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민주항쟁 33주년 기념 고은사진미술관 기획 展

 

'그날의 훌라송'

 

ⓒ강홍구_도망자 series - 도망자 4_Pigment Print_1996

 

 

고은사진미술관 (1부)

고은 컨템포러리 사진미술관 (2부)

 

2013. 5. 18(토) ▶ 2013. 7. 31(수)

Opnieng : 2013. 5. 18(토) PM 6:00

오픈렉쳐 : 2013. 5. 19(일) PM 1:00

작가대화 : 2013. 7. 27(토) PM 2:00

주최 | 고은문화재단 주관 | 고은사진미술관

고은사진미술관 : 부산광역시 해운대로 452번길 16 | T. 746-0055

(구 고은사진미술관 신관)

고은 컨템포러리 사진미술관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중동1로 37번길

 

www.goeunmuseum.org

 

 

참여작가 | 강홍구 | 권순관 | 김은주 | 김혜선 | 나경택 | 노순택 | 오석근 | 오형근 | 이상일 | 이창성 | 조습

 

 

ⓒ강홍구_광주_Pigment Print_1996

 

 

사진은 5.18을 어떻게 재현했으며, 그 트라우마를 어떤 상상력으로 극복했는가.

사진의 재현성과 기록성은 어떤 방식으로 개인적 차원과 집단적 차원의 기억을 잇는가.

 

올해로 5. 18 광주민주항쟁이 33주년을 맞는다. 33이라는 숫자는 대부분의 종교에서 나름의 의미를 갖는다. 영생과 불멸, 도처의 모든 사람. 이는 인간의 삶과 죽음에 대한 진지한 성찰과 고민을 담고 있다. 고은사진미술관은 바로 이 33이라는 상징적인 숫자에 주목하면서 광주민주항쟁이라는 현대사의 큰 쟁점을 사진이 어떻게 기억하는가를 추적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 전시는 1980년이라는 시간과 전라남도 광주라는 공간이 그때 그곳?에 멈춘 박제된 기억이 아니라 "지금 여기"에 아직까지 계속되고 있는 삶의 현재진행형이라는 사실에서부터 시작한다.

 

 

ⓒ권순관_Configurated in Accumulative Space-늙은 남자의 멱살을 잡고 화를 내는 남자_

150x189cm_Archival Pigment Print_2007

 

 

그런 의미에서 이번 전시는 당시 상황을 있는 그대로 조명하여 사건의 진상을 파헤치는 데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며, 관련사진을 집합하여 나열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지도 않는다.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은 바로 1980년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5.18이라는 묵직한 사건을 사진은 어떻게 목격했고, 기억해 왔으며, 재현해 왔는가라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날의 훌라송>은 역사적 사건에 대한 전시라기보다는 역사적 사건을 다루는 사진적 방법론에 관한 전시라는 표현이 더 적절하다. 이러한 의도에 맞춰 전시는 포토저널리즘사진부터 현대사진까지 아우르면서 사진의 본질은 과연 무엇인가라는 장대한 질문에까지 접근한다. 그 동안 5.18에 관한 많은 사진전이 있었지만, 역사적 사건을 둘러싼 재현과 사진적 상상력에 관한 접근은 처음인 만큼 고은사진미술관이 전시에 거는 기대도 남다르다. 그래서 이번 전시는 고은사진미술관과 고은 컨템포러리 사진미술관 두 곳에서 총 11명의 작가들의 작품과 시민들이 제공한 기념사진으로 보다 역동적으로 구성된다.

 

 

ⓒ권순관_Configurated in Accumulative Space 풀밭에 쓰러져 있는 여자_

150x189cm_Archival Pigment Print_2007

 

 

전시 제목인 <그날의 훌라송>은 당시 광주에서 가장 많이 들리던 노래, 훌라송에서 착안했다. 동요 ‘손뼉치며 빙빙 돌아라’로도 유명한 이 곡조는 5. 18 당시 시위대가 ‘무릎을 꿇고 사는 것보다 서서 죽기를 원하노라 훌라훌라’,‘유신 철폐 훌라훌라’ 등 시위 현장에서 상황에 맞는 가사를 붙여 주로 사용하던 상징적인 음악이다. 한편으로 이 곡은 계엄사가 광주와 전남지역에 대국민 홍보 방송을 할 때마다 배경 음악으로 썼던 군가이기도 하다. 미국 남북전쟁 당시 북군이 사기 진작을 위해 부르던 'When Johnny comes marching home'이라는 곡이 원곡으로 그 뒤로 대표적인 군가로 자리잡아 우리나라에도 전해졌다. 그러나 실제로 이 곡의 진짜 뿌리는 전쟁에 동원된 뒤 다리를 잃고 돌아온 남편을 원망하는 내용을 담은 ‘Johnny I hardly knew ye’라는 아일랜드의 유명한 반전 노래다. <그날의 훌라송>은 전쟁을 원망하는 노래가 승전가로 바뀌는 현실의 부조리함, 서로의 입장에 따라 전혀 다른 해석이 등장하는 엇갈린 역사를 풍자함과 동시에 그날의 사건을 자기방식으로 기억하고 짜깁기하는 오늘날의 현실에 대한 은유이다.

 

제1 전시장인 고은사진미술관에서는 광주민주항쟁 당시부터 현재까지 진행되어온 사진가들의 다큐멘터리작업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5.18 당시 사진기자로서 현장을 목격한 나경택(구 전남매일 기자), 이창성(중앙일보 기자)의 사진은 말 그대로 하나의 기록물이므로 기존의 전시 방식과 다르게 접근한다. 당시 촬영한 필름 전체를 한 장의 인화지 위에 보여주는 대형 밀착은 필름이 기억하고 있는 사건의 전말을 내러티브 형식으로 들려줌과 동시에, 이제는 보기 드문 아날로그 필름과 프린트의 물성 자체를 고스란히 드러낸다. 특히 광주 지역 사진기자로서 5.18 이전부터의 상황의 변화를 가장 꼼꼼하게 기록한 나경택의 필름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는 점에서도 각별한 의미가 있다.

 

 

ⓒ김은주_오월 어머니 - 금남로 박순금_Archival Pigment Print_2011

 

 

그리고 5.18 당시 진압군으로 참여한 것이 계기가 되어 사진가의 길을 걷게 된 이상일의 20여 년에 걸친 ‘망월동’작업과, 기억의 매체인 사진을 통해 역사적 망각의 문제를 다루고 있는 노순택의 ‘망각기계’, 희생자의 어머니들과 사건 현장을 직접 찾아가 그 장소에서 그들의 초상사진을 찍으면서 기억과 인물, 장소성에 대해 질문을 던지는 김은주의 ‘오월 어머니’, 상무대가 이전되고 아파트가 들어서는 풍경을 통해 5. 18을 기념하는 방식에 대해 묻고 있는 김혜선의 작업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다큐멘터리 작업들은 사진으로 창조된 기억의 반복을 통해 역사 속에서 감춰진 아이러니를 발견하고 드러낸다. 뿐만 아니라 이미지를 통해 과거와 현재를 관통하는 지속과 변화의 가능성에 대한 믿음을 준다.

또한 광주 시민들에게서 수집한 5.18 당시의 결혼사진 등의 기념사진들은 당시의 작전명이었던 "화려한 휴가"가 어떻게 그들의 화려한 봄날을 일그러뜨렸는지를 통해 그 누구도 당시의 따뜻한 일상으로 돌아갈 수 없게 된 트라우마를 역설적으로 드러낸다.

 

 

ⓒ김은주_오월 어머니 - 망월동 묘역 1-1 임근단_Archival Pigment Print_2011

 

 

제2 전시장인 고은 컨템포러리 사진미술관에서는 5.18을 작가적 시선으로 재해석한 작품들이 선보인다. 오형근의 ‘오월 이야기’는 영화 <꽃잎>의 촬영 현장에서 포착된 진짜와 가짜에 관해서 말한다. 영화 배우와 엑스트라를 자청한 단역 시민, 그리고 구경꾼인 진짜 시민들이 사진 한 장 속에 중첩되어 미묘한 시선의 차이를 드러내거나 혹은 그 어떤 차이도 담아내지 못한 채 진실과 허구의 경계를 묻는다. 강홍구는 다른 작가의 사진이나 이미 찍혀진 사진 위에 또 다른 이미지를 덧입혀 새로운 시각적 층위를 만들어낸다. 이를테면 오형근의 작업이나 김녕만의 보도 사진에 절규하는 자신의 모습이나 연꽃 등을 합성하여 1차 사진에서 본인이 느낀 감정을 드러내는 식으로 말이다. 그 밖에 금남로, 기무사 등 광주의 역사적 장소에서 터무니 없는 상황을 연출하고 대형 카메라로 촬영하여 기억의 무기력에 대해 묻고 있는 권순관, 학이라는 작가의 분신을 통해 마치 마당극처럼 역사적 사건을 신랄하게 풍자하고 조롱하는 조습, 기억의 틀로서 사진에 자신만의 내러티브를 부여하는 오석근의 작업이 같이 소개된다. 이들의 작업은 사진이 어디까지를 재현할 수 있는지를 질문하면서 역사적 사건을 낯선 풍경을 통해 비틀고 있다.

 

 

ⓒ노순택_망각기계 series - 류영선 1953.5.9 - 1980.5.23_Archival Pigment Print_2006_2011

 

 

최근 기억의 문제는 역사학부터 정신분석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학제적 논의를 이끌어내고 있는 중요한 화두이다. 특히 역사적 사건과 그에 대한 트라우마가 우리 사회를 어떻게 변화시켰으며, 그 속에서 개인의 삶은 어떤 변화를 겪어왔는지를 추적하는 것은 5.18이 여전히 현재진행형임을 증명하는 방식이다. 이 취지에 공감해 사학자 전진성은 트라우마와 문화적 기억의 문제를, 국문학자이자 문화비평가인 천정환은 5.18이 1980년 이후 우리 삶에 개입해온 방식을, 사진평론가 이영준은 등사기의 ‘찌라시’에서부터 화이트큐브의 작품이 되기까지 5.18에 관련한 사진적 태도의 변화를 추적하는 필진으로 참여한다. 전시는 <삶을 기억하라>, <실락원>, <마리오 쟈코멜리>전 등을 기획했던 송수정이 맡았다.

 

 

 

ⓒ노순택_망각기계 series - Forgetting Machines # II-01_65x90cm_Archival Pigment Print_2009

 

 

ⓒ오형근_광주이야기 series - Plate. 43 가짜 탱크 위에 고등학생 자원 연기자,

1995년 9월 28일_Archival Pigment Print_1995

 

 

ⓒ오형근_광주이야기 series - Plate. 48 시위대의 주역을 연기 할

고등학생 자원 연기자들, 1995년 9월 28일_Archival Pigment Print_1995

 

 

ⓒ이상일_망월동 seires, 광주 망월동_Gelatin Silver Print_1990

 

 

ⓒ이상일_망월동 seires, 광주 망월동_Gelatin Silver Print_1991

 

 

 
 

 

 
 

vol.20130518-광주민주항쟁 33주년 기념 고은사진미술관 기획 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