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y가 있는 애니' 일러 展

 

 

서신갤러리

 

2012. 08. 10(금) ▶ 2012. 08. 30(목)

전북 전주시 완산구 서신동 832-2 새터빌딩 B1 | T.063-255-1653

  

    www.seoshingallery.com

 

 

서신의 애니사랑 제 3탄, 개봉 박두!

 

서신갤러리의 애니메이션 사랑, 그 시작은 10여년도 더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서신은 1999년 3월에 첫 번째 애니메이션 기획전을 열었다. 제목하야 <Animation, 미술로 만나기>. 이 전시에서는 프레데릭 백(캐나다)이나 미야자키 하야오(일본) 같은 애니메이션의 거장들의 작품부터 최초의 컴퓨터 애니메이션, 클레이 애니메이션, 한국단편애니메이션 모음 등 당시로서는 쉽게 접할 수 없었던 다양한 애니메이션을 상영하면서 애니메이션의 역사를 짚었다.

 

2001년 7월, 두 번째 애니메이션 기획전 <애니메이션, 그 아름다운 세상>은 조금 더 편한 작품들로 구성했다. 전시 제목처럼 아름다운 영상과 더불어 사회적인 이슈를 다루고 있는 애니메이션을 선정해 희망과 도전이 살아있는 아름다운 세상을 보여주고자 했다.

 

그리고 2012년 8월, 세 번째 애니메이션 기획전 <‘Story’가 있는 애니’일러전>을 연다. 2012년의 감성에 걸맞게 장르를 너무 딱 떨어지게 구분하지 않으면서 수묵 애니메이션, 디지털 애니메이션, 삽화, 일러스트, 그리고 ‘일러스러’운 작품들을 모았다. 내용 면에서는 ‘Story'를 축으로, 동화책 삽화와 원작이 있는 애니메이션 그리고 상상력을 자극하는 캐릭터와 인물 중심의 일러스트를 선정해 장르 간 연결고리를 두었다.

 

 

‘Story가 있는’ 애니일러전

 

8월 10일부터 30일까지 20일간 열리는 <‘Story가 있는’ 애니일러전>은 애니메이션과 일러스트 작품들을 모아 전시하는 기획전으로, 젊은 작가들의 개성 넘치고 위트 있는 다양한 작품들을 한 자리에서 만날 수 있다. 참여작가는 장호, 전우진, 탁영환, 모혜준, 주지오, 한진, 김가실, Nate Rood 까지 총 8인. 전시는 미디어 작품과 평면 작품으로 이루어지며, 평면 작품은 인물화, 또는 작가들이 창조해낸 캐릭터화 중심으로 구성되고, 삽화는 책과 함께, 미디어 작품은 원화와 함께 전시돼 작품의 이해를 돕는 한편, 관람의 재미를 더 한다.

 

<‘Story가 있는’ 애니일러전>은 특히 방학을 맞아 학생과 학부모가 함께 전시장을 찾아 즐겁게 관람할 수 있는 전시로, 동화적인, 또는 만화적인 상상력에 작가의 재치와 감각이 더해진 작품들을 통해 학부모들은 학생들의 언어를, 아날로그 세대는 이미지언어의 세대를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각 작가가 들려주는 각기 다른 이야기들은 60여점의 작품을 관람하는 내내 관객들을 흥미로운 상상력의 세계로 인도할 것이다. 더운 여름의 끝, 휴가철도 지나고 일상으로 복귀해 여행후유증에 시달리고 있다면, 물놀이보다 재밌는 ‘그림으로 그린 이야기’ 속으로 푹 빠져보길 바란다.

 

 

스토리텔링의 시대, 이야기를 그리다

 

이번 전시의 가장 큰 특징은 작품 속에 ‘이야기’가 있다는 것.

관람객들은 전시장에 들어서며 동화책의 삽화 작품을 가장 먼저 만나게 된다. 장호는 이야기 자체를 그렸다. 또한 동화 특유의 포근함과 따뜻함을 작품의 분위기에서도 고스란히 살려냈다. 전시장에는 원화와, 원화가 실린 동화책이 함께 전시된다. 동화책을 읽고 나서 작품을 다시 보면 더욱 가슴이 뭉클해지는 걸 느낄 수 있다.

 

애니메이션 작업들은 이야기를, 실제의 ‘시간’과 ‘움직임’을 통해 보여준다. 탁영환의 <애니지락>은 ‘신의’라는 기존의 이야기를 재구성한 것이라 원작과 매치하면서 관람하면 더욱 재미있고, 작가 특유의 수묵 애니메이션이 아름답게 살아있다. 한편, <애니지락>은 탁영환이 김종학 감독, 송지나 극본의 SBS 새 월화드라마 ‘신의’를 위해 작업한 작품으로, 13일(월) ‘신의’ 첫 방송에서 만나볼 수 있다. 전우진의 <재주넘기 연속 100번>은 즐거운 재주넘기를 통해 위기를 극복하고 용기와 희망을 발견하려는 인물의 이야기이면서, 인간의 기본 동작들을 컴퓨터 그래픽스로 재현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캐릭터를 통해 이야기를 만들어낸 작가들의 작품도 흥미롭다. 한진은 다락방에 숨어 살 것 같은 귀엽고 독특한 생활밀착형 캐릭터를, 김가실은 모험을 즐기는 키덜트적인 캐릭터를, 주지오는 다소 험악하면서도 웃음을 자아내는 어딘지 허술한 캐릭터를 창조했다. 이 캐릭터들은 어쩐지 정이 가는 모습과 색, 행동들로 우리의 경계심을 허물고, 동심으로 가는 다리를 건너 그들의 세계로 입장하게 만든다. 일단 상상력의 세계에 들어서면, 그들의 이야기는 결코 끝나지 않는다.

 

좀 더 현실적인 이야기들도 있다. 모혜준이 다소 냉소적으로 표현해낸 현대인의 초상에는 외모지상주의 사회의 씁쓰레한 단면이 화려한 패턴과 단순화된 선, 과장된 인물의 실루엣, 그리고 내용에 딱 들어맞는 선정적인 제목으로 적나라하게, 하지만 무겁지 않게 담겨있다. 영국에서 온 Nate Rood(네이트 루드)의 분할된 인물들의 조각난 얼굴 속에는 실제 모델들의 이야기, 또 그들을 보는 작가의 이야기가 있다. 그것은 한국, 그 중에서도 전주라는 낯선 도시에서 살아가며 만난 사람들, 알게 된 사람들, 떠올리게 된 사람들, 그리워하게 된 사람들의 모습이다.

 

 

ⓒ 장호, 《달은 어디에 떠 있나》, 웅진주니어

 

장   호 Jang Ho

1989년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를 졸업했다. 1997년 첫 개인전으로 부천홍보전시관에서 ‘장호전’을 가졌다. 민중미술가로 활동하며 1983년부터 50여회의 단체전에 참여했다. 이후 2006년부터 삽화가로 전향하며 그림책, 동화책, 인물이야기책 등 다양한 책의 삽화작업에 매진했으며, 2009년 그림책 ‘달은 어디에 떠 있나?’로 볼로냐 국제 아동도서전에서 올해의 일러스트레이터로 선정됐고, 같은 해 그림책 ‘강아지’로 한국아동도서전 올해의 일러스트레이터선정 문공부장관상을 받았다. 2010년에는 그림책 ‘소록도 큰할매 작은할매’가 CJ 그림책에 선정됐다. 부천 대안공간 아트포럼리, 인천 미추홀갤러리, 전주 차라리언더바에서 개인전(원화전)을 열었고, 서울 예술의전당, 춘천 남이섬, 수원 경기도문화의전당에서 원화단체전에 참여했다. 삽화를 작업한 책으로 나비잠, 2008년 개정판(사계절), 달은 어디에 떠 있나?(웅진주니어), 행복한 이티할아버지(아이세움출판사), 강아지(길벗어린이), 소록도 큰할매 작은할매(웅진주니어), 꼬순이와 두칠이(아이세움), 세상에서 가장 맛있는 자장면(주니어랜덤), 안녕,병아리(한림출판사), 아! 여우다(고인돌출판사), 큰애기 복순이(문학동네), 어린엄마(낮은산출판사), 명혜(창비), 귀신고래(내인생의책출판사), 내 푸른 자전거(웅진주니어), 12살 이루다(해와나무출판사), 뽀스락왕자(별숲출판사), 광야의 별 이육사(창비), 신채호(문학동네), 세종대왕(문학동네), 호찌민이야기(웅진주니어) 등이 있다. 현재 햇살회원, 전북민미협회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2012년 ‘서로 도우며 살아요(한울림출판사)’의 삽화를 그렸다.

 

 

 

탁영환_애니지락_Oriental painting, Digital composition, 2min 50sec_2012

 

 

탁 영 환  TAK Young-hwan

Tokyo Designers Gakuin과 무사시노 미술대학 동 대학원을 졸업했다. 5회의 개인전을 가졌고 전주, 광주, 서울, 일본, 대만, 미국 등지에서 다수의 그룹전 및 기획전에 참여했다. KBS 개국특집 다큐멘터리「금속전쟁Ⅱ」에필로그 애니메이션, 영화 「스파이 파파)」프롤로그 모션그래픽&애니메이션, KBS 개국특집 다큐멘터리「금속전쟁Ⅰ」타이틀영상 및 프롤로그 애니메이션, KBS 문화공감 「휴」의 타이틀을 제작했다. 두도시전 기획-홍익대,무사시노미술대의 영상교류전<크링, 서울>, 소외지역 어린이를 위한 애니메이션 워크샵<완주군>, 일본대사관 공보문화원 후원 '한일영상교류전'<주일공보문화원, 서울>, 어린이를 위한 애니메이션 & 영상 워크샵<미타카시, 일본> 등을 기획했다. 광주국제영화제 한국우수단편상, Dialogue in the Dark 공모전 장려상, Asia Digital Art Award 2007 우수상, Asia Digital Art Award 2008 특별상, 필룩스 라이트아트 공모전 동상을 수상했다. 교동아트레지던시에 선정돼 입주작가로 활동했고, 현재 전라북도 문화예술위원회 심의위원을 역임하고 있다.

 

탁영환은 한국화의 ‘여백의 미’를 영상 속에 구현하고 있다. 동양의 사유와 정신세계를 담아내고 있는 수묵과, 가상세계를 표현하고 있는 테크놀로지와의 결합을 통해 수많은 요소들은 다양한 조합과 관계를 통해 다시 여백 혹은 공간에 재배치되거나 움직임을 창조해낸다. 이를 통해 ‘여백의 미’와 ‘느림의 철학’을 담아내고 있는 그의 작품은 공간을 보다 자유롭게 놓아둠으로써 작품을 감상하는 관람자에게 사유의 권리를 부여하기도 한다. 그는 우리 고유의 멋스럽고 여유로운 방법으로서의 ‘수묵 애니메이션’이라는 독특한 방식을 통해 애니메이션의 본원적인 의미를 재해석하면서 그와 동시에 새로운 도구와 새로운 테크닉을 제시하고, 디지털 미디어를 통한 아날로그 미디어의 확장을 구현하고 있다.

 

 

 

전우진_재주넘기 연속 100번_Single channel animation, 3min_2012

 

 

전 우 진 Jeon Woo-jin

전우진은 1975년 전주에서 태어나 전북대학교에서 영상산업공학과 서양화를 공부하고, 런던 킹스턴 아트&디자인대학원에서 일러스트레이션&애니메이션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 런던, 동경 등에서 컴퓨터 그래픽과 애니메이션이 사용되는 상업?비상업적인 영상의 후반작업 및 회화와 디자인 그룹의 전시회에 참여하고 있고, 또 전북대, 충북대, 배재대 등에서 컴퓨터 애니메이션, 모션그래픽, 영상제작기법에 관한 강의를 하고 있다.

 

전우진은 애니메이션,미술,실사영상,그래픽디자인이 혼합된 하이브리드적인 동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테크놀로지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컴퓨터 애니메이션을 통해서 무생물적인 존재들을 살아 움직이게 만들고 불가능한 현실을 가능하게 만드는 상상력을 실현하고 있다. 최근에는 동서양의 신화와 한국의 자연환경 속에서 작품의 모티브를 찾고 있으며 생명과 죽음의 이미지를 컴퓨터그래픽과 애니메이션으로 재생시키고 부활시키는 것에 대해서 진지한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옆돌기 연속 100번 <One hundred times Cartwheel>은 갈수록 정교해지는 애니메이션 기술과 기법 속에서 꾸준히 연구되는 인간의 기본 동작들을 컴퓨터 그래픽스로 재현하는데 중점을 두고, 즐거운 옆돌기를 통해 위기를 극복하고 용기와 희망을 발견하려는 메세지를 전달하고 있다. 작가는 연속적인 인체의 움직임을 정지된 동작으로 분절해서 표현함으로써 시간 공간의 개념을 애니메이션에 끌어들여 화면을 구성하고 있다.

 

 

 

모혜준_레깅스도 바지다_한지위에 과슈와 아크릴_53x45.5cm_2011

 

 

모 혜 준 Mo Hye-jun

중앙대학교 한국화과 및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2012년 서울 화봉갤러리와 분당 수호갤러리에서 2회의 초대전을 가졌다. 3rd수호 아티스트 공모 당선전 “Who are you? Who am I?”(수호갤러리, 분당)과 상하이 아트페어(중국 상하이), “nobody” 2인전(인사갤러리, 서울), 국제평화 아트페어(중국)에 참여했다. 2001년 Flash Conference 2001 Korea Top5에 올랐고, 2003년 Maison Design Contest 우수상을 수상했다.

 

외모가 그 무엇보다 중요해졌다. 매스컴에서 생산해내는 인위적인 모습은 미의 기준이자 동경의 대상이 되고 있다. 매일 접하는 인터넷과 텔레비전 등의 매체에서는 자극적인 여러 문구들로 미를 좇는 이들을 옭아매고 있다. 하의실종 패션, 숨막히는 뒷태, 베이글녀, 무보정 직찍, 미친 몸매, 짐승남, 이런 문구들은 조금씩 더 구체적인 모습으로 미의 기준을 제시한다.

작가는 외모지상주의 사회를 살아가는 현대인의 모습을 냉소와 유머와 ‘패션감각‘ 등을 통해 심각하지 않게 담아낸다. 변형되고 과장된 신체, 그 위에 원색적이고 화려한 패턴을 입히고, 가장 적나라하고 자극적이면서도 한 방 큰 웃음을 선사하는 제목을 붙여 ‘딱 떨어지는’ 작품을 완성해낸다. 그는 작품재료로 물감을 흡수하는 특성을 가진 한지를 선택했다. 종이에 빨려 차곡차곡 쌓여가는 물감이 유행을 흡수하는 현대인의 모습을 닮아서다.

 

 

 

한진_세개의 다리_33.4x24cm_acrylic on canvas_2012

 

 

한 진 Han Gene

전북대학교 미술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서울, 전주 등에 이어 서신갤러리에서 3회 개인전을 가졌다. 자화상전(서신갤러리, 전주), 울림(갤러리더케이, 서울), your place(영화제작소 기획전시실, 전주), 소소(갤러리타블로, 서울), 애니팩토리(지프떼끄기획, 영화제작소기획전시실, 전주), 1917~2010(서신갤러리, 전주), 가족(전북도립미술관, 전주), 꿈꾸는 여행자(갤러리자인제노, 서울) 등의 기획단체전에 참여했다.

 

한진은 사물과 동물 그리고 인간의 수평적이고 유기적인 관계를 제시한다. 그는 ‘쉽게 소비되고 버려지는 것과 미약한 것들’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있는데 그것은 인간이 가진 사사로운 감정이나 작은 움직임과도 연결돼있다고 생각한다. 다시 말해 인간도, 쉽게 소비되고 버려지는 사물이나 미약한 동물과 같은 존재일 수 있다는 것이다. 작가는 이러한 관념을 형상화한 캐릭터들을 연필, 펜 등의 기초적이며 ‘얕은’ 재료를 이용해 드로잉, 페인팅 또는 오브제로써 표현하고 있다.

 

 

 

김가실_도원향#6_90.9x65.1cm_acrylic on canvas_2012

 

 

김 가 실  Kim Ga-sil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회화과와 전북대학교 미술학과 서양화과를 졸업했다. 전주, 서울 등지에서 4회의 개인전을 가졌다. 이크이크전(교동아트스튜디오, 전주), V-party(갤러리 D, 광주), 낯선 공간展(전북도립미술관, 전주), ASYAAF-2010 Asian Students and Young Artists Art Festival(성신여대, 서울), 큐레이팅 실험실 Part Ⅰ-'FUN-FUN'(대안공간 콩, 전주), 전주국제영화제기획전, JIFF를 말하다(전주영화제작소), YAaF-Yong Artist art festival(소리문화의전당, 전주), 파 far 展(UMC갤러리, 전주) 등의 기획단체전에 참여했다.

 

서로를 완벽히 이해한다는 것은 언제까지나 이루어질 수 없는 이상과 같다. 작가는 이렇듯 공유적이며 교환적인 인간관계에서 타인을 이해함에 한계가 없는 관계의 가장 완벽한 형태를 상정하고 그것이 가능한 공간을 도원향이라 칭한다. 작가의 대리물은 그 안에서 완벽을 향해 나아가는 끝없는 여행을 한다. 대리물인 인형은 다른 사람에게 다가가 상처 받기도 하고, 불쑥 나타나 다른 사람에게 말을 걸기도 하고 무시당하기도 하고 이쪽 세계를 엿보기도 하며 도원향에 다다르기 위해 여러 가지 경험과 모험을 한다. 모험의 과정은 천진난만한 즐거움이면서 동시에 치열한 싸움이다.

 

 

 

주지오_낭만 벚꽃_26.5x25.8cm_종이 위에 드로잉_2012

 

 

주 지 오  Ju Gio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회화과와 전북대학교 미술학과 서양화과를 졸업했다. 전주, 서울 등지에서 3회의 개인전을 가졌다. 서울, 부산, 광주, 안산, 전주 등지에서 부산국제화랑미술제, Breeze Artfair, 동방요괴 BEST of BEST 展, V-Party Vol.2, 단원 미술제 수상 작가展, 2011 ASYAAF, Art, coming to my life, 상상바이러스, 신진작가 ARTFESTIVAL '꿈틀', 전시기획 공모전 ‘낯선공간전’  외 다수의 기획단체전에 참여했다. Collaboration Project로 델리토이즈, W HOTEL DELITOYS ART TOY EXHIBITION (W호텔, 서울)에 참여했고, 제 13회 단원미술대전 평면회화부분에서 특선을, 제 22회 무등미술대전 서양화부분 입선을 수상했다.

 

기뻐서 흘리는 눈물과 고통과 불안의 거부로서 나오는 웃음. 작가는 이러한 웃음의 양가성에 주목했다. 그의 작품에는 특정한 캐릭터가 설정되어 있고, 그 캐릭터는 양가적 의미의 웃음 유발을 위해 우스꽝스러움을 자초한다. 화면 안으로는 알레고리적 사건과 언어가 숨어있으며, 이러한 풍자적 요소에는 시대와 인간을 향한 비판적 시선이 담겨있다. 그의 유머는 ‘치유’를 목적으로 한다. 작품에서의 양가적 웃음은 인간의 모순된 삶과 많은 부분 닮아있다. 치유는 이들이 작품을 보며 인간에 대해 생각하게 만드는 과정에서 일어나며, 무거운 소재든 가벼운 소재든 생각보다 진지할 것도 무거울 것도 없다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Nate Rood_Tribute to tretchikoff_90X72cm_Mixed Media_2012

 

 

Nate Rood 네이트 루드

1980년 영국 노팅엄에서 출생했고, Loughborough University에서 Fine Art Printmaking & Art History를 전공했다. Fresh(The Custard Factory 버밍엄, 영국), Snuff- Video Installation(Loughborough University, 영국), Local Imaginations(Loughborough Community Centre, 영국), Independent Thinking(Orange Tree 러프버러, 영국), Loughborough University Graduation Exhibition(Loughborough University, 영국), Local Art for Local People(Orange Tree 레스터, 영국), Lets Make Things!(Orange Tree, 노팅엄, 영국), This is Nottingham(The Art Organisation 노팅엄, 영국), Derelict(The Arts Organisation, 노팅엄, 영국), Jeonju Works, Spring Exhibition, Soup, Intelligences, 용산국제미술제 등 다수의 기획단체전에 참여했고, 전주에서 5번의 개인전을 가졌다.

 

Nate Rood는 오랫동안 혼합매체를 기초로 작업해왔다. 또한 큐비즘과 인상파의 작품들에서 많은 영감을 얻었다. 최근 작업들의 대부분은 종이와 물감, 연필, 마카 등을 사용해 만든다. 캔버스 위에 종이를 붙여 질감을 형성하거나, 콜라쥬 방식으로 주제를 강조하기도 한다. 그는 많은 주제에 집중하고 있지만, 그 중에서도 특별히 인물을 연구하는 것에 즐거움을 느끼고, 사람들의 다양한 모습과 표정, 스타일, 그리고  그들의 내면을 포착해 그리는 작업을 주로 하고 있다.

 

 

 
 

참여작가 |  장호, 탁영환, 전우진, 모혜준, 한진, 김가실, 주지오, Nate Rood

 

 

 

vol.2012-‘Story가 있는 애니‘ 일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