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nhee Chung Paik

 

저 멀리, 그리고 가까이

 

Can You See, Can You Hear_274x488cm_Oil On Aluminum_2011

 

 

갤러리현대 강남

 

 

2012. 4. 25(수) ▶ 2012. 5. 13(일)

서울 강남구 신사동 640-6 | T.02-519-0800

 

www.galleryhyundai.com

Focus Gallery

San Jose Institute of Contemporary Art (ICA)

 

2012. 3. 3(토) ▶ 2012. 5. 12(토)

560 South First Street San Jose, CA | T.95113

 

www.sjica.org

 

 

Chapter IV_259x381cm_Oil On Aluminum_2010

 

 

정연희의 작품들은 물질세계와 정신세계 사이의 변환과 변이에 대해 이야기 한다. 바람, 물, 그리고 빛, 변화의 움직임에 관련된 모든 상징들이 계속해서 회귀한다. 그녀의 작업과정은 그녀의 사명감의 일부가 된다. 그녀는 예술이 어떠한 방식으로든 사회에 공헌해야 한다고 믿는다. 물론 이러한 공헌 중에는 휴식의 공간을 창출해 내는 것, 물질적인 것에서 벗어난 세계를 엿보는 것, 이 거친 세계에서 위로의 가능성을 믿는 것이 포함된다.

 

 

Installation View-Staller Center_Stony Brook New York_2005

 

 

The California premiere of this large-scale, immersive installation

The ICA presents Ascending River, Younhee Paik’s large-scale painted canvas installation -- part of a series of contemplative, restful works created as a tribute to the artist’s late mother. Although Paik has exhibited her work extensively throughout the Bay Area, this presentation marks the first time that Ascending River will be shown in California.

 

Paik’s dynamic, unframed paintings are hung from the ceiling like sails and laid out under a plexiglass-covered floor, enveloping the viewer in an immersive other-worldly environment.  The works are complex in color and texture and filled with motifs of light that seem to radiate from the canvases.  Celestial and water imagery abound, as do recurring imagery of ships and architectural drawings of cathedral floor plans. Through the use of these images, Paik makes a connection between the world of experience and the world of the unknown while challenging our conventional notions of space and time.  The installation also includes a place for the viewer to lie down, relax, and listen to music with headphones.

 

 

Night Symphony_183x218cm_Oil on Canvas_2012

 

 

Younhee Paik was born in Seoul, Korea and immigrated to the U.S. in 1968 after receiving her B.F.A.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Paik received her M.F.A. from the San Francisco Art Institute in 1973 and continued to live in San Francisco for 30 years, working as an artist and raising her family. Today she travels extensively and maintains studios in New York City, San Francisco, and Seoul.  Paik has exhibited her work since the mid 1970s with solo exhibits throughout the U. S. and Korea, including the Staller Center for the Arts at Stony Brook University, Stony Brook, NY; LASCA Gallery, Los Angeles, CA; and TOTAL Museum, Seoul, Korea. Paik’s group shows include, Tiger’s Tail, 1996 Venice Biennale, Venice, Italy; Rediscovering the American Landscape, Gerald Peter Gallery, Santa Fe, NM; the Schneider Museum of Art at Southern Oregon University, Ashland, Oregon; and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rt, Mexico City, Mexico. Paik’s work can also be found in collections around the globe including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Korea; the San Jose Museum of Art, San Jose, CA; and the Korea Exchange Bank, New York, NY.

Ascending River is presented as part of the ICA’s Sandbox program that provides opportunities for artists to create ambitious large-scale installations. The Sandbox program was created in 2007 to fulfill core value of the ICA’s mission -- giving emerging and mid-career artists opportunities to take risks in their artmaking and expand their creative practices.  Past Sandbox projects include; Chris Dorosz, The Painted Room (2009); Christel Dillbohner, Ice Floe (2009), Modesto Covarrubias, Liminal (2010) and Mike Rathbun, Urgency (2011).  

 

 

St. Etienne_120 x 150 inch_Acrylic on canvas_2004

 

 

When We Reach_122 x 228cm_Oil on Aluminum_2012

 

 
 

정연희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 서울, 한국 | 샌프란시스코 아트 인스티튜트 대학원 졸업,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미국

 

주요개인전 | 2012 | 갤러리현대, 서울, 한국 | Ascendius River, 산호세 현대미술 인스티튜트, 산호세, 캘리포니아, 미국 | 2011 | 루스 브룬스타인 갤러리,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미국 | 2009 | Wondrous Garden, 텐리문화학원, 뉴욕, 뉴욕, 미국 | Hitch hiker to universe, 대전시립미술관, 대전, 한국 | 2008 | 환기미술관, 서울, 한국 | 2007 | 갤러리 인, 서울, 한국 | 2006 | 트라이톤 미술관, 산타클라라, 캘리포니아, 미국 | 2005 | 스톨러 센터, 스토니 브룩, 뉴욕, 미국 | 2004 | 하이디 조 갤러리, 뉴욕, 뉴욕, 미국 | 2003 | 샌프란시스코 현대미술관,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미국 | 2002 | 슈거 힐 아트센터, 뉴욕, 뉴욕, 미국 | 2001 | 갤러리현대, 서울, 한국 | 2000 | 성 피터 성당, 뉴욕, 뉴욕, 미국 | 브랜다 테일러 갤러리, 뉴욕, 뉴욕, 미국 | 1999 | 케네디 아트 센터, 홀리 네임스 대학, 오클랜드, 캘리포니아, 미국 | 토탈미술관, 서울, 한국 | 1997 | 갤러리 백, 서울, 한국 | 샌프란시스코 현대미술관,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미국 | 1996 | 라스카 갤러리,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미국 | 디피퐁 갤러리, 산호세, 캘리포니아, 미국 | 1994 | 갤러리현대, 서울, 한국 | 1993 | 디피퐁 갤러리, 산호세, 캘리포니아, 미국 | 1991 | 트라이톤 미술관, 산타클라라, 캘리포니아, 미국 | 갤러리현대, 서울, 한국 | 1990 | 올리치 갤러리,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미국 | 1989 | 케네디 아트 센터, 홀리 네임스 대학, 오클랜드, 캘리포니아, 미국,제니퍼 폴 갤러리, 새크라멘토, 캘리포니아, 미국 | 1988 |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한국 | 올리치 갤러리,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미국 | 1987 | 로스앤젤레스 아트코어,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미국 | 1986 | 산호세 미술관, 산호세, 캘리포니아, 미국 | 1985 | 샌프란시스코 현대미술관,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미국 | 1983 | 이곳에서 저곳으로, 한국문화갤러리, 뉴욕, 뉴욕, 미국 | 1982 | 이곳에서 저곳으로, 브릿지 갤러리,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미국 | 1979 | Vision of Origin, 커뮤니티아트센터, 산페드로, 캘리포니아, 미국 | 1976 | 신세계갤러리, 서울, 한국 | 1975 | 제29회 샌프란시스코 아트페스티벌,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미국

 

주요그룹전 | 2012 | 타크루즈 미술관, 산타크루즈, 캘리포니아, 미국 | 2007 | 인천비엔날레, 인천, 한국 | 2006 | Ashland, 슈나이더 미술관, 오레곤, 미국 | 아시안 아메리칸 아트센터, 뉴욕, 뉴욕, 미국 | 메리마운트 맨하튼대학, 뉴욕, 뉴욕, 미국 | 2004 | 가나아트센터, 서울, 한국 | 2003 |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한국 | 앤드류셔 갤러리,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미국 | 2002 | 월터 위키서 갤러리, 뉴욕, 뉴욕, 미국 | 실리콘밸리미술관, 산호세주립대학, 산호세, 캘리포니아, 미국 | 2001    엘루이스 피카드 스미스 갤러리, 산타클라라, 캘리포니아, 미국 | 2000 | 우드워드 갤러리, 뉴욕, 뉴욕, 미국 | 갤러리코리아, 뉴욕, 뉴욕, 미국 | 1999 | 유프라테스 미술관, 드안자대학교, 쿠퍼티노, 캘리포니아, 미국 | 1998 | 트라이톤 미술관, 산타클라라, 캘리포니아, 미국 | 깁스 미술관, 샬레스톤, 사우스 캘리포니아, 미국 | 1997 | 사우스 텍사스 미술관, 코퍼스 크리스티, 텍사스, 미국 | 웨스턴 갤러리, 웨스턴 워싱턴 갤러리, 벨링험, 워싱턴, 미국 | 메모리얼 아트갤러리, 로체스터 대학, 로체스터, 뉴욕, 미국 | The Painter’s Craft, 험볼트 주립대학 갤러리, 알카타, 캘리포니아, 미국 | 1996 | Tiger’s Tail,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한국 | Rapture, 샌프란시스코 주립대학 갤러리,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미국 | Who is Afraid of Freedom, 뉴포트 하버 미술관, 뉴포트비치, 캘리포니아, 미국 | Rediscovering the American Landscape, 제럴드 피터 갤러리, 산타페, 뉴멕시코, 미국 | Korean Art, New Sensation, 갤러리코리아, 뉴욕, 뉴욕, 미국

투산 미술관, 투산, 아리조나, 미국 | 1995 | Tiger’s Tail, 베니스비엔날레, 베니스, 이탈리아 | 크로커 미술관, 새크라멘토, 캘리포니아, 미국 | 스랜스아메리카 갤러리,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미국 | 존 앤 조 갤러리, 로스엔젤레스, 캘리포니아, 미국 | 소마 갤러리,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미국 | 산호세 미술관, 산호세, 캘리포니아, 미국 | 환기미술관, 서울, 한국 | 갤러리현대, 서울, 한국 | 1994 | Mentors, 샌프란시스코 아트커미션 갤러리,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미국 | Landscape, 한국문화갤러리, 로스엔젤레스, 캘리포니아, 미국 | 1993 | 헤나켄트 갤러리, 뉴욕, 뉴욕, 미국 | 서울, 캘리포니아7, 아트빔 갤러리, 조선화랑, 서울, 한국 | What Heaven Looks Like, 산호세 현대미술 인스티튜트, 산호세, 캘리포니아, 미국 | 1991 | 국립현대미술관, 멕시코시티, 멕시코 | 1990 | 엔젤스 게이트 문화센터, 산페드로, 캘리포니아, 미국 | 1989 | 글로리아 라구나 미술관, 오스틴, 텍사스, 미국 | 제레미스톤 갤러리,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미국 | 호세드로이스 비아다 갤러리, 로스엔젤레스, 캘리포니아, 미국 | 1988 | Countervisions: Pioneers in Bay Area Art, 샌프란시스코 주립대학,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미국 | 1986 | 제니퍼 폴스 갤러리, 새크라멘토, 캘리포니아, 미국 | 1985 | 산베르나디노 카운티 미술관, 산베르나디노, 캘리포니아, 미국 | 1984 | 윙루크 기념 미술관, 시애틀, 워싱턴, 미국 | 워드프린트 의회 갤러리,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미국 | 1983 | 한국문화갤러리, 파리, 프랑스 | 1982 | 덕수궁미술관, 서울, 한국

 

작품소장처 | 호암미술관, 서울, 한국 | 벽산그룹, 서울, 한국 | 트라이톤 미술관, 산타클라라, 캘리포니아, 미국 | 산호세 미술관, 산호세, 캘리포니아, 미국 | 한국문화서비스, 뉴욕, 뉴욕, 미국 | 국립현대미술관, 한국 | 한국외환은행, 뉴욕, 뉴욕, 미국 | 대우 아메리카,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미국 | 메탈리온 그룹,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미국 | 강원그룹, 서울, 한국 | 퍼시픽 벨 그룹,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미국 | 삼양그룹, 서울, 한국 | 뱅크오브아메리카, 새크라멘토, 캘리포니아, 미국 | 인제대학교, 부산, 한국

일신그룹, 서울, 한국 | 포스코센터, 서울, 한국 | 효성그룹, 서울, 한국

 

강의경력 | 1989-1990 | 샌프란시스코 아트 인스티튜트,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미국 | 1990-1991 | 홀리네임스 대학, 오클랜드, 캘리포니아, 미국

 

비평가의 글 | 톰 파쿠시츠.  “Harbor’s Fine Art”, Daily Breeze/News-pilot, August 24, 1979년 8월 24일 | 박래경.  “방랑과 고뇌 그리고 몰두하는 순간의 최대의 환희”, 『공간』 112호, 1976년 10월 | 토마스 올브라이트. “Ersatz Patterns and Taco Art”, San Francisco Chronicle, 1981년 1월 22일 | 윌리암 블루벨트. “시간과 공간: Individual and Cosmic Aspects”, Seattle Times, 1984년 7월 25일 | 이홍우. “개인의 시공과 우주적인 시공”, 『공간』 217호, 1985년 7월 | 도로시 부루크하트. “비평가의 선택”, San Jose Mercury News, 1986년 3월 2일 | 실비 로더.  “Meditations on Spiritural Space”, Artweek, 1986년 3월 8일 | 김영재. 『Space』, 1988년 6월 | 자넷 로스.  “Bridge into Infinity”, Artweek, February 1, 1990년 2월 1일 | 앤 텔훠드. Home and Garden, 1990년 2월, pp. 30-31 | 도로시 부루크하트. “Paik’s Paintings Impress”, San Jose Mercury News, 1990년 1월 27일 | 셜리 고티프. “Balance of Opposites”, Artweek, 1990년 10월 4일 | 임정권. “한미 화가들의 동서양 교류”, 『LA코리아 타임즈』, 1990년 10월 | 데브라 코프만. “To Your Health”, Artweek, 1999년 4월

 

카달로그 에세이 | 프레드 마틴. 1985년 4월 | 베티 브라운. 1988년 3월 | 헨리 홉킨스. “정연희 작품의 상징과 진화”, 1991년 2월 | 죠신 스테렐. 1991년 2월 | 이경성, 1991년 3월 | 세실 맥킨. 1994년 9월 | 송미숙. 1997년 9월 | 필립 E. 린헤르. “정연희의 예술”, September 1997년 9월 | 엘리너 허트니. “밤의 여로:정연희”, 1999년 4월 | 브루스 닉슨. “분위기적 상황: 정연희의 근작”, 1999년 4월 | 마크 반 프로옌. “해방의 기억들”, 2004년 10월 | 론다 쿠퍼. “솟아 오르는 강”, 2004년 11월 | 조나단 굿맨. “숭고함에 대한 추구”, 2004년 11월 | 로버트 모건. “우주 속의 참여”, 2005년 2월 | 수잔 힐하우스. 2006년 1월

 

 
 

vol.20120425-정연희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