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보람 展

 

" 이루어져라 "

 

 

이루어져라-부귀

 

 

갤러리M

 

2011. 1. 7(금) ▶ 2011. 1. 30(일)

대구시 수성구 범어동 1번지 대구문화방송 1F 갤러리M | T.053-740-9923

 

www.gallerym.co.kr

 

 

이루어져라-사랑과행복

 

 

다시 생각하게 하는 세화(歲畵) - 이루어져라

 

송 인 상 (독립큐레이터, 전 예술의전당 큐레이터)

서보람은 전통채색의 방법으로 극사실 풍의 그림을 그리는 화가다. 규방 공예품, 고가구 또는 민화를 주요 소재로 작업을 하는데 그 소재들을 그대로 모사하는 것이 아니라 작가가 꿈꾸는 동화 같은 세상을 그 대상에 침투시켜 예상치 못한 풍경을 연출한다.

 

 그의 초기 작품에 해당하는 '버선과 복주머니'는 부를 상징하는 모란을 새긴 후 명품 브랜드 상표를 매단 작품이었다. 작가는 자신의 작가노트에서 명품에 열광하는 현대인에게 전통의 아름다움을 다시 보라는 뜻에서 이들 작품을 하게 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그 이면에는 물론 전통 규방공예에 대한 작가의 남다른 관심이 있었다. 대학시절 규방공예를 하던 언니가 수를 놓아 만든 버선에 반해서 전통미에 매료됐고 이후 실제로 오랜 시간 그것들과 마주하면서 지루하기보다는 오히려 은근하면서도 깊은 향기가 뿜어져 나오는 그 자태에 더 감동을 받았다고 한다. 규방공예의 영향을 받은 그의 첫 번째 개인전 <collection>에서는 규방공예의 대표적 아이템인 버선, 색동저고리, 배자 등의 그림이 주를 이루었다.

 

 

 

이루어져라-합격과출세

 

 

 그가 규방공예에 이어 관심을 갖게 된 것은 고가구다. 두 번째 개인전 <보물찾기>에서는 고가구를 모티브로 전통과 현대가 만나는 작품을 선보였다. 세월의 손때가 묻은 가구에 작가 자신의 판타지를 결합시킨 작품 ‘보물찾기’는 금방 열었을 것 같은 고가구의 서랍 안에서 요즘 볼 수 있는 장난감 인형과 보물단지가 눈에 띄면서 극적인 반전을 이룬다. 시간이 뒤엉키고 뜻밖의 상황이 만들어내는 의외성은 그 자체가 볼거리다. 이 작품에 뒤이어서 그가 주목하기 시작한 것은 민화다.

 

 

 

보물찾기3

 

 

서보람의 세 번째 개인전의 주제는 <이루어져라>이다. 주로 민화에서 모티브를 따왔고, 화조도(花鳥圖)와 모란도, 십장생도, 책거리, 등의 형식을 주 뼈대로 삼았다. 화조도(花鳥圖)는 말 그대로 꽃과 새가 어우러진 그림으로 부귀와 장수 등 다양한 소망을 담고 있고 책거리는 합격이나 승진에 대한 소망을 담고 있다. 작가가 추구하는 내용 역시 이들 민화와 유사하게 사랑과 행복, 합격과 출세, 부귀 등이다. 사랑과 행복을 주제로 한 작품을 보면 동서고금에 나오는 사랑의 상징들이 하나의 꽃다발처럼 터져 나오는 구도로 그려졌다. 민화에서 비롯된 동화 같은 판타지들이 복주머니 속에서 터져 나오는 것이다.

 부귀를 상징하는 모란 사이사이에 각시인형, 초콜릿, 러브레터 등이 꽂혀 있고 사랑의 고전으로 통하는 <춘향전>책자, 다정스런 원앙 한 쌍도 보인다. 민화에서 원앙은 금슬 좋은 다복한 부부의 소망을 대변한다. 전체가 한 눈에 들어오면서 마치 사랑의 환상곡을 보는 것 같은 착각에 빠진다.

 합격과 출세를 기원하는 작품은 앞의 작품과 구도는 동일하고 소재만 다르다. 인형, 초코렛, 러브레터 등 사랑을 대변하는 소재 대신 합격증, 붓, 물고기, 호랑이 등이 나온다. 민화에서 물고기는 잠을 잘 때도 두 눈을 뜨고 잔다는 의미로 학문에 정진하여 시험에 합격한다는 상징을 담고 있다.

 이외에도 부귀를 기원하는 작품은 봉황이 크게 확대되어 등장한다. 상상의 새 봉황의 날아 갈 것 같은 포즈가 우리에게 부에 대한 갈망과 희망을 동시에 전달해 주고 있다.

 

 

보물찾기5

 

 

이번에 소개되는 작품은 모두 일상에서 누구나가 기원하고 소망하는 것들이다. 그래서 전시 제목 또한 <이루어져라>이다. 주문(呪文)같이 들리는 제목에서처럼 그의 작품은 다분히 부적을 대신한다. 소망하는 것을 그림으로 그리고 갈구하는 것은 인간의 보편적 전통이자 역사다. 그 역사와 전통은 선사시대 동굴벽화에서부터 내려온다. 선사시대 동굴벽화에는 동물그림이 단골로 등장한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스페인의 알타미라 동굴 벽화에는 물소가, 우리나라 울주 반구대 암각화에는 고래, 물고기 등의 동물이 나온다. 수렵생활을 하던 당시의 사회를 반영하듯 동물들이 바위벽에 새겨지고 그려졌다. 동물을 잡게 해 달라는 기원에서다. 소원하는 동물 형상을 그려놓고 자연을 지배하는 힘에게 기원하면 그린대로 이루어질 것으로 믿는 것인데 주술의 힘에 기대고 싶은 인간 본능이 그대로 녹아 있다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의 옛 민화에 등장하는 동물들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가 가능하다.

 18세기 씌여진 동국세시기에 실린 기록을 보면 도화서에서 화원들이 세화(歲畵)를 그려 새해 아침에 임금에게 바쳤다는 기록이 나온다. 세화는 새해를 맞는 축하의 그림이며 안녕과 복을 기원하고 있다. 그렇다면 현대의 우리는 새해 아침에 무엇을 하고 있나? 남아 있는 것은‘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라는 말 뿐이다. 이제는 이미 사라지고 이름만 남은 세화. 그 세화를 오늘의 그림으로 부활시킬 수는 없을까?

 

 

달토끼

 

 

그림의 시원을 다시금 생각하게 하는 서보람의 그림은 형식주의로 치달아 온 현대미술의 궤적에서 보면 단순히 고전의 환기 정도로 볼 수 있으나 그의 작품 행간에서 나타나는 동화(童畵) 같은 서사 구조는 수 백 년의 시차를 넘어서는 전통과 현대가 아름답게 공존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문제는 이러한 가시적 만남을 뛰어넘는‘또 다른 눈뜸’이 필요하다는 생각이다. 민화는 물론 전통까지도 뛰어넘어야 하는 '눈뜸' 말이다.

 

 
 

 

 
 

vol.20110107-서보람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