화_170.5x80.5cm_Mixed media_2013

 

 

인사아트센터 서울관

 

2013. 9. 11(수) ▶ 2013. 9. 17(화)

Open Reception 2013. 9. 11(수) pm 6

서울시 종로구 관훈동 188 B1 | T.02-720-4354

 

www.jma.go.kr

교동 아트스튜디오

 

2013. 9. 24(화) ▶ 2013. 9. 29(일)

Open Reception 2013. 9. 24(화) PM 6:00

전북 전주시 완산구 풍남동 3가 75-9 | T.063-903-1241

 

 

 

 

신시이후 화_182.5x91cm_Mixed media_2013

 

 

작가는 오랫동안 역사를 주제로, 한국적(동양적) 미감을 구현하는 작품 활동을 해왔다.

신시(神市)는 환웅이 태백산 신단수 아래에 인간세상을 위해 열었던 최초의 도시를 의미한다.

그래서 <신시이후>연작은 역사의 추상적 개념을 조형화시키는 실험의 과정이라 할 수 있다.  

 

한동안 역사라는 커다한 주제 속에서 솟대, 백두산, 소나무, 새 등을 소재로 작업의 변화를 꾀하였다. 이번 전시에서는 꽃이라는 소재의 선택이 가장 큰 변화라 할 수 있다.

 

작가는 새로운 문화의 태동과 번성 그리고 쇠락의 과정을 반복하는 역사의 순환과 꽃의 생태적 특질에 주목하였다. 수많은 꽃들이 시간과 계절을 달리하며 각각의 지역에서 그 지역의 풍토에 맞는 꽃을 피우다가 다시 지고 개화 후의 결실은 또 다른 문화의 꽃을 피우는 씨앗이 된다는 지극히 평범한 자연의 이치가 이번 작업의 모티프가 되었다.

 

동양적 미감을 구현하기 위해 한시 또는 작가의 생각을 한자로 적어 동양회화의 핵심적 요소인 시서화적 요소를 차용하거나 갑골문 또는 발굴된 유물의 이미지를 화면 전체에 깔아줌으로써 동양적 분위기를 한껏 고조시키고 있다.

 

캔버스에 음각으로 새긴 갑골문은 갑골문의 상형성을 드로잉적 요소로 확장시키려는 작가적 실험의 일환으로 상감기법으로 표현된 동물의 경우도 같은 문맥으로 이해된다. 아울러 자칫 정적일 수 있는 화면 구성을 감안해 거친 붓의 느낌과 재료의 질감을 살려 작품에 재미와 기운을 불어넣었다.

 

특히 두 개의 캔버스를 병치시키는 방식으로 작업하고 있다. 이는 구상성이 강조된 화면과 추상적 화면의 병치를 통해 역사라는 주제를 효과적으로 구현해 내고자 하는 작가의 오랜 작업방식이라 할 수 있다.

 

 

신시이후 화_177.5x80.5cm_Mixed media_2013

 

 

신시이후 화_ 170.5x80.5cm_Mixed media_2013

 

 

신시이후 화_236.5x112.0cm_Mixed media_2013

 

 

신시이후 화_236.5x112cm_Mixed media_2013

 

 
 

최정환

 

1970 전라남도 광양 출생 | 1989 전주신흥고등학교 졸업 | 2005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조형미술학과 졸업(문학박사,조형미술)

 

개인전 | 1999 제 1회 개인전  전주, 얼화랑 | 2000 제 2회 개인전  전주, 우진문화공간 | 2002 제 3회 개인전 전주, 예술회관 | 2005 제 4회 개인전  전주, 한국소리문화의 전당 | 2006 제 5회 개인전  전주, 예술회관 | 2009 제 6회 개인전  전주, 예술회관 | 2011 제 7회 개인전  전주, 서신갤러리 | 2011 제 7회 개인전  서울, 인사아트센터(전북도립미술관분관) | 전주, 교동아트스튜디오

 

수상 | 2005 | 국제현대미술협회 IMAA상 | 1995-2002 | 전라북도 미술대전 대상 및 특선4회 | 1995-2000 | 전국무등 미술대전 우수상 및 특선2회 | 1995-1996 | 대한민국국민대전 우수상 및 특선 | 2005-2009 | 구상전 특선 3회 | 1998 | 미술세계 대상전 특선 | 1996 | 대한민국 미술대전 입선

 

단체전 및 초대전(150여회) | 2013 한국현대회화제 서울,예술의 전당 | 2012 아트워크전 부안,휘목미술관 | 2011 제주특별자치도문화진흥본부초대전 제주, 제주문회회관 | 2011 대한민국 현대여성 미술대전 서울,시립미술관 | 2010 자화상전 전주, 서신갤러리 | 2010 한중미술-현재의 시각 전주, 학생문화회관 | 2010 천년예도 아프리카를 가다 남아프리카공화국 | 2009 천년전주의 물결전 전주, 한국소리문화의 전당 전시실 | 2009 시각언어의 모색전 익산, 현대갤러리 | 2008 대상수상작가전 전주, 한국소리문화의 전당 | 2008 영호남구상작가 초대전 전주, 교통아트센타 | 2007 그들만의 풍경전 서울, 조선화랑 | 2007 대구-전북 구상작가 초대전 대구, 문화예술회관 | 2007 발상의 전환전 전주, 학생문화회관 | 2006 해우소 이야기전 대구, 대구 문화예술회관 | 2006 베란다 밖 풍경전 광주, 메트로갤러리 | 2005 대륙의 메아리전 안산, 단원미술관 | 2005 한일 교류전 전주, 예술회관 | 2004 제주-바람-태평양전 제주도, 제주문화예술회관 | 2004 내포현대미술제 홍성, 홍주문화회관 | 2003 한국미술의 새로운 도약전 서울, 우림아트갤러리 | 2003 Tokyo Global Art 2003 동경, O미술관 | 2002 중․한화가우호교류전 중국, 단동변경제합작구문화광장전람청 | 2002 원광미술의 오늘 방콕, 실파콘대학미술관 | 2001 대한민국 청년미술축전 서울, 시립미술관 | 2001 전북 현대미술제 전주, 예술회관 | 2000 2000현대미술전 군산, 군산대학교 미술관 | 1999 한국 정예작가전 서울, 시립미술관

 

현재 | 전라북도 미술대전 초대작가 | 무등 미술대전 초대작가 | 사)구상전 | 전북구상작가회 | 한국미술협회 | 남성고등학교 재직

 

심사 및 집필 | 전라북도미술대전 운영위원․심사위원 역임 | 행주미술대전, 춘향미술대전 심사위원 역임 | 2007-2008 | 《전북중앙신문》, <최정환의 미술카페> 88회 연재 | 2009-현재 | 《월간미술》, <art journal> 기고 | 2005-현재 | 미술평론 18회 | 2011 | 인정교과서 고등학교 ≪미술과 삶≫(교학사) 집필 | 2012 | 특수교육 국정교과서 고등학교 ≪미술≫(미래엔) 집필 | 2013 | 인정교과서 고등학교 ≪미술문화≫(도서출판 씨마스) 검토위원 | 2009-현재 | 원광대학교, 전주대학교 등에서 강의

 

작품소장 | 전라북도 교육청 | 전북도립 미술관 | 국립 민속박물관 | 원광대학교 미술관

 

 
 

vol.20130911-최정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