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준성 展

 

 

Diver of Lovre museum 루브르 조각 소녀_나무_다이빙, 참새_

259.1x193.9cm_led pannel and oil on canvas_2012

 

 

갤러리 인

 

2012. 10. 17(수) ▶ 2012. 11. 7(수)

서울 종로구 팔판동 141번지 | 02-732-4677

 

www.galleryihn.com

 

 

Museum in the mountain 밤_산 속_미술관_

181.8x259.1cm_led pannel and oil on canvas_2012

 

 

갤러리 인은 오는 10월 17일부터 11월 7일까지 배준성 작가의 개인전을 개최합니다.

어느덧 중견작가의 반열에 올라선 배준성 작가의 개인전이 갤러리 인에서 개최됩니다. 이번 전시는 2000년 “Naming”展 이후 갤러리 인과 함께하는 두 번째 개인전입니다. 화가의 옷 시리즈로 이름을 널리 알린 작가는 최근 “한국 스탠다드 차타드 금융지주”의 후원과 “사치갤러리 큐레이팅팀”의 심사로 개최되는 '코리안 아이(Korean Eye)'에 국내외에서 활발히 활동중인 2,000명의 작가 중 대표 34인으로 매번 선정되며 명실공히 한국을 대표하는 작가로 자리잡았습니다. 이는 런던 올림픽이 개최되는 기간에 맞추어 7월 25일부터 9월 23일까지 런던 사치갤러리에서 열렸습니다. 또한 국내-외의 유수 갤러리와 미술관에서도 초대전시를 이어나가고 있으며 이전에 보여준 비닐, 렌티큘러 이외에도 영상 등의 새로운 매체를 작품에 도입하여 새로운 표현방식에 대해 고민하고 고민의 영역을 확장시켜 나가고 있습니다.

 

갤러리인 개인전 “Moving Still Life”

배준성의 작업은 회화의 고정된 관점에서 탈피하려고 애쓴 작가의 흔적이 고스란히 드러난다. 초기의 비닐 레이어를 들춰내어 서양의 복식아래 가려진 동양인의 나체를 들여다 볼 수 있게 만든 작업부터 관람자의 움직임에 따라 회화의 내용도 따라 변화되는 렌티큘러 작업까지 배준성 작가는 관람객이 점잖게 그림을 뚫어져라 응시하며 고민할 틈을 주지 않는다. 부산히 그림을 들춰보고 고개를 갸우뚱 거리는 관객의 모습은 마치 그의 호기심 많은 성격과도 흡사하다.

 

“나는 특정 대상의 이미지를 나의 취향에 따라 왜곡.굴절시키고 다시 재조합 한다. 나는 어떤 대상이건 의심하며 비켜보고 흔들어보는 것이 체질화되어 있다. 때문에 대상에 대한 통상적 관념에서 이탈함으로써 그 대상에 대한 고정된 이해나 집착으로부터 자연스러워질 수 있다. 그것은 대상에 대한 집중이자 동시에 산만함을 통해서 가능하다.”

 

세계 유수의 미술관 곳곳에 자신의 작품을 집어넣고 그로 인해 발생하는 변화, 관객이 느끼게 될 생경함을 상상해보며 작가는 흡족해 한다. 때로는 욕실 거울에 서린 김을 지워내고 그 속에서 자신의 얼굴이 아닌 그리스 유적이나 숲 속의 여인들을 발견하기도 하며 책장 속에 쌓인 책들 사이로 북유럽 정물화에서나 등장할 법한 화병과 각종 정물들이 튀어나오기도 한다.

 

기존의 회화적 문법을 통해 이를 바라본다면 이 광경은 해석의 난해함으로 인하여 관람자에게 당혹감으로 다가 올 수도 있다. 하지만 그런 고민에 빠지기도 전에 관객들은 작품의 변화를 주시하고 몰입하게 된다는 점이 배준성 작품의 특징이다.

 

배준성은 자신의 회화가 탄생하고 보여지게 되는 여정을 통해 생성되는 수많은 오해와 의미의 변화를 온전히 전하고 설득하고자 하지 않는다. 그의 표현이 가지는 의의가 있다면 이미지의 역사가 수행해왔던 의미 ‘명명하기’ 또는 ‘해체하기’를 통한 숨겨진 진리 드러내기에 그치지 않고 창작자와 관객 모두에게 발생 할 법한 행위 자체에 그 뜻을 둔다는 것에 있을 것이다.

 

 

Tazan of Balzac Museum 발자크 미술관_여경_

193.9x259.1cm_led pannel and oil on canvas_2012

 

 

산책자 배준성. 그림 속을 거닐다.

방윤호, 갤러리인 큐레이터

 

배준성은 비닐 레이어 작업과 관람자의 움직임에 따라 변화되는 이미지를 보여주는 렌티큘러 작업 그리고 최근에 선보인 에니메이션 영상작업까지 표현의 가능성을 확장시키려는 시도를 끊임없이 전개해왔다. 관람자들로 하여금 작품을 수없이 들춰보고 움직이며 상상, 변형할 수 있는 여지를 작품에 두어왔고 이는 늘 재미있는 호응을 불러 일으켰다. 현 시점에서 그가 사용하는 매체의 표현 방식이 새롭고 독특한 무엇이 되지 못할지라도 배준성의 작업들은 작품에 드러나는 도발적 이미지와의 상승효과로 여전히 많은 사람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우리는 늘 본다는 행위를 통해 보여지는 것들의 진의를 파악하려고 무던히 애쓴다. 대화 중에 곁들여지는 손놀림과 표정, 초상화에 그려진 의복 혹은 포즈로 인하여 드러나는 어떤 인물의 권위와 사회적 위치, 정황 묘사를 통한 시간적 복선, “무엇은 무엇이 아니다” 라고 선언하는 어떤 전복적 사고까지, 이렇게 무수히 많은 이미지들은 주장하고 함축하고 예언한다. 이어 감탄을 불러일으키고 경청하게 하며 이미지의 정의는 일원화되고 고정되어 불변한다. 이처럼 이미지의 역사는 의미하기와 의미 강요하기의 역사라 생각해 볼 수 있다.

 

현대의 이미지는 조금 더 진지하고 집요한 이해를 요구하며 중첩된 베일 속에 그 실체를 미루어둔다. 진의(라고 추정하는)가 드러나는 순간의 지적 쾌감은 증폭하였고 이런 성취감을 이미지가 가져야 할 덕목으로 상정하며 점점 더 치밀한 개념과 암시를 설계한다. 배준성의 이미지 또한 언뜻 보기에 일련의 탈 맥락적 구성 때문에 그 역시 어떤 개념의 코드를 가지고 있지 않은가 하는 물음을 가지게 된다. 물론 그의 작품들은 그 동안 보여준 다양한 표현형식의 변화를 관통하는 하나의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원작과 재해석하는 작가 그리고 이를 관람하는 관람자의 ‘상호성’을 염두에 둔다는 점이다. 하지만 그가 제시하는 상호성은 예측 가능한 어떤 인과적 결과를 제시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늘 우발적이다. 이러한 공통분모 속에서 우리는 그가 제시하는 거창한 시대정신이나 이데올로기적 코드를 발견할 수 있을까?

 

작가가 모종의 기획을 가지고 있다손 치더라도 그 기획의 본래 의도는 오해 받고 변질되기 십상일 것이다. 자크 라캉 (Jacques Lacan)의 저서 『에크리』 (ecrit-글모음집)는 저술 과정에서부터 특이한 목적으로 기획되었다. 『에크리』는 읽히지 않기 위해서 쓰였다고 라캉 스스로도 고백하였고 실제로 쉽사리 읽혀지지 않는다. 심지어 독해의 난해함은 차치하고라도 그저 읽어 내려가기 조차 힘들다. 왜냐하면 라캉은 글 또는 언어라는 상징(the Symbolic)을 통해서는 상상(the Imaginary)과 실재(the Real)에 도달할 수 없다고 여겨 글쓰기 자체를 보편적으로 통용되는 언어로 치환하지 않고 자신이 인식하기 좋은 형태로 비틀어 표현했기 때문이다. 다만 이러한 방식을 통해 견고한 의미로 가득한 세상의 차이와 반복을 무수히 언급함으로써 간혹 그 견고한 틈을 비집고 실재가 모습을 드러내는 순간을 기도한다. 집중해서 탐독 할수록 진의를 파악하기 힘든 『에크리』처럼 배준성의 현재 작업도 초기의 화가의 옷(The costume of Painters) 시리즈의 우발적 재배치를 통하여 해석 불가능한 어떤 지점으로 관찰자를 인도한다.

 

 

The Costume of Painter - Doodling on the wall S_

80x80cm_little girl, a square, lenticular_2012

 

 

“Museum” 시리즈가 이러한 시도의 초기 형태라고 가늠해 볼 수 있다. 과장된 농담을 가미하자면 이렇다. 애국주의에 경도 된 한 인물이 화가의 옷 시리즈가 자리잡은 서양의 미술관을 보고 ‘한국계 동양 미술가의 서양문화 정복’이라는 표면적 해석을 가한다면 그 해석은 우스꽝스럽게 작가의 캔버스 위를 미끄러져 내릴 것이다. 하긴 실로 어떤 종류의 해석이든 마찬가지 결과일 것이다. 한 기사에서 작가가 “Museum” 시리즈를 놓고 언급한 코멘트의 말미가 눈에 들어온다. “내 작업의 모티프는 명화다. 렌티큘러 작품이 명화가 걸린 유명미술관 벽면에 걸리고, 그것을 작품 속 관객이 보고 있고, 그 그림을 지금 한국관객이 또다시 보는 상황이 흥미롭지 않은가.” 배준성은 렌티큘러를 그곳에 위치시키는 행위와 주변의 정황적 변화를 즐기고 있다는 것을 감지 할 수 있다.

 

“Peeling Wall_Window” 시리즈에서 이런 우발적 정황이 더욱 두드러짐을 포착 할 수 있다. 김 서린 투명 유리창 너머의 장소. 그는 그리스 유적이 창 밖으로 내다 보이는 호텔에서 그 너머를 바라본 것 일까? 사실 작가는 투명 유리창이 아닌 욕실의 흐려진 거울에서 작품이 기획되었다고 말한다. 손으로 지워낸 너머에서 그는 자신의 얼굴이 아닌 어떤 예기치 못한 상황을 바라본다.

 

“Still Life” 시리즈는 표현하는 대상에게 목적 없음의 성향을 띠는 그의 이런 태도를 강하게 대변하는 작품으로 볼 수 있다. 미술사를 통해 우리는 정물화(Still Life)가 작가의 의도를 통해 당시의 시대상 혹은 생활환경, 생각을 드러내는 그림이며 박제된 순간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 샘 테일러 우드(Sam Taylor Wood)의 “Still Life”는 영상기술을 통해 기존의 정물화의 속성 중 한가지인 고정된 순간을 변화하는 현실로 확장시킨다. 부패하며 변화되는 토끼의 신체 혹은 과일 등은 북유럽 정물화에서 나타나는 바니타스(Vanitas: 세속적인 삶이 짧고 덧없다는 것을 상징하는 그림, 해골, 타 들어가는 촛불, 엎어진 접시 등의 대상이 등장)의 패러디 혹은 극적인 효과증대라고 할 수 있다. 한편 ‘고정’에서 ‘변화’를 찾는 키워드는 유사하나 배준성의 정물화면 속에서 일어나는 변화는 연관 관계의 단서를 찾기가 좀처럼 쉽지 않다는 것이 변화를 통해 일종의 메시지를 던지는 샘 테일러 우드의 정물과 다른 점이다. 꽃으로 변하는 책과 강아지로 변하는 구두에서 도대체 어떤 의미를 찾을 수 있다는 말인가?

 

이처럼 배준성은 자신의 회화가 탄생하고 보여지게 되는 여정을 통해 생성되는 수많은 오해와 의미의 변화를 온전히 전하고 설득하고자 하지 않는다.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이 종종 인용하는 산책자(Flaneur)의 시선으로 주변에 산재한 오판을 예감하고 방치함으로써 어떤 동일화 되지 않은 각성을 기도한다. 종합하자면 그의 표현이 가지는 의의는 이미지의 역사가 수행해왔던 의미 ‘명명하기’ 또는 ‘해체하기’를 통한 숨겨진 진리 드러내기에 그치지 않고 행위 자체에 그 뜻을 둔다는 것에 있다. 작가는 부지불식간에 행하여지는 수많은 행위를 통해 이미지가 암시하는 기존의 의미망에서 벗어나기를 무수히 반복한다. 뒤이어 섬광처럼 머릿속을 스치는 어떤 감각을 통해 지금껏 감지되지 않은 창조성의 근원을 기다린다.

 

그의 작업에 대한 이런 해석적 시도 역시 우스꽝스런 역설을 담고 있음을 에둘러 설명하려 하는 것은 무작위의 의미를 설명하려는 이 글의 논리 전개만큼 허망한 일일 것이다. 지금도 그의 작품 앞에서 흔들거리고 있을 관람자의 몸짓이 그것을 증명하듯, 오늘도 그의 그리기는 의미화의 폭력성에 유쾌한 회화적 제스쳐를 드러내며 항거 중이다.

 

 

The Costume of Painter - F.Flameng 120521_80x80cm_lenticular_2012

 

 

 

 

■ 배준성(1967-)

 

1967  광주 출생 | 1990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졸업 | 2000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원 서양화과 졸업

 

개인전  | 2012  움직이는 정물, 갤러리 터치아트, 헤이리 아트밸리 | 2011  The Costume of Painter - Moving Still Life, 아트시즌즈, 싱가포르 | 2009  The Costume of Painter, 세브란스 아트스페이스, 서울 | 2007  The Museum, 갤러리 현대, 서울 | 2006  The Costume of Painter, 갤러리 터치아트, 헤이리 아트벨리 | The Costume of Painter, 롯데 에브뉴엘 , 서울 | 2005  The Costume of Painter, 캔버스 인터내셔널 아트 갤러리, 암스테르담 | 2004  The Costume of Painter, 백해영 갤러리, 서울 | 2003  “라크르와씨, 치마를 올려봐도 될까요?”, 대림미술관, 서울 | 2002  The Costume of Painter in Tours, 보자르미술관/뚜르, 프랑스 | 2000  Naming, 갤러리 인, 서울 | 1997  Naming, 살 갤러리, 서울 | 1996  독후감, 금호미술관, 서울

 

그룹전  | 2012  제 11회 한국국제아트페어 2012, 코엑스, 서울 | 코리안아이 2012, 사치 갤러리, 런던 | 현대미술을 이끄는 힘 ‘한국의 중견작가들’, 슈페리어 갤러리, 서울 | 홍콩아트페어 2012, 홍콩컨벤션센터, 홍콩 | 그림하나 가구하나 IV, 유아트스페이스, 서울 | 만화로 보는 세상 'Fun+asy', 소마미술관, 서울 | 발굴된 미래, 빛갤러리, 서울 | 한국현대미술전, 국립대만미술관, 대만 | 2011  시대정신, 인터알리아, 서울 | 감각들; 상호적 지각, HADA Contemporary, 런던 | Korean Collective Den HAAG, Noordeinde 갤러리, 헤이그, 네덜란드 | 배준성, 사타 2인전, 가나아트, 부산 | Fashion into art, 플라토 갤러리, 서울 | Paranoid Scene, 인터알리아, 서울 | A Glocal View - Korean Contemporary Art, 웁살라 미술관, 스웨덴 | 38°N Snow South : Korean Contemporary Art, 갤러리 샤롯데 룬트, 스톡홀름 | 2010  Korean Eye - 환상적인 일상, 한국국제교류재단 문화센터, 서울 | Korean Eye - 환상적인 일상, 아트하우스, 싱가포르 | Korean Collective London, 알레베마르 갤러리, 런던 | Korean Eye - 환상적인 일상, 사치갤러리, 런던 | 다중효과 , 갤러리 인, 서울 | 2009  Art & Techne , 제주도립미술관, 제주 | 요술 이미지,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 2009 포토코리아 ‘슈팅이미지’, 코엑스, 서울 | What is real?, 가나아트센터, 서울 | 앵그르와 현대작가들, 앵그르 미술관/몽또방, 프랑스 | 놀이와 장엄 세번째 - 眞實不虛(진실불허), 모란미술관, 경기도 | 연희동에서, 연희동프로젝트, 서울 | 2008  대구 텍스타일 아트 도큐멘타 2008,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 이용덕, 배준성 2인전, 아트시즌즈, 취리히 | 과학정신과 한국현대미술전, KAIST, 대전 | First Step, 아트시즌즈, 북경 | Blue Dot Asia, 예술의 전당, 서울 | Collector’s Favorite, H 갤러리, 서울 | First Step, 아트시즌즈, 싱가포르 | 2007  SH Contemporary, 상해 | Art Amsterdam, 갤러리 스케이프, 암스테르담 | Gallery LM, 서울 | 2006  Photo Show 1010 06, 가나아트센타, 서울 | Paris Show 2006, 파리 | 제37회 바젤 아트페어, 바젤 | Now Korea, 캔버스 인터내셔널 아트 갤러리, 암스테르담 | May Show, 스케이프 갤러리, 서울 | 제3회 베이징 아트페어, 베이징 | 2005  제3회 프리즈 아트페어, 런던 | Summer Show, PKM 갤러리 | 제36회 바젤 아트페어, 바젤 | 3 Days & 7 Artists, 스케이프 갤러리, 서울 | 제15회 금호미술관 개관기념전, 금호미술관, 서울 | The Costume of Painter, 현대 윈도우 갤러리, 서울 | 아르코 아트페어, 마드리드 | 2004  제2회 프리즈 아트페어, 런던 | 스케이프 갤러리 개관기념전, 서울 | Etensions, 첼시 아트센터, 뉴욕 | 제35회 바젤 아트페어, 바젤 | 제1회 베이징 아트페어, 베이징 | 아모리쇼 2004, 뉴욕 | 작업실 보고서, 사비나미술관, 서울 | 2003  한국 현대미술독일순회전 귀국전, 갤러리 현대, 서울 | Crossing 2003-Korea/Hawaii, 컨템포러리 뮤지엄, 하와이 | 숨김 그리고 들춰보기, 광주시립미술관, 광주 | 제34회 바젤 아트페어, 바젤 | 시카고 아트페어, 시카고 | 신소장품 2002,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 샌프란시스코 아트페어, 샌프란시스코 | 움직이는 정물전, 두아트 갤러리, 서울 | 2002  강홍구, 배준성전, 아티누스 갤러리, 서울 | Poiling Point, 강남구 신사동 534-14번지 주택, 서울 | Korea Contemporary Art, 벨기에 대사관, 브뤼셀 | 제33회 바젤 아트페어, 바젤 | ‘한국의 현대미술전-전통과 혁신’ , 졸페라인 홀, 에센-독일, 유엔 사무실, 제네바 | 2002  사진 비엔날레, 모스크바 | 사진과 패션모델의 변천사, 대림미술관, 서울 | Living Furniture, 안양아트홀, 경기도 | 사군자/탈 사군자, 가람화랑, 서울 | 2001  재현의 재현전, 성곡미술관, 서울 | 현대미술의 눈전, 성곡미술관, 서울 | Model & Mode, 모스크바 뮤지엄, 모스크바 | 동거를 통한 중용으로 종용하기, 콩두아트스페이스, 서울 | The Costume of Painter, 현대 윈도우 갤러리, 서울 | 2000  서양미술사전, 공평아트센터, 서울 | 부작란-김학량, 배준성전, 담갤러리, 서울 | 강경, 한림미술관, 대전 | 아를 포토페스티발 ‘태양은 동쪽에서 뜬다’, 아를 | 머리가 좋아지는 그림전, 갤러리 사비나, 서울 | 실실실, 사간 갤러리, 서울  | 동녁에 해가 솟는다, 한림미술관, 대전 | 한국의 인물과 풍경전, 한국문화원, 파리 | 1999  한국현대미술 독일순회전 귀국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 그리기, 그리기전, 한림미술관-대전, 프랑스문화원-서울 | 한 집 한 그림 걸기전, 조선화랑, 서울 | 아트 & 아트웨어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 異人(이인)전-작가에 의한 작가전, 성곡미술관, 서울 | 사진조형전, 대전시립미술관, 대전 | 제14회 로고스와 파토스전, 관훈미술관, 서울 | 서울 사진대,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 한국 현대미술, 90년대의 정황전, 엘렌킴 머피갤러리, 서울 | 금호미술관 개관 10주년 기념전, 금호미술관, 서울 | 1998  여성, 남성 거꾸로보기, 성곡미술관, 서울 | 입맞춤전, 갤러리 사비나, 서울 | In the Year of Tiger, 세계문화의 집, 베를린/루드비히 포름, 아헨-독일 | 전환기의 표정, 미술회관, 서울 | 접接.전展 -배준성, 김형석전/차용과 흉내내기에 대한 소고, 갤러리 사이, 서울 | 제13회 로고스와 파토스전, 관훈미술관, 서울 | 공산미술제, 동아 갤러리, 서울 | 강화 미술창작실오픈 스튜디오, 강화미술창작실, 강화 | 그림보다 액자가 더 좋다, 금호미술관, 서울 | 1997  현대 산업사회의 미술과 손, 신세계 갤러리, 광주 | 청년작가전, 시립미술관, 서울 | 제12회 로고스와 파토스전, 관훈미술관, 서울 | 제2회 광주비엔날레 특별전-청년정신전, 교육홍보관, 광주 | 지금과 나, 은평문화회관, 서울 | 1996  신데렐라 보고서, 덕원미술관, 서울 | 인터넷 갤러리-Gig, 가나아트 기획 | T.V전, 공평아트센타, 서울 | 제11회 로고스와 파토스전, 관훈미술관, 서울 | Instal-scape전, 문화예술회관, 대구 | 도시와 영상전, 시립미술관, 서울 | 꽃이 있기에, 시우터 갤러리, 서울 | 1995  국제 복사미술제, 갤러리 아트빔, 서울 | 크리쉐 미술과 이미지의 고고학, 송산화랑, 청주 | “CINEMA IN GALLERY”-영화 ‘카프카’와 ‘금홍아,금홍아’에 대한 전시, 녹색 갤러리, 서울 | DMZ, 덕원미술관, 서울 | 1994  녹색 갤러리 개관기념전 -“畵卽詩, 詩卽畵”- 배준성, 한수정 2인전, 녹색 갤러리, 서울 | HIDDEN IN SPACE, 녹색갤러리, 서울 | 제9회 로고스와 파토스전, 관훈 갤러리, 서울 | 작가와 환경전, 덕원미술관, 서울 | 김동유, 배준성, 한수정, 허구영전, 가인화랑, 서울 | 1993  신세대의 감수성과 미의식전, 금호 갤러리, 서울 | 3人行-김동유, 배준성, 허구영, 제3갤러리, 서울 | 금호 갤러리 개관 4주년 기념전-기호, 언어, 책 ,예술, 금호 갤러리, 서울 | 제8회 로고스와 파토스전, 관훈 갤러리, 서울 | 대전 EXPO 기념-외연과 박람전, 홍인 갤러리, 대전

 

수상  | 1995  ’95 정경자 미술문화재단 창작 지원 신인예술가상 | 2000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문화관광부 주관

 

 

 

vol.20121017-배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