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 展

 

최정희

 

 

갤러리 나우

 

2008. 12. 3(수) ▶ 2008. 12. 9(화)

서울시 종로구 관훈동 192-13 성지빌딩 3층 | T.02-725-2930

 

www.gallery-now.com

 

 

임재연

 

 

...사이

 

     김화자(명지 대학교 겸임교수)

 

오랫동안 사진의 기초부터 암실작업, 전문 교육기관에서의 사진 이론 연구, 여러 번의 그룹전 혹은 개인전을 통해 실력을 함께 다져온 다섯 사람이 각자의 독특한 사진적 감각을 ‘...사이’라는 주제로 시각화했다. 허름한 벽, 버려진 석고 마스크,  일상의 부유하는 발걸음, 이슬 맺힌 풀잎, 구름 같은 주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평범한 피사체들을 통해 그 너머, 혹은 내면, 이면의 보이지 않는 세계로 이어주는 ‘사이’의 존재들을 다섯 명의 고유하고 섬세한 감성과 빛, 렌즈로 가시화 한 작품들이다.  

‘...사이’라는 전시명에서 ‘눈에 보이는 것은 존재의 극히 일부분이기 때문에 사물은 완전히 관찰될 수 없는 간극을 배경으로 윤곽 지워진다’는 메를로 퐁티의 사유를 엿볼 수 있다. 하나의 사물은 그것들을 에워싸고 있는 보이지 않는 지평을 배경으로 하기 때문에 탐색하는 시선과 그러한 시선이 환기시키는 상상적인 세계를 통해 하나의 형태로 나타난다. 따라서 하나의 사물 혹은 자연은 바라보는 사람의 위치와 상황, 시간에 따라 다르게 보이므로 그러한 다양한 모습들이 사물의 가능한 형태들이고 이러한 형태들은 잠재적인 지평 속에서 비록 보이지 않으나 보이는 형태들 사이에 침전되어 존재한다. 이처럼 시선에 다 드러나지 않는 무궁무진한 사물의 모습은 우선 몸의 감각들을 통해 벽, 석고 마스크, 발걸음, 이슬 맺힌 풀잎, 구름의 흔적들로 남겨진 것이다.

 

                                                                   

이해영

 

 

박선주의 벽 연작은 시선의 움직임에 따라 벽에 난 세월의 자취이자 상처들이 주변의 배경에 의해 벗겨진 페인트, 혹은 나뭇가지와 잎, 찢겨진 벽보처럼 보이는데, 그것은 보이는 것이 배경과 분리된 채 분명하고 변함없는 고정된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지각의 모호한 특징을 벽에 나타난 무상한 시간의 흔적들의 클로즈업을 통해 보여주었고, 최정희의 석고 마스크 연작은 이미 사회적 가면이라 할 수 있는 얼굴에서 떼어 낸 마스크의 이중적 속성, 즉 익명의 얼굴에서 벗겨 낸 마스크들에서 한 사람의 정체성이 조금이나마 배어나온 듯 하지만 전혀 확인할 수 없는 오히려 역설적으로 감춰진 모습을 통해 대중매체의 홍수 속에서도 타자와의 진정한 대화가 부재한 채 자신에 갇혀 있는 쓸쓸하고 소외된 초상을 세상과의 소통을 가로막는 차가운 벽이라는 배경을 통해 타자와 나 혹은 사람들 사이의 소통의 간극을 부각시켰다. 임재연의 몽환적인 불빛 아래 어디론가 바쁘게 걸어가는 발걸음들 혹은 반영된 그림자들과의 교차는 현대인의 고단한 삶의 무게와 미래를 꿈꾸는 욕망이 내일을 재촉하는 걸음들에 중첩되어 흔들리면서 긴 여운을 남기고, 순간적인 포착임에도 불구하고 신비스런 조명 속의 움직임들이 감각적인 색과 구도로 표현되었다. 전통적인 흑백 프린트만을 고집해 온 이해영의 수묵화를 연상시키는 먹의 농담은 보일 듯 말 듯 한 풀잎 위의 반짝이는 이슬방울들을 통해 극히 미세한 물방울이 거대한 세계를 투명하게 비추면서 진정으로 크고 작은 것에 대한 수학적인 척도의 경계를 와해시키고 세계 속의 보잘 것 없는 인간 개개인이 하나의 소우주임을 깨닫게 해준다. 윤관순의 또렷한 빗방울 맺힌 창 너머의 막막한 구름이나 먹구름 아래 아스라한 지평선처럼 깔려 있는 도시는 하늘과 땅의 경계가 어디인지 짐작하기 힘들고 창의 밖과 안은 단지 물리적인 거리의 안과 밖, 바라보는 자의 외부와 내면의 이중적인 경계가 어디인지 가늠할 수 없을 정도로 두 세계가 하나의 천처럼 자연스럽게 연결되면서 도시의 배경이자 창 밖에 펼쳐진 아득한 구름을 통해 광대하고 무한한 공간은 오히려 인간의 심오한 내면의 깊이를 투영해 준다.  

 

 

윤관순

 

 

다섯 명의 작가들의 긴장되고 날카로운 시선을 통해 ‘부분과 전체’, ‘타자와 나’, ‘나와 세계’, ‘현실과 꿈’ ‘실재와 투영된 이미지’, ‘작은 물방울과 대자연’, ‘안과 밖 혹은 내면과 외부’의 분리와 나눔이 모두 우리의 편협한 사유가 그어놓은 경계일 뿐 두 개의 세계는 어떠한 것이 본질이고 외관이거나 혹은 실재이고 가상이 아니며 서로 서로를 비추고 지탱해주는 하나의 세계라는 평범한 사실을 각기 다른 감각적이거나 사색적인 앵글로 두 세계의 틈을 잇는 ‘사이’를 펼쳐 보이고 있다.

 

 

박선주

 
 

 

 
 

vol. 20081203-...사이 展