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LLERY POS The 1st Exhibition

 

- 求道, 그 純粹의 時間

 

김태호 | 문봉선 | 왕열 | 이석주 | 이종구 | 정일 | 함명수

 

 

 

갤러리 포스

GALLERY POS

 

2013. 2. 15(금) ▶ 2013. 3. 27(수)

Opening : 2013. 2. 15(금) PM 4:00

서울시 강남구 청담동 80-3 4F | T. 02-543-1118

 

 

난초그리기 20년의 세월, 제대로 그린 적이 한번도 없었네. 우연히 그렸는데, 오랫동안 생각 했던 그런 그림이 되었네. 어쩐 일인가? 문을 닫고 가만히 관찰해보니, 이것이 바로 유마(維摩)가 주장한 무심의 경지가 아닌가? (不作蘭畵二十年, 偶然寫出性中天, 閉門覓覓尋處 此是維摩不二禪) 秋史 김정희의 불이선란(不二禪蘭)의 내용이다. 꺾어지고 쳐진 날카로운 쇳기를 머금은 김정희의 난초 그림에 가득히 실린 詩는 과거와 현재와 미래를 잊고 온전히 몰입한 무심의 경지에 관하여 말하고 있다.

갤러리 포스는 청담동에 새로 개관하는 전시공간이다. 그 개관전으로 추사가 말한 무심의 경지에로의 회화세계를 구축한 중견작가의 전시를 준비하였다. 求道 그 純粹의 時間은 김태호 문봉선 왕열 이석주 이종구 정일 함명수 7인의 작가는 마치 구도자의 모습과도 같이 독창적이고 아름다운, 자신의 순수하고 정제된 작품세계를 보여주고 있다.

들뢰즈(Gilles Deleuze)는 물질적이고 절대적인 시간, 직선의 시간을 이탈한 시간을 순수 시간이라 말하고 있다. 이 순수한 시간은 불교에서 말하는 깊은 선정(禪定)에서의 시간과 동일한 의미이다. 求道 그 純粹의 時間 展에서 만나는 작품들에게서 오랜 시간 동안 하나의 삶을 위하여 매진해 온 여정으로서의 풍경들을 발견하게 된다. 이들은 시간의 깊이를 보여주는 추상과 극사실주의, 동양화의 필의 운용과 정신의 세계를 펼쳐내 보이고 있다. 이들이 보여주는, 현실을 근거로 다시 그 현실을 이탈한 밀도 높은 순수 시간의 향연을 감상하길 바란다.  그리고 갤러리 포스의 활동에 깊은 관심과 애정을 부탁한다.

■ GALLERY POS 박옥생

 

김태호作_Internal Rhythm_acrylic on canvas_163×131cm_2012

 

김태호는 한국의 대표적인 단색조(모노크롬) 작가이다. 작가는 서로 다른 색을 층층이 쌓아올림으로써 단색조의 화면을 만들어내고 있다. 층위에서 펼쳐지는 색의 향연은 가려지고 드러남으로써 숙성된 시간의 궤적들을 보여준다. 평면은 부조가 되고 조각이 되고 그리고 다시 저 깊은 심연의 내면으로 향한다. 그래서 그의 표면에는 정제된 정신이 산란하고 그 춤추는 정신의 흔적들이 머문 시선에는 검고 깊은 求道의 세계가 펼쳐진다.  

■ 박옥생

 

문봉선作_소나무_한지에수묵_70×95cm_2011

 

문봉선 [작가노트 中 발췌]

나는 1990년부터 산과 땅, 자연을 모티브로 한 작업을 시작하여 지금까지 고집스레 이어 오고 있다. 그 첫 번째 시도로 북한산, 설악산, 섬진강, 한강 등을 소재로 작품을 발표했었고, 그 중간 중간에 동양 회화의 오랜 소재인 매화, 난초, 대나무 등을 현대적으로 해석하는 작업도 병행했다. 이번 소나무도 이러한 맥락에서 준비한 작품들이다. 나는 지금도 자연에 대한 사랑과 법고창신(法古創新)의 통찰력이 내 그림을 조금씩 성장시키는 발전의 동인임을 확신하고 있다. 이러한 생각의 일환으로 일찍이 임모(臨模)에 눈을 떴고 지금껏 고금 명가의 많은 작품들을 두루 분석했다.

 

 

이석주作_사유적 공간_oil on canvas_112x162cm_2012

 

이석주 [작가노트 中 발췌]

최근의 ‘책’을 소재로 한 작업에서는 대상과보는 자의 관계를 객관적으로 유지하고 대상의 실체가 캔버스에 존재하도록 하였으며 이를 표현하기위해서 사물을 극대화하여 그 단순성과 개별성을 강조하였는데, 시각적으로 확대되고 극사실로 표현된 사물은 그 자체의 존재성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나에게 있어 책이라는 소재는 대상을 통한 자기인식의 극명한 존재감을 상징하며 사실을 보고 사실을 표현하려는 대상에 대한 접근 방법이다.

 

 

이종구作_농부_한지에 아크릴릭_162×112cm_2008

 

이종구는 한국의 대표적인 리얼리즘 작가이다. 작가의 작품에는 고향의 정서가 깊숙이 녹아 있다. 그리고 높고 깊은 우리 땅의 진한 향수와 그 땅을 일구고 살아 온 우리 부모님의 아름다운 모습들이 담겨 있다. 작가는 이미지의 왜곡을 경계하는 듯 시선에 닿은, 그리고 기억의 층위 속에 온전히 존재하는 유년기 고향의 풍경들을 흩트리지 않고 가시화하고 있는 듯하다. 그 고향의 향기는 너무도 강력하고 진하다. 그래서 한국현대의 본격적 태동을 알리는 특정시기의 이미지를 넘어서, 돌처럼 단단하고 울림이 있는 고대에서 현대로 흘러오는 한반도의 유장한 역사가 펼쳐지는 듯하다.

■ 박옥생

 

 

왕열作_신무릉도원(동행), 천에먹 아크릴_140×140cm_2011

 

왕열 [작가노트 中 발췌]

<신-무릉도원에 놀다 >전시의 소재들은 풍경과 같은 부류로 이해하기 쉽지만 그것은 외연적인 것이고, 내면에는 새와 자연을 통하여 도시 생활 속에서 살아가는 인간들의 고독과 동행 그리고 행복 등 다양한 희,노,애,락의 삶의 은유적 표현인 것이다. 여기서 ‘새’는 사람을 상징화시켜 의인화한 것이며, 그 배경의 자연들은 도시풍경인 것이다. 새는 외롭게 혼자 있기도 하고, 여러 마리가 나타나기도 하는데 인간의 다양한 삶의 모습이 함축되어 있는 것이다. 새와 말 그리고 파초는 자신을 포함한 모든 인간의 실존적인 모습이자, 자유로운 여행과 조용한 침묵속의 휴식을 즐기며 이상세계로 나아가고자 하는 의지의 반영이다.

 

 

정일作_romantic garden_oil on canvas_92×72.7cm_2013

 

정일 [미술평론가 유근오의 평론 中 발췌]

화면을 장식하는 천진난만한 도상들. ‘정일 표 우화’는 그래서 독특한 미학을 가진 회화로 남으면서 감상자의 시선을 유도한다. 이 시선을 통하여 그림은 감상자를 먼 추억의 시간으로 데려가기도 하고, 그림과 감상자가 은밀히 공유하는 꿈을 이야기하기도 하고, 이국적 축제에 초대하기도 하는 것이다. 하지만 혼자서는 참을 가질 수 없다. 다시 말해 우리는 그의 이야기에 몰입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공모해야 하는 것이다.

 

 

함명수作_City Scape_oil on canvas_130.3×89.4cm_2010

 

함명수 [미술평론가 박영택의 평론 中 발췌]

함명수는 “회화의 문지방이라고 할 수 있는 표면에서 역설적으로 외부와 내면의 세계를 성찰한다”고 적고 있다. 회화의 문지방이란 표현이 재미있다. 그는 그 문지방에서 안과 밖을 동시에 끌어안으려 한다. 표면은 내부이자 외부이다. 내·외부가 한 몸으로 또아리를 틀고 있다. 그림은 죽어도 안으로 들어갈 수 없고 밖으로 나갈 수 도 없다. 그러나 표면은 그 모든 효과를 동시에 자아낸다. 결국 모든 그림은 주어진 표면에서 이루어지는데 그 표면을 어떻게 보여주느냐 하는 문제, 그러니까 자기만의 표면에 대한 감각과 처리를 보여주는 일이 회화이기도 하다. 그래서인지 함명수의 그림은 우선 그 표면에 여러 변이를 일으킨다. 다소의 기괴함, 유머 혹은 낯설음 내지는 기이한 변태가 두드러기처럼 일어난다.

 

 

 

 
 

■ 김태호

1972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졸업 | 1977~2008 개인전 23회 (서울, 일본, 미국, 독일) | 1990 '90 현대미술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 1993 한국현대미술12인 (미야자키현미술관, 일본) | 1999 아세아 국제 미술전람회 (후쿠오카 아세아미술관, 일본) | 2000 "정신"으로서의 평면성전 (부산시립미술관, 부산) | 광주비엔날레 특별전-한․일 현대미술의 단면 (광주시립미술관, 광주) | 2001 아시아 국제미술전람회 (광동현대미술관, 중국) | 2002 추상화의 이해 (성곡미술관, 서울) | 2003 서울미술대전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 2004 중국 국제화랑박람회 (중국국제과기회전 중심, 북경) | 한국 국제아트페어2004 (COEX, 서울) | 2005 시카고 아트페어 (시카고, 미국) | 2006 노화랑 개인전 (서울 ,인사동) | 2007 성곡미술관 초대 개인전 (서울)    

수상 | 1973, 1978 |  國展 22回, 27回, 文化公報部長官賞 受賞(文化公報部 主催, 서울) | 1976 韓國美術大賞展 特別賞 受賞(韓國日報社 主催, 國立現代美術館, 서울) | 1980 第7回 韓國美術大賞展 最優秀프론티어賞 受賞 | (韓國日報社 主催, 國立現代美術館, 서울) | 1986 東亞國際版畵BIENNALE展 大賞 受賞(東亞日報社 主催, 서울) | 2003 釜日美術大賞 受賞(釜山日報社 主催, 부산)

현재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교수

 

■ 문봉선

1984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과 졸업 | 1986 홍익대학교 대학원 졸업 | 2004 중국남경예술학원南京藝術學院 박사졸업

개인전 | 2012 제19회 개인전‘독야청청(獨也靑靑)-천세(千歲)를 보다’(서울미술관) | 제18회 개인전‘서귀포 칠십리’(서귀포 소암 기념관) | 제17회 개인전‘청향자원(淸香自遠)’(공아트스페이스) | 2011 제16회 개인전 ‘문매소식(問梅消息)’(공아트스페이스) | 2010 제15회 개인전‘청산유수(靑山流水)’(금호미술관) | 2009 제14회 개인전‘비어있는 풍경’(선화랑) | 2007 제13회 개인전‘매난국죽(梅蘭菊竹)’(학고재화랑) | 2006 제12회 개인전‘동정지간(動靜之間)’(희지당화랑羲之堂畵廊, 타이베이) | 2005 제11회 개인전 ‘사이 間‘(아트포럼뉴게이트) | 2003 제10회 개인전‘정중동(靜中動)’(포스코미술관) | 9회 개인전 ‘일정월화(日精月華)’(소카 컨템퍼러리 아트센터, 북경) | 2002 제 8회 개인전 (선화랑) | 1999 제 7회 개인전‘섬진강-붓길따라 오백리’(학고재 / 아트스페이스 서울) | 1997 제 6회 개인전‘풍경(風景)’(진화랑, 부산) | 1996 제 5회 개인전‘설악산(雪嶽山)’(학고재화랑) | 1994 제 4회 개인전‘북한산(北漢山)’(학고재화랑) | 1991 제 3회 개인전 (금호미술관) | 1989 제 2회 개인전 (문예진흥원미술회관) | 1985 제 1회 개인전 (관훈미술관)

단체전 | 2012 달 심중월心中月 (슈페리어갤러리) | 매화꽃이 있는 정원 (환기미술관) | 한라산과 일출봉 (제주도립미술관) | 2011 삶과 풍토 (대구미술관) | 금강미술대전초대작가전 (대전 MBC) | 설중지몽雪中之夢 (갤러리잔다리) | 벗이 있어 즐겁지 아니한가 (포스코미술관) | 2010 아르코 아트페어 (마드리드) | 수묵에 길을 묻다 (전주한국소리문화의전당) | 물보다 깊은 물 (인터알리아갤러리) | 화산섬 제주의 삶, 풍경 (제주도문예회관) | ART 싱가포르 아트페어 (Suntec 싱가포르, 싱가포르) | 풍경의 재구성 (제주도립미술관) | 정신으로서의 선 - 그 힘 (이응노미술관) | 21 and Their Times (금호미술관) | 2009 신新 오감도五感圖 (서울시립미술관)  | 제주도립미술관개관전제주미술의어제와오늘 (제주도립미술관) | KIAF 2009 (코엑스) | ART 싱가포르 아트페어 (Suntec 싱가포르, 싱가포르) | 안진경 탄신 1300주년기념 명가서화전 (강소성미술관江蘇省美術館, 남경) | 2008 인생유형시 (포스코미술관) | 형질의운形質意韻 한․중 수묵화전 (타이베이시립미술관, 타이베이) | 탐매探梅 (광주국립박물관) | 2007 IT TAKES TWO TO TANGO(금호미술관) | 1953-2007 한국화전 (서울시립미술관) | 남해안비경 (경남도립미술관) | 평론가선정현대작가 55인전 (예술의전당한가람미술관) | 2006 북경 아트페어 (북경국제무역센터, 북경) | 천년의 도시 경주 (경주박물관) | 2005 서울미술대전 (서울시립미술관) | 타이베이국제예술박람회 (타이베이국제무역회관, 타이베이) | 북경 국제 아트페어 (북경국제무역센터, 북경) | 한, 중현대수묵전 (서울시립미술관) | 산수-심미적 이상과 현실 (윈체스터대학갤러리, 윈체스터) | 소나무 (목인화랑) | 2004 | 아시아신의미술교류전 (타이난문화예술회관, 대만) | 사유와 생성전 - 산수 풍경전 (월전미술관) | 제4회 심천 국제 수묵 비앤날레 (심천 관산월 미술관, 심천) | 금호미술관 15주년 기념전 (금호미술관) | 한국풍경 - 한국 현대 회화전 (노빅마네쥬미술관, 모스크바) | 2003 진경眞景 -그 새로운 제안전 (국립현대미술관) | 2002 한국의 빛과 색전 (서울시립미술관) | 산수풍경 (포스코미술관) | 2001 수묵의 향기, 수묵의조형전 (국립현대미술관) | 한국현대미술전 (하노이현대미술관, 하노이) | 1999 금강산 (일민미술관) | 1998 현대 수묵화 위상전 (한원갤러리) | 1997 현대 수묵화 전(플러스갤러리) | 1996 서울미술대전 (서울시립미술관) | 대한민국 미술대전 대상 수상 작가전 (국립현대미술관) | 1995 제1회 한국일보청년작가초대전 (백상기념관) | 1993 동아갤러리 개관전 (동아갤러리) | 1992 선묘와 표현 - 현대 한국회화전 (호암갤러리) | 1990 현대미술전 (호암갤러리)

수상 | 2002 제16회 선 미술상 수상 (선화랑) | 1987 중앙미술대전 대상 수상 (호암갤러리) | 대한민국 미술대전 대상 수상 (국립현대미술관) | 동아미술제 동아미술상 문인화 부문수상 (국립현대미술관) | 1986 동아미술제동아미술상회화 부문수상 (국립현대미술관)

저서 | 2010 『문봉선』(열화당) | 2006 『새로그린 매, 난, 국, 죽』 (전2권, 학고재) | 1996 『설악산』(학고재) | 1994 『북한산』(학고재) |『Moon Bong Sun』(Art Vivant, 시공사)

현재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교수

 

■ 이석주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및 동 대학원 서양화과 졸업

개인전 | 1981-2012 개인전 14회

주요 단체전 | 한국 현대 회화 (대만국립미술관) | 아트페어 바젤 (바젤, 스위스) | 아시아 국제 미술전시회 (아시아 각국) | 극사실회화-눈을 속이다 (서울시립미술관) | 젊은 모색 30 (국립현대미술관) | 한국 현대미술 유럽순회전 (유럽각국) | KIAF (COEX) | 상하이 국제미술전 (상해,중국) | 극사실회화의 어제와 오늘 (성남아트센터) | 서울 미술대전-한국 현대 구상회화의 흐름 (서울시립미술관) | ART EXPO NEW YORK (뉴욕,미국)

현재 | 숙명여자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교수

 

■ 이종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회화과 졸업

2005 개인전- 올해의 작가(국립현대미술관)외 20여회 | 2012 한국현대미술-거대서사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 여기 사람이 있다 (대전시립미술관, 대전) | 채용신과 한국의 초상미술 (전북도립미술관, 전북) | 상차림의 미학 (이화여대 박물관, 서울) | 2011 올해의 작가 1995-2010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 코리안 랩소디 (삼성미술관리움, 서울) | 삶과 풍토 (대구미술관, 대구) | 상생과 공존 (제주도립미술관) | 2010 아시아 리얼리즘 (싱가포르국립미술관-국립현대미술관, 서울) | 현대미술로 해석된 리얼리즘 (경남도립미술관, 마산) | 2009 아트인 슈퍼스타 (예술의 전당, 서울) | 2008 백두대간 대미―지리산 (전북도립미술관, 전북) | 2007 경기, 1번국도 (경기도미술관, 안산) | 신체에 관한 사유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 민중의 고동-한국미술의 리얼리즘 (후쿠오카아시아미술관, 일본) | 2006 한국미술 100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 2004 바그다드 550km - 이라크 기행전 (제비울미술관, 과천) | 평화선언 2004-세계미술가 100인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 2003 쌀―아시아의 정신 아시아의 주식 (UCLA인류사박물관 외  미국순회) | 2002 또 다른 미술사―여성성의 재현 (이화여대 박물관, 서울) | 2001 80년대 리얼리즘과 그 시대 (가나아트센터, 서울)

현재 | 중앙대학교 미술학부 교수

 

■ 왕 열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과 졸업 | 홍익대학교 대학원 동양화과 졸업 |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학 박사 | 개인전 47회 (중국,일본,독일,스위스,미국,프랑스 등) | 동아미술제 동아미술상 수상(동아일보사) | 대한민국미술대전 특선 3회(국립현대미술관) | 대한민국미술대전 심사위원 역임 | 한국미술작가대상 (한국미술작가대상 운영위원회) | 단체전 420여회

작품소장 | 국립현대미술관 | 경기도미술관 | 대전시립미술관 | 미술은행 | 성남아트센터 | 성곡미술관 | 홍익대학교 현대미술관 | 고려대학교 박물관 | 워커힐 미술관 | 갤러리 상 | 한국해외홍보처 | 한국은행 | 동양그룹 | 경기도 박물관 |  한국종합예술학교 | 단국대학교 | 카톨릭대학교 | 채석강 유스호스텔 | 호텔프리마 | 한남더힐 커뮤니센터

현재 | 단국대학교 예술대학 동양화과 교수

 

■ 정일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및 동대학원 졸업 | 독일,파리에서 작품활동(‘91-’97)

개인전 | 30여회 (서울, 독일, 파리, 스톡홀름 등)

단체전 및 초대전 | 산토리니를추억하다(산토리니서울,) | 한불스타작가전 (한경겔러리개관전, 서울) | 화가와 의지전(인사아트센터.서울) | KIAF (코엑스.서울) | 한국 미술 50인 유네스코 초대전 (UNESCO, 서울) | FIAC (포트베르사이유, 파리) | 도쿄 아트 엑스포 (도쿄, 일본) | 한국 현대 미술전 (국립현대 미술관, 서울) | 한국 현대 미술전 (벨기에)

현재 | 경인교육대학교 미술교육과 교수

 

■ 함명수

1992  목원대학교 회화과 (서양화 전공) 졸업 | 1999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교육 전공) 졸업

개인전 | 2010 함명수 개인전, 이화익갤러리, 서울 | 2008 함명수전, 스페이스 향리, 서울 | 함명수전, skape 갤러리, 서울 | 2004 Scape Series - 정물, 상 갤러리, 서울 | 2001 면발 풍경, 금산 갤러리, 서울 | 1998 사유도 (思惟圖), 이콘 갤러리, 서울 | 사유도 (思惟圖), 인데코 갤러리, 서울 | 1997 사유지형도 (思惟地形圖), 이콘 갤러리, 서울 | 1996 사유공간 (思惟空間), 관훈 갤러리, 서울 | 1993 함명수전, 청남 아트 갤러리, 서울

단체전 | 2010 책을 그리는 작가, 홍성찬 갤러리, 서울 | KIAF 한국국제아트페어, 코엑스, 서울 | 회화의 발언, 동덕아트갤러리, 서울 / 우연갤러리, 대전 | 투영 - 존재의 유희, 한원미술관, 서울 | Beyond the Labor, 아트포럼 뉴게이트, 서울 | 아시아 탑 갤러리 호텔 아트페어, 홍콩 | 2009 ASIAN CONTEMPORARY ART, CHRISTIE’S, 홍콩 | 책을 그리는 작가들, 갤러리 진선, 서울 | 모색의 방향성, 전북 도립미술관, 전주 | 사자화담, UNC갤러리, 서울 | 아시아 탑 갤러리 호텔 아트페어, 하얏트호텔, 서울 | 10인 10색 10각, 이공갤러리, 대전 | Beyond The Line개관 기념전, UNC갤러리, 서울 | A Suspended Stillness, Andrewshire Gallery, 싱가포르 | 2008 KIAF 한국국제아트페어, 코엑스, 서울 | 대전 미술 - 하나, 그림으로 말하다, 대전 시립미술관, 대전 | 파편의 선택, K- art space, 서울 | 색깔있는 책 풍경, 갤러리 진선, 서울 | 싱가포르 아트페어, 싱가포르 Suntec, 싱가포르 | Korea Now, Sotheby’s Israel, 이스라엘 | BIAF 부산국제아트페어, 부산문화회관, 부산 | The Professor Work, 성갤러리, 대전 | 시장 미술제, 중앙시장, 대전 | 화랑미술제, Bexco, 부산 | 회화의 발언, 우연갤러리, 대전 | SOAF 서울오픈아트페어, 코엑스, 서울 | 대구아트페어, 엑스코, 대구 | 2007 KIAF 한국국제아트페어, 코엑스, 서울 | 대구아트페어, 컨벤션 센터, 대구 | SOAF 서울 오픈아트페어, 코엑스, 서울 | 퀠른 아트페어, 퀠른, 독일 | From C to Pop, 소헌 컨템포러리, 대구 | 회화의 발언, 우연갤러리, 대전 | CIGE, 중국국제화랑예술제, 베이징, 중국 | REAL IMAGE, 인사아트센터, 서울 | 신소장품전, 대전시립미술관, 대전 | The Professor Work, 대덕문화센터, 대전 | The Open Door, 갤러리 고도, 서울 | 2006 성탄과 송구영신전, 갤러리 고도, 서울 | “표류기” 동덕여대 큐레이터과 기획전, 동덕아트 갤러리, 서울 | 사람이 크는 미술마을, 동덕아트 갤러리, 서울 | 바람 - channel 5전, 대전 시립미술관, 대전 | 2003 맛있는 미술관, 인사 아트 갤러리, 서울 | 서울, 파리 작가 교류전, ARTITUDE 갤러리, 파리 | 포토 폴리오전, 고도 갤러리, 서울 | Painter, Paint, Painting 전, 상 갤러리, 서울 | 보물 찾기전, 롯데 갤러리, 대전 | 2002 미스터리전, 사비나 갤러리, 서울 | 여섯개의 전시, 이공 갤러리, 대전 | 대한민국 청년 비엔날레, 문화 예술회관, 대구 | 전환의 봄, 시립 미술관, 대전 | 2001  Re-Landscape전, 롯데 갤러리, 대전 | 1999  진화랑 개관 기념전, 진 화랑, 인천 | 국도 - 44전, 문화 예술 회관, 홍천 | 1997  자화상전, 현대 화랑, 대전 | 反 - 풍경전, 동아 갤러리, 서울 | 작업실의 작가들, 문예진흥원 미술회관, 서울 | 삼백 개의 공간전, 서남 미술관, 담 갤러리, 서울 | 1996  New Landscape전, 인데코 화랑, 서울 | 1995  Time전, 삼정 미술관, 서울 | 1994  공산 미술제, 동아 갤러리, 서울 | 국제화의 대응과 방향성전, 도올 갤러리, 서울 | 1993  나무 아카데미전, 나무 화랑, 서울 | 1992  New Form전, 윤 갤러리, 서울 | 현대 미술교류회전, 문화예술회관, 대구 | 1991  Untitled전, 삼덕 갤러리, 대구 | 형상, 정신전, 문화원, 대전 | 1990-92  청년 미술작가전 | 1986-92 파로전  | 1986-96  홍천 미술전

주요작품소장 |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 서울시립미술관 | 대전시립미술관 | 홍천문화예술관 | 하나은행

 

 

 

vol.20130215-GALLERY POS The 1st Exhib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